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하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하권
  • 제7 남돈북점(南頓北漸)
  • 남돈북점 18
메뉴닫기 메뉴열기

남돈북점 18


師見諸宗이 難問야 咸起惡心야 多集座下시고 愍而謂曰샤 學道之人은 一切善念惡念을 應當盡除고 無名可名야 名於自性無二之性이 是名이 實性이니 於實性上애 建立一切敎門이니 言下애 便須自見호리라 諸人

육조법보단경언해 하:30ㄱ

이 聞說고 總皆作禮고 請事爲師니라

師ㅣ 諸宗 주001)
제종(諸宗):
여러 종파(宗派), 또는 종문(宗門)을 이른다.
難問 주002)
난문(難問):
대답하기 곤란한 질문.
야 다 모딘 주003)
모딘:
나쁜. 모딜-[惡]+ㄴ(관형사형어미).
 주004)
:
마음을. [心].
니와다 주005)
니와다:
일으켜. 니왇-[起]+아(연결어미).
座下 주006)
좌하(座下):
회하(會下). 사승(師僧) 아래에서 참선과 수도를 하는 학인(學人)이나 수도하는 장소를 이른다.
모도 주007)
모도:
모임을. 몯-[集]+옴/움+(목적격조사).
보시고 주008)
보시고:
보시고. 보-[見]+시+고.
어엿비 주009)
어엿비:
가엾게. 어엿브-[愍]+이(부사파생접미사).
너겨 주010)
너겨:
여겨. 너기-+어.
니샤 주011)
도(道):
종교상으로 근본이 되는 뜻.
홀 주012)
홀:
배우는. 호-[學]+ㄹ(관형사형어미).
사은 주013)
사은:
사람은. 사[人]+(보조사).
一切ㅅ 주014)
일체(一切)ㅅ:
일체(一切)의. 온갖.
善念 주015)
선념(善念):
선(善)한 생각.
惡念 주016)
악념(惡念):
악(惡)한 생각.
반기 주017)
반기:
반드시.
덜오 주018)
덜오:
덜고. 덜어내고. 덜-[除]+고/오(연결어미). ‘-오’는 ‘ㄹ’ 다음에서 /ㄱ/ 약화 표기.
일후미 주019)
일후미:
이름이. 일훔[名]+이(주격조사).
어루 주020)
어루:
가히.
일훔 업서 주021)
업서:
없어. 없-[無]+어.
주022)
제:
자기의. 자신의. 저[自]+ㅣ(관형격조사). ‘제’는 평성.
주023)
성(性):
사람이 본래부터 갖추고 있는 불변의 본질로서의 ‘법성(法性)’이나 ‘불성(佛性)’을 이르는 말이다.
주024)
둘:
둘이. 둘[二].
업슨 주025)
업슨:
없는. 없-[無]+은.
性을 일훔호미 주026)
일훔호미:
이름함이. 일훔[名]++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주027)
이:
이. 이[是](지시관형사).
일후미 實性 주028)
실성(實性):
우주 만유의 실체로서, 현실적이며 평등ㆍ무차별한 절대의 진리.
이니 實性 우희 주029)
우희:
위에. 우ㅎ[上]+의(처소부사격조사). ‘우ㅎ’는 처소부사격조사로 ‘의’를 취하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육조법보단경언해 하:30ㄴ

敎門 주030)
교문(敎門):
불도(佛道)에 들어가는 문(門)을 이른다.
셰요리니 주031)
셰요리니:
세울 것이니. 셔-[建]+ㅣ(사동접미사)+오(선어말어미)+리+니.
言下애 주032)
언하(言下)애:
언하(言下)에. 말이 떨어지자마자 바로.
모로매 주033)
모로매:
모름지기. 모로매[須](부사).
주034)
제:
스스로.
보리라 주035)
보리라:
보리라. 볼 것이다. 보-[見]+리+라.
모 주036)
모:
모든. 모[諸](관형사).
사미 주037)
사미:
사람이. 사[人]+이(주격조사).
니샤 주038)
니샤:
이르심을. 말씀하심을. 니-[說]+샤+옴/움+(목적격조사).
듣고 주039)
듣고:
듣고. 듣-[聞]+(겸양법선어말어미)+고(연결어미).
저고 주040)
저고:
저쑵고. 절하고. 저-[作禮]+고.
請와 주041)
청(請)와:
청(請)하여. 청(請)-++아(연결어미).
셤겨 주042)
셤겨:
섬기어. 섬기-[事]+어.
스 주043)
스:
스승.
삼오니라 주044)
삼오니라:
삼은 것이다. 삼았다. 삼-[爲]++니라.

조사께서 제종(諸宗)이 난문(難問)하여 다 나쁜 마음을 일으켜 좌하(座下)에 모이는 것을 보시고 가엾게 여겨 말씀하셨다. “도(道)를 배우는 사람은 일체의 선념(善念)과 악념(惡念)을 반드시 다 덜어내야 한다. 이름이 가히 이름이 없어 자신의 성(性)에 둘이 없는 성(性)을 이름함이 이 이름이 실성(實性)이다. 실성(實性)의 위에 일체의 교문(敎門)을 세울 것이니, 말 아래[言下]에 곧 모름지기 스스로 볼 것이다.” 모든 사람이 이르심을 듣고 다 절하며 청(請)하여 섬기어 스승을 삼았다.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제종(諸宗):여러 종파(宗派), 또는 종문(宗門)을 이른다.
주002)
난문(難問):대답하기 곤란한 질문.
주003)
모딘:나쁜. 모딜-[惡]+ㄴ(관형사형어미).
주004)
:마음을. [心].
주005)
니와다:일으켜. 니왇-[起]+아(연결어미).
주006)
좌하(座下):회하(會下). 사승(師僧) 아래에서 참선과 수도를 하는 학인(學人)이나 수도하는 장소를 이른다.
주007)
모도:모임을. 몯-[集]+옴/움+(목적격조사).
주008)
보시고:보시고. 보-[見]+시+고.
주009)
어엿비:가엾게. 어엿브-[愍]+이(부사파생접미사).
주010)
너겨:여겨. 너기-+어.
주011)
도(道):종교상으로 근본이 되는 뜻.
주012)
홀:배우는. 호-[學]+ㄹ(관형사형어미).
주013)
사은:사람은. 사[人]+(보조사).
주014)
일체(一切)ㅅ:일체(一切)의. 온갖.
주015)
선념(善念):선(善)한 생각.
주016)
악념(惡念):악(惡)한 생각.
주017)
반기:반드시.
주018)
덜오:덜고. 덜어내고. 덜-[除]+고/오(연결어미). ‘-오’는 ‘ㄹ’ 다음에서 /ㄱ/ 약화 표기.
주019)
일후미:이름이. 일훔[名]+이(주격조사).
주020)
어루:가히.
주021)
업서:없어. 없-[無]+어.
주022)
제:자기의. 자신의. 저[自]+ㅣ(관형격조사). ‘제’는 평성.
주023)
성(性):사람이 본래부터 갖추고 있는 불변의 본질로서의 ‘법성(法性)’이나 ‘불성(佛性)’을 이르는 말이다.
주024)
둘:둘이. 둘[二].
주025)
업슨:없는. 없-[無]+은.
주026)
일훔호미:이름함이. 일훔[名]++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주027)
이:이. 이[是](지시관형사).
주028)
실성(實性):우주 만유의 실체로서, 현실적이며 평등ㆍ무차별한 절대의 진리.
주029)
우희:위에. 우ㅎ[上]+의(처소부사격조사). ‘우ㅎ’는 처소부사격조사로 ‘의’를 취하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주030)
교문(敎門):불도(佛道)에 들어가는 문(門)을 이른다.
주031)
셰요리니:세울 것이니. 셔-[建]+ㅣ(사동접미사)+오(선어말어미)+리+니.
주032)
언하(言下)애:언하(言下)에. 말이 떨어지자마자 바로.
주033)
모로매:모름지기. 모로매[須](부사).
주034)
제:스스로.
주035)
보리라:보리라. 볼 것이다. 보-[見]+리+라.
주036)
모:모든. 모[諸](관형사).
주037)
사미:사람이. 사[人]+이(주격조사).
주038)
니샤:이르심을. 말씀하심을. 니-[說]+샤+옴/움+(목적격조사).
주039)
듣고:듣고. 듣-[聞]+(겸양법선어말어미)+고(연결어미).
주040)
저고:저쑵고. 절하고. 저-[作禮]+고.
주041)
청(請)와:청(請)하여. 청(請)-++아(연결어미).
주042)
셤겨:섬기어. 섬기-[事]+어.
주043)
스:스승.
주044)
삼오니라:삼은 것이다. 삼았다. 삼-[爲]++니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