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하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하권
  • 제7 남돈북점(南頓北漸)
  • 남돈북점 8
메뉴닫기 메뉴열기

남돈북점 8


육조법보단경언해 하:14ㄱ

一僧志徹은 江西人이니 本姓은 張이오 名은 行昌이러니 少任俠더니 自南北分化야 二宗主ㅣ 雖亡彼我ㅣ나 而徒侶ㅣ 競起愛憎더니 時예 北宗門人이 自立秀師야 爲第六祖고 而忌祖師傳衣ㅣ 爲天下所聞야 乃囑行昌아 來刺於師라 야 師ㅣ 他心通샤 預知其事시고 卽置金十兩於座間이러시니

주001)
:
한. 어떤.
주002)
:
중. 승려.
志徹은 江西ㅅ 주003)
강서(江西)ㅅ:
강서(江西)의. ‘ㅅ’은 무정명사 다음에 오는 관형격조사.
사미니 주004)
사미니:
사람이니. 사[人]+이(서술격조사)+니(연결어미).

육조법보단경언해 하:14ㄴ

本姓은 張이오 주005)
장(張)이오:
장(張)이고. ‘-오’는 연결어미 ‘-고’의 /ㄱ/ 약화 표기(서술격조사 다음).
일훔은 주006)
일훔은:
이름은. 일훔[名]+은(보조사).
行昌이러니 주007)
이러니:
이더니. 이-+더/러(과거회상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러-’는 서술격조사 다음에서 ‘-더-’의 이형 표기.
져머셔 주008)
져머셔:
젊어서. 젊어서는. 졈-[少]+어셔.
豪俠 주009)
호협(豪俠):
호방(豪放)하고 의협심(義俠心)이 강함.
더니 주010)
-더니:
-하더니. --+더+니.
南과 北괘 주011)
북(北)괘:
북(北)이. ‘-과(접속조사)+ㅣ(주격조사)’ 중세국어 시기에는 체언을 나열할 경우 마지막 체언의 뒤까지 접속조사 ‘과/와’를 쓰고, 그 뒤에 격조사나 보조사를 두었다.
分化 주012)
분화(分化):
나뉘어 교화(敎化)함.
호 브터 주013)
-호 브터:
-함으로부터. -함을 말미암아. ‘--+옴/움(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븥-[自]+어’. 목적격조사 ‘’과 문법화한 ‘브터’가 재구조화하여 ‘으로부터’가 되었다.
주014)
두:
두(수관형사).
宗主ㅣ 주015)
종주(宗主)ㅣ:
종주(宗主)는. ‘ㅣ’는 모음으로 끝나는 체언 다음에 오는 주격조사. ‘종주(宗主)’는 종파(宗派)를 세우거나 중심이 되는 인물, 곧 종조(宗祖)를 이른다.
비록 彼我ㅣ 주016)
피아(彼我)ㅣ:
피아(彼我)가. 너와 내가. 저편과 이편이. ‘ㅣ’는 주격조사.
업스나 주017)
업스나:
없으나. 없었으나. 없-[亡]+으나.
弟子 주018)
제자(弟子):
제자(弟子)의. ‘’는 유정명사 다음에 통합되는 관형격조사.
므리 주019)
므리:
무리가. 무리는. 므리[衆]+∅(주격조사).
난겻 주020)
난겻:
다투어. 난겻[競](부사).
며 주021)
며:
사랑하며. -[愛]+며(연결어미).
믜요 주022)
믜요:
미워함을. 믜-[憎]+옴/움(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니왇더니 주023)
니왇더니:
일으키더니. 니왇-[起]+더+니.
그 주024)
그:
그때에. 그[其]#[時]+의(처소부사격조사). ‘[時]’는 ‘의’를 처소부사격 조사로 취하는 이른바 특이 처격어이다.
北宗 주025)
북종(北宗):
신수대사(神秀大師)를 종조(宗祖)로 하는 선종(禪宗)의 한 파.
門人 주026)
문인(門人):
문도(門徒), 곧 제자(弟子)의 무리.
주027)
제:
스스로.
秀師 주028)
수사(秀師):
신수대사(神秀大師)를.
셰여 주029)
셰여:
세워. 셔-[立]+ㅣ(사동접미사)+어(연결어미).
第六祖 삼고 주030)
삼고:
삼고. 삼-[爲]+고(연결어미).
祖師ㅣ 주031)
조사(祖師)ㅣ:
조사(祖師)께서. ‘ㅣ’는 관형격조사. 명사절의 주어에 관형격조사를 쓰는 것이 당시의 일반적인 현상이었음.
주032)
옷:
옷[法衣]. 육조(六祖) 혜능(惠能) 스님이 오조(五祖) 홍인(弘忍) 스님으로부터 전해 받은 의발(衣鉢) 중 법의(法衣)를 가리킨다.
傳샤미 주033)
전(傳)샤미:
전수(傳受)하심이. 전해 받으심이. 전(傳)-+샤+옴/움(명사형어미) +이(주격조사).
天下애 주034)
천하(天下)애:
천하(天下)에.
들윰 주035)
들윰:
들림. 듣-[聞]+이(피동접미사)+옴/움(명사형어미). ‘들이-[被聽]’는 피동사임.
외요

육조법보단경언해 하:15ㄱ

주036)
외요:
됨을. 되는 것을. 외-[爲]+옴/움(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아쳐러 주037)
아쳐러:
싫어하여. 아쳗-[忌]+어(연결어미).
行昌일 주038)
행창(行昌)일:
행창(行昌)이를. 행창(行昌)이에게. ‘ㄹ’은 목적격조사 ‘/를’의 수의변이형.
付囑야 주039)
부촉(付囑)야:
부촉(付囑)하여. ‘부촉(付囑)’은 남에게 부탁함을 이른다. 불타(佛陀)는 설법을 한 뒤에 청중 가운데 한 사람을 가려내어 그 법의 유통을 촉탁하곤 했는데, 이 일에서 ‘부촉(付囑)’이 유래된 것임.
주040)
와:
와서. 오-[來]+아(연결어미).
師 주041)
사(師):
조사(祖師)를. ‘’은 목적격조사.
라 주042)
라:
찌르라고. -[刺]+라(종결어미).
야 주043)
야:
하거늘. -+야.
師ㅣ 주044)
사(師)ㅣ:
조사(祖師)께서. ‘ㅣ’는 주격조사.
他心을 주045)
타심(他心)을:
타심지(他心智)를. ‘타심지(他心智)’는 다른 사람이 마음속으로 생각하는 것을 아는 지혜이다.
通샤 주046)
통(通)샤:
통(通)하시어. 통(通)하여. ‘-샤’는 ‘-+샤+아’로 분석된다.
미리 주047)
미리:
미리[預].
주048)
그:
그[其].
이 주049)
이:
일을. 일[事]+(목적겨조사).
아시고 주050)
아시고:
아시고. 알-[知]+시+고(연결어미).
곧 金 주051)
열:
열[十].
兩을 주052)
양(兩)을:
냥을. 당시의 화폐 단위 중 하나인 ‘양(兩)’은 중세국어 문헌에서 대부분 정음 표기인 ‘/’으로 나타나지만, 여기서는 한자로 썼다.
座ㅅ 주053)
좌(座)ㅅ:
자리의. 좌(座)의. ‘ㅅ’은 무정명사 다음에 오는 관형격조사.
예 주054)
예:
사이에. [間]+예(처소부사격조사). ‘예’는 음절부음 [j] 다음에 오는 처소부사격조사.
뒷더시니 주055)
뒷더시니:
두고 있으시더니. 두-[置]+어#잇/-[有](완료상 표지)+더+시+니. ‘-어#잇-’이 축약된 ‘-엣-’은 완료상을 나타낸다. 다만 동사 ‘두-[置]’ 뒤에서는 ‘-엣-’이 ‘-잇-’으로 교체된다. 옮길 때에는 ‘두고 있-’으로 되는데, 이는 완료된 동작의 지속을 의미한다.

한(어떤) 승려 지철(志徹)은 강서(江西)의 사람이니, 본성(本姓)은 장(張)이고 이름은 행창(行昌)이었다. 젊어서는 호협(豪俠)했다. 〈혜능과 신수의〉 남과 북이 나뉘어 교화[分化]함으로부터 두 종주(宗主)는 비록 피아(彼我)가 없었으나, 제자(弟子)의 무리는 다투어 사랑하며 미워함을 일으켰다. 그때에 북종(北宗)의 문인(門人)들이 스스로 신수(神秀) 대사를 세워 제육조(第六祖)로 삼고, 혜능(惠能) 조사께서 옷[法衣]을 전수(傳受)하심이 천하에 들림이 되는 것을 싫어했다. 〈그래서〉 행창을 부촉(咐囑)하여 와서 조사를 찌르라고 했다. 조사께서 타심지(他心智)를 통(通)하여 미리 그 일을 아시고, 곧 금(金) 열 냥(兩)을 자리의 사이에 두고 있으셨다.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한. 어떤.
주002)
:중. 승려.
주003)
강서(江西)ㅅ:강서(江西)의. ‘ㅅ’은 무정명사 다음에 오는 관형격조사.
주004)
사미니:사람이니. 사[人]+이(서술격조사)+니(연결어미).
주005)
장(張)이오:장(張)이고. ‘-오’는 연결어미 ‘-고’의 /ㄱ/ 약화 표기(서술격조사 다음).
주006)
일훔은:이름은. 일훔[名]+은(보조사).
주007)
이러니:이더니. 이-+더/러(과거회상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러-’는 서술격조사 다음에서 ‘-더-’의 이형 표기.
주008)
져머셔:젊어서. 젊어서는. 졈-[少]+어셔.
주009)
호협(豪俠):호방(豪放)하고 의협심(義俠心)이 강함.
주010)
-더니:-하더니. --+더+니.
주011)
북(北)괘:북(北)이. ‘-과(접속조사)+ㅣ(주격조사)’ 중세국어 시기에는 체언을 나열할 경우 마지막 체언의 뒤까지 접속조사 ‘과/와’를 쓰고, 그 뒤에 격조사나 보조사를 두었다.
주012)
분화(分化):나뉘어 교화(敎化)함.
주013)
-호 브터:-함으로부터. -함을 말미암아. ‘--+옴/움(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븥-[自]+어’. 목적격조사 ‘’과 문법화한 ‘브터’가 재구조화하여 ‘으로부터’가 되었다.
주014)
두:두(수관형사).
주015)
종주(宗主)ㅣ:종주(宗主)는. ‘ㅣ’는 모음으로 끝나는 체언 다음에 오는 주격조사. ‘종주(宗主)’는 종파(宗派)를 세우거나 중심이 되는 인물, 곧 종조(宗祖)를 이른다.
주016)
피아(彼我)ㅣ:피아(彼我)가. 너와 내가. 저편과 이편이. ‘ㅣ’는 주격조사.
주017)
업스나:없으나. 없었으나. 없-[亡]+으나.
주018)
제자(弟子):제자(弟子)의. ‘’는 유정명사 다음에 통합되는 관형격조사.
주019)
므리:무리가. 무리는. 므리[衆]+∅(주격조사).
주020)
난겻:다투어. 난겻[競](부사).
주021)
며:사랑하며. -[愛]+며(연결어미).
주022)
믜요:미워함을. 믜-[憎]+옴/움(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주023)
니왇더니:일으키더니. 니왇-[起]+더+니.
주024)
그:그때에. 그[其]#[時]+의(처소부사격조사). ‘[時]’는 ‘의’를 처소부사격 조사로 취하는 이른바 특이 처격어이다.
주025)
북종(北宗):신수대사(神秀大師)를 종조(宗祖)로 하는 선종(禪宗)의 한 파.
주026)
문인(門人):문도(門徒), 곧 제자(弟子)의 무리.
주027)
제:스스로.
주028)
수사(秀師):신수대사(神秀大師)를.
주029)
셰여:세워. 셔-[立]+ㅣ(사동접미사)+어(연결어미).
주030)
삼고:삼고. 삼-[爲]+고(연결어미).
주031)
조사(祖師)ㅣ:조사(祖師)께서. ‘ㅣ’는 관형격조사. 명사절의 주어에 관형격조사를 쓰는 것이 당시의 일반적인 현상이었음.
주032)
옷:옷[法衣]. 육조(六祖) 혜능(惠能) 스님이 오조(五祖) 홍인(弘忍) 스님으로부터 전해 받은 의발(衣鉢) 중 법의(法衣)를 가리킨다.
주033)
전(傳)샤미:전수(傳受)하심이. 전해 받으심이. 전(傳)-+샤+옴/움(명사형어미) +이(주격조사).
주034)
천하(天下)애:천하(天下)에.
주035)
들윰:들림. 듣-[聞]+이(피동접미사)+옴/움(명사형어미). ‘들이-[被聽]’는 피동사임.
주036)
외요:됨을. 되는 것을. 외-[爲]+옴/움(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주037)
아쳐러:싫어하여. 아쳗-[忌]+어(연결어미).
주038)
행창(行昌)일:행창(行昌)이를. 행창(行昌)이에게. ‘ㄹ’은 목적격조사 ‘/를’의 수의변이형.
주039)
부촉(付囑)야:부촉(付囑)하여. ‘부촉(付囑)’은 남에게 부탁함을 이른다. 불타(佛陀)는 설법을 한 뒤에 청중 가운데 한 사람을 가려내어 그 법의 유통을 촉탁하곤 했는데, 이 일에서 ‘부촉(付囑)’이 유래된 것임.
주040)
와:와서. 오-[來]+아(연결어미).
주041)
사(師):조사(祖師)를. ‘’은 목적격조사.
주042)
라:찌르라고. -[刺]+라(종결어미).
주043)
야:하거늘. -+야.
주044)
사(師)ㅣ:조사(祖師)께서. ‘ㅣ’는 주격조사.
주045)
타심(他心)을:타심지(他心智)를. ‘타심지(他心智)’는 다른 사람이 마음속으로 생각하는 것을 아는 지혜이다.
주046)
통(通)샤:통(通)하시어. 통(通)하여. ‘-샤’는 ‘-+샤+아’로 분석된다.
주047)
미리:미리[預].
주048)
그:그[其].
주049)
이:일을. 일[事]+(목적겨조사).
주050)
아시고:아시고. 알-[知]+시+고(연결어미).
주051)
열:열[十].
주052)
양(兩)을:냥을. 당시의 화폐 단위 중 하나인 ‘양(兩)’은 중세국어 문헌에서 대부분 정음 표기인 ‘/’으로 나타나지만, 여기서는 한자로 썼다.
주053)
좌(座)ㅅ:자리의. 좌(座)의. ‘ㅅ’은 무정명사 다음에 오는 관형격조사.
주054)
예:사이에. [間]+예(처소부사격조사). ‘예’는 음절부음 [j] 다음에 오는 처소부사격조사.
주055)
뒷더시니:두고 있으시더니. 두-[置]+어#잇/-[有](완료상 표지)+더+시+니. ‘-어#잇-’이 축약된 ‘-엣-’은 완료상을 나타낸다. 다만 동사 ‘두-[置]’ 뒤에서는 ‘-엣-’이 ‘-잇-’으로 교체된다. 옮길 때에는 ‘두고 있-’으로 되는데, 이는 완료된 동작의 지속을 의미한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