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하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하권
  • 제10 부촉유통(付囑流通)
  • 부촉유통 9
메뉴닫기 메뉴열기

부촉유통 9


육조법보단경언해 하:66ㄱ

又問호 後에 莫有難否ㅣ가 師曰샤 吾滅後五六年예 當有一人이 來取吾首리니 聽吾記라 曰샤 頭上애 養親고 口裏예 須飧리니 遇滿之難애 楊柳ㅣ 爲官이리라 又云샤 吾去七十年에 有二菩薩이 從東方來야 一은 出家고 一은 在家야 同時興化고 建立吾宗야 締緝伽藍야 昌隆法嗣리라 問曰호 未知커다 從上佛祖ㅣ 應現已來ㅣ傳授幾

육조법보단경언해 하:66ㄴ

代ㅣ니고 願垂開示쇼셔

묻오 주001)
묻오:
묻되. 여쭙되. 묻-[問]+(겸양법 선어말어미)+오/우.
後에 주002)
후(後)에:
후(後)에. 뒷날.
아니 주003)
아니:
아니. 아니[莫](부사).
難이 주004)
난(難)이:
난(難)이. 어려움이.
이시리가 주005)
이시리가:
있겠습니까. 이시-[有]+리(추측법 선어말어미)++ㅅ+가. ‘-가’는 ‘쇼셔’체의 판정 의문형어미.
師ㅣ 니샤 주006)
나:
내가. 나.
滅 주007)
멸(滅):
입멸(入滅)한. 멸도(滅度)한. ‘입멸(入滅)’은 수도승(修道僧)의 죽음을 이르는 말이다.
後 五六年에 반기 주008)
반기:
반드시. 반기[當](부사).
주009)
:
한. [一](관형사).
사미 주010)
와:
와서. 오-[來]+아(연결어미).
주011)
내:
나의. ‘내[吾]’는 평성.
머리 取리니 내 주012)
기(記):
예언(豫言), 또는 기별(記別).
닐오 주013)
닐오:
말하는 것을. 이르는 것을. 이름을. 말함을. 니-[曰]+옴/움(명사형어미)+.
드르라 주014)
드르라:
들어라. 들으라. 듣-[聽]+으라(‘라’체의 명령형 종결어미).
머리 주015)
머리:
머리. 머리[頭].
우희 주016)
우희:
위에. 위로. 우ㅎ[上]+의(처소부사격조사). ‘우ㅎ[上]’는 처소 부사격으로 ‘의’를 취하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親 주017)
친(親):
어버이를.
孝養고 주018)
효양(孝養)고:
효도하며 봉양(奉養)하고. 받들고.
주019)
친(親) 효양(孝養)고:
신라승(新羅僧) 김대비(金大悲)가 조사(祖師)의 머리를 해동(海東)에 모셔다 공양(供養)하고자 함을 이른다.
입소배 주020)
입소배:
입속에. 입[口]#솝[裏]+애(처소부사격조사).
바 주021)
바:
밥을. 밥[飱]+(목적격조사).
주022)
입소배 바:
정만(淨滿)이 생계를 위하여 이만 냥을 받고 조사의 머리를 취(取)할 일을 이른다.
求리니 주023)
구(求)리니:
구(求)하리니. 구(求)할 것이니. ‘-리니’는 ‘-+리(추측법선어말어미)+니(이유나 조건을 나타내는 연결어미)’로 분석된다.
滿 주024)
만(滿):
‘정만(淨滿)’을.
맛난 주025)
맛난:
만난. 맞나-[遇]+ㄴ(관형사형어미).
難애 주026)
난(難)애:
난(難)에. 여기서 ‘난(難)’은 ‘정만(淨滿)’이 이만 냥을 받고 조사(祖師)의 머리를 취(取)할 일을 이른다.
楊과 柳왜 주027)
양(楊)과 유(柳)왜:
양(楊)과 유(柳)가. ‘왜’는 ‘와(접속조사)+ㅣ(주격조사)’로 분석된다. 당시에는 마지막 체언 다음까지 접속조사가 오고 그 뒤에 격조사나 보조사를 두었다. ‘양(楊)과 유(柳)’는 현령(縣令)이었던 양간(楊侃)과 유무첨(柳無忝)을 이른다.
官員 주028)
관원(官員):
관원(官員)이.
외리라 주029)
외리라:
될 것이다. 되리라. 외-[爲]+리(추측법선어말어미)+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니

육조법보단경언해 하:67ㄱ

샤
주030)
니샤:
이르시되. 말씀하시되. 니-[云]+샤+오/우.
주031)
나:
내가. 나.
주032)
간:
간. 간 ~후. 가-[去]+ㄴ(관형사형어미).
七十年에 두 菩薩 주033)
보살(菩薩):
부처에 버금가는 성인(聖人), 또는 고승(高僧)을 높여서 이르는 말이다.
東方으로셔 주034)
동방(東方)으로셔:
동방(東方)으로부터. ‘-으로셔’는 ‘유래 부사격조사’이다.
나 주035)
나:
하나는. 나ㅎ[一]+(보조사).
出家고 주036)
출가(出家)고:
출가(出家)하고. ‘출가(出家)’는 세속(世俗)의 집을 떠나 불문(佛門)에 듦을 이른다.
나 在家야 주037)
재가(在家)야:
재가(在家)하여. ‘재가(在家)’는 사회에서 살아가는 불교 신자를 이른다.
 주038)
:
함께. ‘[一]#[時]+의(처소부사격조사)’가 합성하여 ‘[同時]’가 되었다.
敎化 주039)
교화(敎化):
교화(敎化)를. ‘교화(敎化)’는 가르치거나 영향을 주어서 사람을 좋은 방향으로 나아가게 하는 일을 이른다.
니와다 주040)
니와다:
일으켜. 니왇-[興化]+아(연결어미).
주041)
내:
나의. 나[吾]+ㅣ(관형격조사).
宗을 주042)
종(宗)을:
종(宗)을. ‘종(宗)’은 종교상의 갈래나 유파.
셰여 주043)
셰여:
세워. 셔-[建立]+ㅣ(사동접미사)+어(연결어미).
伽藍 주044)
가람(伽藍):
승가람마(僧家藍摩). 승려들이 살면서 불도를 닦는 집, 곧 절의 건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라 주045)
라:
만들어. -[締緝]+아.
니미 주046)
니미:
이음이. 있는 것이. 이어 감이. -[嗣]+옴/움+이(주격조사).
盛리라 주047)
성(盛)리라:
성(盛)하리라. 성(盛)할 것이다. ‘-리라’는 ‘-+리(추측법 선어말어미)+라(종결어미)’로 분석된다. ‘-리-’에는 기원적으로 서술격이 내재되어 있다.
묻오 아디 주048)
아디:
알지. 알-[知]+디(보조적 연결어미).
몯게다 주049)
몯게다:
못하겠습니다. 몯-[未]+게++다.
우흿 주050)
우흿:
위의. 우ㅎ[上]+의(처소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
佛祖ㅣ 주051)
불조(佛祖)ㅣ:
부처님과 조사(祖師)께서. ‘ㅣ’는 주격조사.
應現샤 주052)
응현(應現)샤:
응현(應現)하시어. 응(應)하여 나타나시어. ‘-샤’는 ‘-+샤+아’로 분석된다. ‘응현(應現)’은 불ㆍ보살이 여러 가지 근성(根性)에 대하여, 각기 상응한 몸을 나타내어 이해할 수 있는 교법을 말하거나 교화(敎化)하는 것을 이른다.
오매 주053)
오매:
옴에. 오-[來]+옴/움(명사형어미)+애(부사격조사). ‘·오-(거성)’에 명사형어미 ‘옴’이 통합되면 ‘-오/우-’는 나타나지 않고 성조만 상성[:옴]으로 바뀐다.
주054)
몃:
몇. 몃[幾](관형사).
代나 傳授시니고 주055)
전수(傳授)시니고:
전수(傳授)하신 것입니까. ‘-시니고’는 ‘-+시+니++ㅅ+고’로 분석된다. ‘-니고’는 ‘쇼셔’체의 설명 의문형어미이다.
願 주056)
원(願):
원(願)하건대. 원(願)하는 것은. ‘-’은 ‘-+ㄴ(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ㄴ(보조사)’.
여러 주057)
여러:
열어. 열-[開]+어.
뵈쇼셔 주058)
뵈쇼셔:
보이십시오. 보-[示]+ㅣ(사동접미사)+쇼셔(‘쇼셔’체의 명령형 종결어미).

또 여쭈었다. “후(後)에 어려움[難]이 아니 있겠습니까?” 조사께서 말씀하셨다. “내가 입멸(入滅)한 후 오륙년에 반드시 한 사람이 와서 내 머리를 취(取)할 것이니, 내가 예언[記] 말하는 것을 들어라. ‘머리 위에 어버이[親]를 효양(孝養)하고, 입 속에 밥을 구할 것이니, 만(滿)을 만난 난(難)에 양(楊)과 유(柳)가 관원(官員)이 될 것이다.’” 또 이르셨다. “내가 간 칠십 년 뒤에 두 보살(菩薩)이 동방(東方)으로부터 와서, 하나는 출가(出家)하고 하나는 재가(在家)할 것이다. 함께 교화(敎化)를 일으켜 나의 종(宗)을 세우고, 가람(伽藍)을 만들어서 법(法) 이어 감이 성(盛)할 것이다.” 〈대중이〉 여쭈었다. “알지 못하겠습니다. 위의 불조(佛祖:부처님과 조사)가 응현(應現)하여 옴에 몇 대(代)나 전수(傳授)하신 것입니까? 원하건대 열어 보이십시오.”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묻오:묻되. 여쭙되. 묻-[問]+(겸양법 선어말어미)+오/우.
주002)
후(後)에:후(後)에. 뒷날.
주003)
아니:아니. 아니[莫](부사).
주004)
난(難)이:난(難)이. 어려움이.
주005)
이시리가:있겠습니까. 이시-[有]+리(추측법 선어말어미)++ㅅ+가. ‘-가’는 ‘쇼셔’체의 판정 의문형어미.
주006)
나:내가. 나.
주007)
멸(滅):입멸(入滅)한. 멸도(滅度)한. ‘입멸(入滅)’은 수도승(修道僧)의 죽음을 이르는 말이다.
주008)
반기:반드시. 반기[當](부사).
주009)
:한. [一](관형사).
주010)
와:와서. 오-[來]+아(연결어미).
주011)
내:나의. ‘내[吾]’는 평성.
주012)
기(記):예언(豫言), 또는 기별(記別).
주013)
닐오:말하는 것을. 이르는 것을. 이름을. 말함을. 니-[曰]+옴/움(명사형어미)+.
주014)
드르라:들어라. 들으라. 듣-[聽]+으라(‘라’체의 명령형 종결어미).
주015)
머리:머리. 머리[頭].
주016)
우희:위에. 위로. 우ㅎ[上]+의(처소부사격조사). ‘우ㅎ[上]’는 처소 부사격으로 ‘의’를 취하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주017)
친(親):어버이를.
주018)
효양(孝養)고:효도하며 봉양(奉養)하고. 받들고.
주019)
친(親) 효양(孝養)고:신라승(新羅僧) 김대비(金大悲)가 조사(祖師)의 머리를 해동(海東)에 모셔다 공양(供養)하고자 함을 이른다.
주020)
입소배:입속에. 입[口]#솝[裏]+애(처소부사격조사).
주021)
바:밥을. 밥[飱]+(목적격조사).
주022)
입소배 바:정만(淨滿)이 생계를 위하여 이만 냥을 받고 조사의 머리를 취(取)할 일을 이른다.
주023)
구(求)리니:구(求)하리니. 구(求)할 것이니. ‘-리니’는 ‘-+리(추측법선어말어미)+니(이유나 조건을 나타내는 연결어미)’로 분석된다.
주024)
만(滿):‘정만(淨滿)’을.
주025)
맛난:만난. 맞나-[遇]+ㄴ(관형사형어미).
주026)
난(難)애:난(難)에. 여기서 ‘난(難)’은 ‘정만(淨滿)’이 이만 냥을 받고 조사(祖師)의 머리를 취(取)할 일을 이른다.
주027)
양(楊)과 유(柳)왜:양(楊)과 유(柳)가. ‘왜’는 ‘와(접속조사)+ㅣ(주격조사)’로 분석된다. 당시에는 마지막 체언 다음까지 접속조사가 오고 그 뒤에 격조사나 보조사를 두었다. ‘양(楊)과 유(柳)’는 현령(縣令)이었던 양간(楊侃)과 유무첨(柳無忝)을 이른다.
주028)
관원(官員):관원(官員)이.
주029)
외리라:될 것이다. 되리라. 외-[爲]+리(추측법선어말어미)+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주030)
니샤:이르시되. 말씀하시되. 니-[云]+샤+오/우.
주031)
나:내가. 나.
주032)
간:간. 간 ~후. 가-[去]+ㄴ(관형사형어미).
주033)
보살(菩薩):부처에 버금가는 성인(聖人), 또는 고승(高僧)을 높여서 이르는 말이다.
주034)
동방(東方)으로셔:동방(東方)으로부터. ‘-으로셔’는 ‘유래 부사격조사’이다.
주035)
나:하나는. 나ㅎ[一]+(보조사).
주036)
출가(出家)고:출가(出家)하고. ‘출가(出家)’는 세속(世俗)의 집을 떠나 불문(佛門)에 듦을 이른다.
주037)
재가(在家)야:재가(在家)하여. ‘재가(在家)’는 사회에서 살아가는 불교 신자를 이른다.
주038)
:함께. ‘[一]#[時]+의(처소부사격조사)’가 합성하여 ‘[同時]’가 되었다.
주039)
교화(敎化):교화(敎化)를. ‘교화(敎化)’는 가르치거나 영향을 주어서 사람을 좋은 방향으로 나아가게 하는 일을 이른다.
주040)
니와다:일으켜. 니왇-[興化]+아(연결어미).
주041)
내:나의. 나[吾]+ㅣ(관형격조사).
주042)
종(宗)을:종(宗)을. ‘종(宗)’은 종교상의 갈래나 유파.
주043)
셰여:세워. 셔-[建立]+ㅣ(사동접미사)+어(연결어미).
주044)
가람(伽藍):승가람마(僧家藍摩). 승려들이 살면서 불도를 닦는 집, 곧 절의 건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주045)
라:만들어. -[締緝]+아.
주046)
니미:이음이. 있는 것이. 이어 감이. -[嗣]+옴/움+이(주격조사).
주047)
성(盛)리라:성(盛)하리라. 성(盛)할 것이다. ‘-리라’는 ‘-+리(추측법 선어말어미)+라(종결어미)’로 분석된다. ‘-리-’에는 기원적으로 서술격이 내재되어 있다.
주048)
아디:알지. 알-[知]+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49)
몯게다:못하겠습니다. 몯-[未]+게++다.
주050)
우흿:위의. 우ㅎ[上]+의(처소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
주051)
불조(佛祖)ㅣ:부처님과 조사(祖師)께서. ‘ㅣ’는 주격조사.
주052)
응현(應現)샤:응현(應現)하시어. 응(應)하여 나타나시어. ‘-샤’는 ‘-+샤+아’로 분석된다. ‘응현(應現)’은 불ㆍ보살이 여러 가지 근성(根性)에 대하여, 각기 상응한 몸을 나타내어 이해할 수 있는 교법을 말하거나 교화(敎化)하는 것을 이른다.
주053)
오매:옴에. 오-[來]+옴/움(명사형어미)+애(부사격조사). ‘·오-(거성)’에 명사형어미 ‘옴’이 통합되면 ‘-오/우-’는 나타나지 않고 성조만 상성[:옴]으로 바뀐다.
주054)
몃:몇. 몃[幾](관형사).
주055)
전수(傳授)시니고:전수(傳授)하신 것입니까. ‘-시니고’는 ‘-+시+니++ㅅ+고’로 분석된다. ‘-니고’는 ‘쇼셔’체의 설명 의문형어미이다.
주056)
원(願):원(願)하건대. 원(願)하는 것은. ‘-’은 ‘-+ㄴ(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ㄴ(보조사)’.
주057)
여러:열어. 열-[開]+어.
주058)
뵈쇼셔:보이십시오. 보-[示]+ㅣ(사동접미사)+쇼셔(‘쇼셔’체의 명령형 종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