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하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하권
  • 제7 남돈북점(南頓北漸)
  • 남돈북점 9
메뉴닫기 메뉴열기

남돈북점 9


時예 夜暮예 行昌이 入祖室야 將欲加害커 師ㅣ 舒頸就之신대 行昌이 揮刃者三니 悉無所損커 師曰샤 正劒은 不邪ㅣ오 邪劒은 不正니 只負汝金이오 不負汝命호라 신대 行昌

육조법보단경언해 하:15ㄴ

이 驚仆야 久而方蘇야 求哀悔過야 卽願出家대 師ㅣ 遂與金시고 言샤 汝且去라 恐徒衆이 翻害於汝노라 汝ㅣ 可他日에 易形而來라 吾當攝受호리라

그 주001)
그:
그때에. 그[其]#[時]+의(처소부사격조사). ‘[時]’는 ‘의’를 처소부사격조사로 취하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바 주002)
바:
밤에. 밤[夜暮]+의(처소부사격조). ‘밤[夜]’은 ‘의’를 처소부사격조사로 취하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行昌이 祖室 주003)
조실(祖室):
조사(祖師)가 거처하는 실내(室內).
드러 주004)
드러:
들어. 들어가. 들-[入].
 주005)
:
장차.
害호려 주006)
해(害)호려:
해(害)치려. 해(害)-+오/우(선어말어미)+려(의도형연결어미).
커 주007)
커:
하거늘. 하므로.‘커’은 ‘거’의 축약형. ‘-+거(연결어미)’.
師ㅣ 주008)
사(師)ㅣ:
조사(祖師)께서. ‘ㅣ’는 주격조사.
모 주009)
모:
목을. 목[頸]+(목적격조사).
기리혀 주010)
기리혀:
길게 빼어. 기리혀-[舒]+어(연결어미).
나가신대 주011)
나가신대:
나아가신즉. 나아가시니. -[就]+아#가-[之]+시+ㄴ대(이유를 나타내는 연결어미).
行昌이 주012)
갈:
칼. ‘갈ㅎ[刀](ㅎ종성체언)’.
둘우믈 주013)
둘우믈:
휘두르기를. 휘두름을. 두르-[揮]+옴/움+을. ‘두르-’는 모음으로 시작되는 어미 앞에서 불규칙 활용을 하여 어간이 ‘둘-’로 교체된다. ‘르’ 불규칙 활용 중 이른바 ‘ㄹㅇ’형이다.
세 번 니 주014)
니:
하니. 문맥상 ‘하였으나’가 좋을 듯하다.
주015)
다:
다. 모두. 다[悉].
損害호미 주016)
손해(損害)호미:
손해를 끼침이. ‘호미’는 -+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업거 주017)
업거:
없거늘. 없으므로.
師ㅣ

육조법보단경언해 하:16ㄱ

샤
주018)
니샤:
말씀하시되. 이르시되. 니-[曰]+샤+오/우.
正劒 주019)
정검(正劒):
바르게 쓰는 칼.
邪티 주020)
사(邪)티:
사악(邪惡)하지. 사(邪)되지. 사(邪)-+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코 주021)
아니코:
아니하고. 아니-[不]+고(연결어미).
邪劒 주022)
사검(邪劒):
바르게 쓰지 않는 칼, 곧 사(邪)된 칼을 이른다.
正티 주023)
정(正)티:
바르지. 정(正)-+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니 주024)
아니니:
아니하니.
오직 주025)
네:
너의. 네. 너[汝]+ㅣ(관형격조사). 문맥상으로는 ‘너에게’.
金을 주026)
금(金)을:
돈을.
지고 주027)
지고:
빚지고. 빚졌고. 지-[負]+고(연결어미).
命은 주028)
명(命)은:
목숨은.
지디 주029)
지디:
빚지지. 지-[負]+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호라 주030)
아니호라:
아니하였다. 아니-[不]+오/우+라. ‘-호라’는 부정법으로 시제는 과거이다.
신대 주031)
신대:
하시니. 하신즉. -+시+ㄴ대.
行昌이 놀라 주032)
놀라:
놀라. 놀라서. 놀라-[驚]+아.
업더디여 주033)
업더디여:
엎어져서. 엎드러져서. 업더디-[仆]+어.
오라거 주034)
오라거:
오래 되어서야. 오라-[久]+거+(보조사). ‘-거-’는 자동사표지 확인법 선어말어미.
야 주035)
야:
깨어. 깨어나. -[蘇]+아.
어엿비 주036)
어엿비:
가엾게. 어엿비[哀].
너기샤 주037)
너기샤:
여기심을. 너기-+샤+옴/움+(목적격조사).
求야 주038)
구(求)야:
구(求)하여.
허므 주039)
허므:
허물을. 허믈[過]+.
뉘으처 주040)
뉘으처:
뉘우쳐. 뉘읓-[悔]+어.
곧 出家야지다 주041)
-야지다:
-하고, 싶습니다. ‘-야지다’는 ‘--+야(타동사 표지의 확인법 선어말어미)+지(소망의 뜻이 있는 선어말어미)+(상대 높임법의 선어말어미)+다(종결어미)’로 분석된다. ‘(-거/어-, -아/어-)지다’는 ‘쇼셔’체 소망형 종결어미의 기능을 한다.
願대 주042)
원(願)대:
원(願)한즉. 원(願)하니. ‘-ㄴ대’는 이유를 나타내는 연결어미.
師ㅣ 주043)
사(師)ㅣ:
조사(祖師)께서. ‘ㅣ’는 주격조사.
金을 주044)
금(金)을:
돈[金]을.
주시고 주045)
주시고:
주시고. 주-[與]+시+고(연결어미).
니샤 주046)
니샤:
이르시되. 말씀하시되. 니-[言]+샤+오.
주047)
네:
너는. 네가. 너[汝]+ㅣ(주격조사). ‘네’는 상성.
아직 주048)
아직:
아직은. 우선은. ‘아직[且]’.
가라 주049)
가라:
가거라. 가-[去]+라(‘라’체의 명령형 종결어미).
모 주050)
모:
모든.
衆이 주051)
중(衆)이:
대중(大衆)이.
도혀 주052)
도혀:
도리어. 도혀-[翻]+어.
너를 害가 주053)
해(害)가:
해(害)칠까. 해(害)-+ㄹ(동명사어미)+가(‘라’체의 의문조사). ‘-ㄹ가’는 판정의 간접의문형이다.

육조법보단경언해 하:16ㄴ

노라
주054)
전노라:
두렵다. 두렵노라. 젛-[恐]+(직설법 선어말어미)+오+라. ‘전-’은 ‘젛-’의 자음동화 표기.
주055)
네:
너는. 네가. 너[汝]+ㅣ(주격조사). ‘네(상성)’.
可히 다 주056)
다:
다른. 딴. 다-[他]+ㄴ(관형사형어미).
나래 주057)
나래:
날에. 날[日]+애(처소부사격조사).
얼굴 주058)
얼굴:
형상(形相). 모습.
밧고아 주059)
밧고아:
바꾸어. 바꾸어서. 밧고-[易]+아.
오라 주060)
오라:
오너라. 오-[來]+라(‘라’체 명령형 종결어미).
주061)
내:
내가. 나[吾]+ㅣ(주격조사). ‘내(거성)’.
반기 주062)
반기:
반드시.
자바 주063)
자바:
잡아서. 끌어 잡아. 잡-[攝]+아.
受호리라 주064)
수(受)호리라:
받아들일 것이다. 받을 것이다. 수(受)-+오/우+리+라.

그때에 밤에 행창(行昌)이 조사(祖師)의 방에 들어가 장차 해(害)하려 하거늘 조사께서 목을 길게 빼어서 나아가신즉, 행창이 칼 휘두르기를 세 번 하였으나 다 손해를 끼침이 없었다. 조사께서 말씀하시되, “바른 칼[正劒]은 사(邪)되지 아니하고, 사된 칼[邪劒]은 바르지 아니하니, 〈나는〉 오직 너에게 돈[金]을 빚졌고, 너에게 목숨[命]은 빚지지 아니하였다.”〈라고〉 하셨다. 행창이 놀라 엎드리어 오래어서야 깨어나 가엾게 여기심을 구(求)하여 허물을 뉘우쳐 “곧 출가(出家)하고 싶습니다.”〈라고〉 원했다. 조사께서 돈[金]을 주시고 말씀하셨다. “너는 아직 가거라. 모든 대중(大衆)이 도리어 너를 해(害)할까 두렵다. 너는 가히 다른 날에 모습을 바꾸어서 오너라. 내가 반드시 잡아서 받아들일 것이다.”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그:그때에. 그[其]#[時]+의(처소부사격조사). ‘[時]’는 ‘의’를 처소부사격조사로 취하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주002)
바:밤에. 밤[夜暮]+의(처소부사격조). ‘밤[夜]’은 ‘의’를 처소부사격조사로 취하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주003)
조실(祖室):조사(祖師)가 거처하는 실내(室內).
주004)
드러:들어. 들어가. 들-[入].
주005)
:장차.
주006)
해(害)호려:해(害)치려. 해(害)-+오/우(선어말어미)+려(의도형연결어미).
주007)
커:하거늘. 하므로.‘커’은 ‘거’의 축약형. ‘-+거(연결어미)’.
주008)
사(師)ㅣ:조사(祖師)께서. ‘ㅣ’는 주격조사.
주009)
모:목을. 목[頸]+(목적격조사).
주010)
기리혀:길게 빼어. 기리혀-[舒]+어(연결어미).
주011)
나가신대:나아가신즉. 나아가시니. -[就]+아#가-[之]+시+ㄴ대(이유를 나타내는 연결어미).
주012)
갈:칼. ‘갈ㅎ[刀](ㅎ종성체언)’.
주013)
둘우믈:휘두르기를. 휘두름을. 두르-[揮]+옴/움+을. ‘두르-’는 모음으로 시작되는 어미 앞에서 불규칙 활용을 하여 어간이 ‘둘-’로 교체된다. ‘르’ 불규칙 활용 중 이른바 ‘ㄹㅇ’형이다.
주014)
니:하니. 문맥상 ‘하였으나’가 좋을 듯하다.
주015)
다:다. 모두. 다[悉].
주016)
손해(損害)호미:손해를 끼침이. ‘호미’는 -+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주017)
업거:없거늘. 없으므로.
주018)
니샤:말씀하시되. 이르시되. 니-[曰]+샤+오/우.
주019)
정검(正劒):바르게 쓰는 칼.
주020)
사(邪)티:사악(邪惡)하지. 사(邪)되지. 사(邪)-+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21)
아니코:아니하고. 아니-[不]+고(연결어미).
주022)
사검(邪劒):바르게 쓰지 않는 칼, 곧 사(邪)된 칼을 이른다.
주023)
정(正)티:바르지. 정(正)-+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24)
아니니:아니하니.
주025)
네:너의. 네. 너[汝]+ㅣ(관형격조사). 문맥상으로는 ‘너에게’.
주026)
금(金)을:돈을.
주027)
지고:빚지고. 빚졌고. 지-[負]+고(연결어미).
주028)
명(命)은:목숨은.
주029)
지디:빚지지. 지-[負]+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30)
아니호라:아니하였다. 아니-[不]+오/우+라. ‘-호라’는 부정법으로 시제는 과거이다.
주031)
신대:하시니. 하신즉. -+시+ㄴ대.
주032)
놀라:놀라. 놀라서. 놀라-[驚]+아.
주033)
업더디여:엎어져서. 엎드러져서. 업더디-[仆]+어.
주034)
오라거:오래 되어서야. 오라-[久]+거+(보조사). ‘-거-’는 자동사표지 확인법 선어말어미.
주035)
야:깨어. 깨어나. -[蘇]+아.
주036)
어엿비:가엾게. 어엿비[哀].
주037)
너기샤:여기심을. 너기-+샤+옴/움+(목적격조사).
주038)
구(求)야:구(求)하여.
주039)
허므:허물을. 허믈[過]+.
주040)
뉘으처:뉘우쳐. 뉘읓-[悔]+어.
주041)
-야지다:-하고, 싶습니다. ‘-야지다’는 ‘--+야(타동사 표지의 확인법 선어말어미)+지(소망의 뜻이 있는 선어말어미)+(상대 높임법의 선어말어미)+다(종결어미)’로 분석된다. ‘(-거/어-, -아/어-)지다’는 ‘쇼셔’체 소망형 종결어미의 기능을 한다.
주042)
원(願)대:원(願)한즉. 원(願)하니. ‘-ㄴ대’는 이유를 나타내는 연결어미.
주043)
사(師)ㅣ:조사(祖師)께서. ‘ㅣ’는 주격조사.
주044)
금(金)을:돈[金]을.
주045)
주시고:주시고. 주-[與]+시+고(연결어미).
주046)
니샤:이르시되. 말씀하시되. 니-[言]+샤+오.
주047)
네:너는. 네가. 너[汝]+ㅣ(주격조사). ‘네’는 상성.
주048)
아직:아직은. 우선은. ‘아직[且]’.
주049)
가라:가거라. 가-[去]+라(‘라’체의 명령형 종결어미).
주050)
모:모든.
주051)
중(衆)이:대중(大衆)이.
주052)
도혀:도리어. 도혀-[翻]+어.
주053)
해(害)가:해(害)칠까. 해(害)-+ㄹ(동명사어미)+가(‘라’체의 의문조사). ‘-ㄹ가’는 판정의 간접의문형이다.
주054)
전노라:두렵다. 두렵노라. 젛-[恐]+(직설법 선어말어미)+오+라. ‘전-’은 ‘젛-’의 자음동화 표기.
주055)
네:너는. 네가. 너[汝]+ㅣ(주격조사). ‘네(상성)’.
주056)
다:다른. 딴. 다-[他]+ㄴ(관형사형어미).
주057)
나래:날에. 날[日]+애(처소부사격조사).
주058)
얼굴:형상(形相). 모습.
주059)
밧고아:바꾸어. 바꾸어서. 밧고-[易]+아.
주060)
오라:오너라. 오-[來]+라(‘라’체 명령형 종결어미).
주061)
내:내가. 나[吾]+ㅣ(주격조사). ‘내(거성)’.
주062)
반기:반드시.
주063)
자바:잡아서. 끌어 잡아. 잡-[攝]+아.
주064)
수(受)호리라:받아들일 것이다. 받을 것이다. 수(受)-+오/우+리+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