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하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하권
  • 제7 남돈북점(南頓北漸)
  • 남돈북점 1
메뉴닫기 메뉴열기

남돈북점 1


然이나 秀之徒衆이 往往이 譏南宗祖師호 不識一字커니 有何所長이리오 秀ㅣ曰호 他ㅣ 得

육조법보단경언해 하:2ㄴ

無師之智야 深悟上乘니 吾不如也이로라 且吾師五祖ㅣ 親傳衣法시니 豈徒然哉리오 吾ㅣ 恨不能遠去親近고 虛受國恩노라 汝等諸人은 無滯於此고 可往曺溪야 參決이니라 乃命門人志誠曰호 汝 聰明多智니 可爲吾야 到曺溪야 聽法호 汝若聞法이어든 盡心記取야 還爲吾說라

그러나 秀의 徒衆 주001)
도중(徒衆):
문도대중(門徒大衆). 문하(門下)의 제자들.
므리므리예 주002)
므리므리예:
때때로. 이따금.

육조법보단경언해 하:3ㄱ

南宗 祖師 주003)
남종(南宗) 조사(祖師):
육조(六祖) 혜능(惠能)이 강남(江南)에 있으면서 종풍(宗風)을 크게 드날렸으므로, 그 종파를 일러 남종(南宗)이라고 한다. 따라서 남종 조사는 혜능을 가리킨다.
긔# 주004)
기(欺弄):
남을 업신여기어 실없는 말로 놀림. 희롱(戱弄).
호 주005)
-호:
-하되. +오/우(설명형어미).
 字도 아디 주006)
아디:
알지. 알-[識]+디(보조적연결어미).
몯거니 주007)
몯거니:
못하거니. 몯-[不]+거니.
므슴 주008)
므슴:
무슨. 므슴[何](관형사).
所長 주009)
소장(所長):
자기가 가진 장점. 대단한 점.
이시리오 주010)
이시리오:
있으리오. 있을 것인가. 이시-[有]+리+고/오(의문형종결어미). ‘-고’가 /ㄱ/ 약화를 거쳐 ‘-오’로 교체된 형태. 서술격조사 뒤에서도 /ㄱ/이 약화되는데, ‘-으리-’는 기원적으로 서술격조사를 구성 요소로 갖고 있다. /ㄱ/이 약화된 ‘ㅇ’은 유성후두마찰음 [ɦ]을 표기한 것이다. 이때의 ‘ㅇ’은 자음을 표기한 것이므로 연철되지 않는다.
秀ㅣ 닐오 주011)
닐오:
이르되. 말하되. 니-[曰]+오/우. ‘니-’는 모음으로 시작되는 어미 앞에서 불규칙 활용을 하여 어간이 ‘닐-’로 교체된다. ‘’ 불규칙 활용 중 이른바 ‘ㄹㅇ’형이다.
주012)
뎨:
그분은. 그분이. 뎌[他]+ㅣ(주격조사).
無師智 주013)
무사지(無師智):
스승이 없이 혼자서 터득한 지혜(智慧), 곧 부처의 지혜를 이른다.
得야 주014)
득(得)야:
얻어.
上乘 주015)
상승(上乘):
대승(大乘). 중생을 제도하여 이상경(理想境)에 이르게 하는 교법 가운데, 교설과 수행은 물론, 이상과 목적이 모두 크고 깊은 것. 이타주의(利他主義)에 의해 널리 인간 전체의 구제를 주장하는 적극적인 불법(佛法)을 이른다.
기피 주016)
기피:
깊이. 깊-[深]+이(부사파생접미사).
아니 주017)
아니:
깨달았으니. 알았으니. 알-[悟]+니.
주018)
내:
나는. 내가. 나[吾]+ㅣ(주격조사).
디 주019)
디:
같지. -[如]+디. ‘-’은 부사 ‘’에 ‘-’가 붙어서 형성된 형용사 ‘-’가 ‘니(<-+니)’와 같은 오분석의 결과 새롭게 형성된 형태이다. ‘-’은 음절말의 8종성표기법에 의해 실현된 것이다.
몯호라 주020)
몯호라:
못하다. 몯-[不]+오/우+라.
 우리 師 五祖ㅣ 주021)
오조(五祖)ㅣ:
오조(五祖)께서. 오조(五祖)는. ‘오조(五祖)’는 선종(禪宗)의 5대 조사인 홍인(弘忍)을 이른다. ‘ㅣ’는 주격조사.
衣法 주022)
의법(衣法):
가사(袈裟)와 법(法).
을 親히 傳시니 엇뎨 주023)
엇뎨:
어찌. 어찌하여. 엇뎨[豈](부사).
므던리오 주024)
므던리오:
대수롭지 않으리오. 공연(空然)하리오. 므던-[徒然]+리+고/오(의문형어미). ‘-오’는 ‘-고’에서 /ㄱ/ 약화된 형태.
내 能히 머리 주025)
머리:
멀리.
주026)
가:
가서. 가-[去]+아(연결어미).
親近 주027)
친근(親近):
가까이함.
몯고 國恩 주028)
국은(國恩):
나라의 은혜. 신수(神秀) 대사는 측천무후(則天武后)의 귀의를 받고 자주 내도량(內道場)에서 설법하였었는데, 여기서의 국은(國恩)은 이러한 사실을 말하는 것으로 보인다.
虛히 受호 주029)
수(受)호:
받음을. ‘-호’은 +옴/움+.
애노라 주030)
애노라:
애달파 하노라. 애달-[恨]++오/우+라.

육조법보단경언해 하:3ㄴ

희 모 사은 이 주031)
이:
여기에. 여기에서. 이[此]+ㆁ+에. ‘ㆁ’은 장소를 뜻하는 형태소일 가능성이 있음.
걸여 주032)
걸여:
걸리어. 걸려. 걸이-[滯]+어.
잇디 주033)
잇디:
있지. 잇-[有]+디.
마오 주034)
마오:
말고. 말-[無]+고/오. ‘-오’는 /ㄹ/ 뒤에서 /ㄱ/ 약화 표기. /ㄱ/은 서술격조사와 /ㄹ/ 및 하향이중모음의 음절부음 [j] 뒤에서 약화되어 ‘ㅇ’으로 표기된다. ‘마-’는 ‘말-’의 이형 표기.
可히 曺溪예 가 뵈야 주035)
뵈야:
뵈어. 뵈-[參]+야.
決홀디니라 주036)
-홀디니라:
-할지니라. -할 것이니라. ‘-홀디니라’는 ‘-+오/우+ㄹ디니라(ㄹ++ㅣ+니라)’로 분석됨.
門人 志誠을 命야 닐오 너 聰明고 智慧 하니 주037)
하니:
많으니. 하-[多]+니.
可히 주038)
날:
나를. 나[吾]+ㄹ(목적격조사).
爲야 曺溪 주039)
예:
에. ‘예’는 음절부음 [j] 다음에 오는 처소부사격조사.
주040)
법(法):
물(物)·심(心)·선(善)·악(惡)의 모든 사상을 이른다.
드로 주041)
드로:
듣되. 듣-[聽]+오/우.
주042)
네:
네가. 너[汝]+ㅣ(주격조사). ‘네’는 주격형과 관형격형에 두루 쓰이는데, 성조에 의하여 구분한다. ‘׃네(상성)’는 주격형이고, ‘네(평성)’는 관형격형이다. 인칭대명사의 주격형태와 관형격형태는 성조에 의해서 구별된다.
다가 주043)
다가:
만약.
드러든 주044)
드러든:
듣거든. 듣-[聞]+어든(어+든). ‘-어/아-’는 타동사 어간 다음에 오는 선어말어미로, 과거시제나 완료, 또는 확인법을 나타낸다.
 주045)
:
마음껏[盡心].
記錄야 도라와 주046)
도라와:
돌아와서. 도라오-[還]+아.
날 爲야 니라 주047)
니라:
일러라. 말해라. 니-[說]+라.

그러나 신수(神秀)의 무리들[徒衆]이 때때로 남종(南宗) 조사를 헐뜯[譏弄]었다. “한 글자도 알지 못하면서 무슨 소장(所長 : 대단한 점)이 있으리오?” 〈그렇지만〉 신수대사는 이르셨다. “그분은 ‘스승없는 지혜[無師智]’를 얻어 상승(上乘)을 깊이 아나, 나는 〈그와〉 같지 못하다. 또 우리 스승이신 오조(五祖)께서 ‘가사와 법[衣法]’을 친히 전하시니 어찌 대수롭지 않으리오(공연하리오). 내가 능히 멀리 가서 친근(親近)치 못하고, 국은(國恩)을 헛되이 받음을 애달파 하노라. 너희 모든 사람은 여기에 걸려 있지 말고, 가히 조계(曺溪)에 가 뵈어 결(決)할지니라.” 〈그리고〉 문인(門人) 지성(志誠)에게 명하여 이르셨다. “너는 총명하고 지혜가 많으니 가히 나를 위하여 조계에 가서 법(法)을 듣되, 네가 만약 법을 듣거든 마음껏 기록하여 돌아와서는 나를 위하여 일러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도중(徒衆):문도대중(門徒大衆). 문하(門下)의 제자들.
주002)
므리므리예:때때로. 이따금.
주003)
남종(南宗) 조사(祖師):육조(六祖) 혜능(惠能)이 강남(江南)에 있으면서 종풍(宗風)을 크게 드날렸으므로, 그 종파를 일러 남종(南宗)이라고 한다. 따라서 남종 조사는 혜능을 가리킨다.
주004)
기(欺弄):남을 업신여기어 실없는 말로 놀림. 희롱(戱弄).
주005)
-호:-하되. +오/우(설명형어미).
주006)
아디:알지. 알-[識]+디(보조적연결어미).
주007)
몯거니:못하거니. 몯-[不]+거니.
주008)
므슴:무슨. 므슴[何](관형사).
주009)
소장(所長):자기가 가진 장점. 대단한 점.
주010)
이시리오:있으리오. 있을 것인가. 이시-[有]+리+고/오(의문형종결어미). ‘-고’가 /ㄱ/ 약화를 거쳐 ‘-오’로 교체된 형태. 서술격조사 뒤에서도 /ㄱ/이 약화되는데, ‘-으리-’는 기원적으로 서술격조사를 구성 요소로 갖고 있다. /ㄱ/이 약화된 ‘ㅇ’은 유성후두마찰음 [ɦ]을 표기한 것이다. 이때의 ‘ㅇ’은 자음을 표기한 것이므로 연철되지 않는다.
주011)
닐오:이르되. 말하되. 니-[曰]+오/우. ‘니-’는 모음으로 시작되는 어미 앞에서 불규칙 활용을 하여 어간이 ‘닐-’로 교체된다. ‘’ 불규칙 활용 중 이른바 ‘ㄹㅇ’형이다.
주012)
뎨:그분은. 그분이. 뎌[他]+ㅣ(주격조사).
주013)
무사지(無師智):스승이 없이 혼자서 터득한 지혜(智慧), 곧 부처의 지혜를 이른다.
주014)
득(得)야:얻어.
주015)
상승(上乘):대승(大乘). 중생을 제도하여 이상경(理想境)에 이르게 하는 교법 가운데, 교설과 수행은 물론, 이상과 목적이 모두 크고 깊은 것. 이타주의(利他主義)에 의해 널리 인간 전체의 구제를 주장하는 적극적인 불법(佛法)을 이른다.
주016)
기피:깊이. 깊-[深]+이(부사파생접미사).
주017)
아니:깨달았으니. 알았으니. 알-[悟]+니.
주018)
내:나는. 내가. 나[吾]+ㅣ(주격조사).
주019)
디:같지. -[如]+디. ‘-’은 부사 ‘’에 ‘-’가 붙어서 형성된 형용사 ‘-’가 ‘니(<-+니)’와 같은 오분석의 결과 새롭게 형성된 형태이다. ‘-’은 음절말의 8종성표기법에 의해 실현된 것이다.
주020)
몯호라:못하다. 몯-[不]+오/우+라.
주021)
오조(五祖)ㅣ:오조(五祖)께서. 오조(五祖)는. ‘오조(五祖)’는 선종(禪宗)의 5대 조사인 홍인(弘忍)을 이른다. ‘ㅣ’는 주격조사.
주022)
의법(衣法):가사(袈裟)와 법(法).
주023)
엇뎨:어찌. 어찌하여. 엇뎨[豈](부사).
주024)
므던리오:대수롭지 않으리오. 공연(空然)하리오. 므던-[徒然]+리+고/오(의문형어미). ‘-오’는 ‘-고’에서 /ㄱ/ 약화된 형태.
주025)
머리:멀리.
주026)
가:가서. 가-[去]+아(연결어미).
주027)
친근(親近):가까이함.
주028)
국은(國恩):나라의 은혜. 신수(神秀) 대사는 측천무후(則天武后)의 귀의를 받고 자주 내도량(內道場)에서 설법하였었는데, 여기서의 국은(國恩)은 이러한 사실을 말하는 것으로 보인다.
주029)
수(受)호:받음을. ‘-호’은 +옴/움+.
주030)
애노라:애달파 하노라. 애달-[恨]++오/우+라.
주031)
이:여기에. 여기에서. 이[此]+ㆁ+에. ‘ㆁ’은 장소를 뜻하는 형태소일 가능성이 있음.
주032)
걸여:걸리어. 걸려. 걸이-[滯]+어.
주033)
잇디:있지. 잇-[有]+디.
주034)
마오:말고. 말-[無]+고/오. ‘-오’는 /ㄹ/ 뒤에서 /ㄱ/ 약화 표기. /ㄱ/은 서술격조사와 /ㄹ/ 및 하향이중모음의 음절부음 [j] 뒤에서 약화되어 ‘ㅇ’으로 표기된다. ‘마-’는 ‘말-’의 이형 표기.
주035)
뵈야:뵈어. 뵈-[參]+야.
주036)
-홀디니라:-할지니라. -할 것이니라. ‘-홀디니라’는 ‘-+오/우+ㄹ디니라(ㄹ++ㅣ+니라)’로 분석됨.
주037)
하니:많으니. 하-[多]+니.
주038)
날:나를. 나[吾]+ㄹ(목적격조사).
주039)
예:에. ‘예’는 음절부음 [j] 다음에 오는 처소부사격조사.
주040)
법(法):물(物)·심(心)·선(善)·악(惡)의 모든 사상을 이른다.
주041)
드로:듣되. 듣-[聽]+오/우.
주042)
네:네가. 너[汝]+ㅣ(주격조사). ‘네’는 주격형과 관형격형에 두루 쓰이는데, 성조에 의하여 구분한다. ‘׃네(상성)’는 주격형이고, ‘네(평성)’는 관형격형이다. 인칭대명사의 주격형태와 관형격형태는 성조에 의해서 구별된다.
주043)
다가:만약.
주044)
드러든:듣거든. 듣-[聞]+어든(어+든). ‘-어/아-’는 타동사 어간 다음에 오는 선어말어미로, 과거시제나 완료, 또는 확인법을 나타낸다.
주045)
:마음껏[盡心].
주046)
도라와:돌아와서. 도라오-[還]+아.
주047)
니라:일러라. 말해라. 니-[說]+라.
책목차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