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하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하권
  • 제9 법문대시(法門對示)
  • 법문대시 3
메뉴닫기 메뉴열기

법문대시 3


含(*若 : 일부 문헌에는 약(若)이라 되어 있음) 惡用은 卽衆生用이오 善用은 卽佛用이니 用由何等고 由自性야 有對法니 外境에 無情이 五對니 天與地對오 日與月對오 明與暗對오 陰與陽對오 水與火對니 此是五對也ㅣ라 法相語言이 十二對니 語與法對오 有與

육조법보단경언해 하:44ㄴ

無對오 有色與無色對오 有相與無相對오 有漏與無漏對오 色與空對오 動與靜對오 淸與濁對오 凡與聖對오 僧與俗對오 老與少對오 大與小對니 此是十二對也ㅣ라

惡用 주001)
악용(惡用):
악하게 쓰는 것.
머구무믄 주002)
머구무믄:
머금음은. 머굼-[含]+옴/움(명사형어미)+은(보조사).
衆生用이오 주003)
중생용(衆生用)이오:
중생(衆生)의 작용(作用)이고. ‘-이오’는 ‘이(서술격조사)+고/오’로 분석됨. ‘-오’는 서술격 다음에서 /ㄱ/ 약화 표기.
善用 주004)
선용(善用):
착하게 쓰는 것.
은 곧 부텻 주005)
부텻:
부처의. 부텨[佛]+ㅅ(높임 대상의 명사 다음에 오는 관형격조사).
用이니 주006)
용(用)이니:
작용(作用)이니.
用은 므슴 주007)
므슴:
무엇들을. 므슴[何]+ㅎ[等]+(목적격조사).
브트뇨 주008)
브트뇨:
말미암느냐. 근거로 하느냐. 븥-[由]+으뇨(‘라’체의 1,3인칭 설명 의문형어미).
自性 주009)
자성(自性):
자기의 본성, 곧 본래부터 가지고 있는 자신의 참성품을 가리킨다.
을 브터 주010)
-을 브터:
-을, 말미암아. ‘브터’는 ‘븥-[由]+어’로 분석된다.
對法 주011)
대법(對法):
4체(諦)의 이치를 대관(對觀)하여 열반에 대향(對向)한다는 뜻이다. 일반적으로는 두 가지 뜻이 있다. 하나는 부처의 가르침. 곧 교법에 대한 연구와 연찬이라는 의미이고, 다른 하나는 열반을 향하는 무루(無漏)의 지혜를 이른다.
잇니 주012)
잇니:
있느니. 잇-[有]+(직설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外境 주013)
외경(外境):
바깥 경계(境界).
無情 주014)
무정(無情):
정식(情識)이 없는 것. 무정물(無情物).

육조법보단경언해 하:45ㄱ

다 주015)
다:
다섯. 다[五].
對니 주016)
대(對)니:
대(對)이니. 대립(對立)이니.
天이 주017)
천(天)이:
하늘은.
地와 주018)
지(地)와:
땅과.
對오 주019)
대(對)오:
대(對)이고. 대립(對立)이고. ‘-오’는 음절부음 [j] 다음에서 /ㄱ/ 약화 표기.
日이 주020)
일(日)이:
해는.
月와 주021)
월(月)와:
달과.
對오 明이 주022)
명(明)이:
밝음은.
暗과 주023)
암(暗)과:
어두움과.
對오 陰이 주024)
음(陰)이:
음(陰)은.
陽과 주025)
양(陽)과:
양(陽)과.
對오 水ㅣ 주026)
수(水)ㅣ:
물은.
火와 주027)
화(火)와:
불과.
對니 주028)
이:
이것이. 이[是]+∅(주격조사).
다 對라 法相앳 주029)
법상(法相)앳:
법상(法相)의. ‘법상(法相)’은 모든 법(法)의 모양, 곧 만유의 자태(姿態)를 이른다. ‘앳’은 ‘애(처소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로 분석된다.
말미 주030)
말미:
말은. 말씀은. 말[語言]+이(주격조사).
열두 對니 語ㅣ 法 주031)
법(法):
자신의 독특한 성품을 가지고, 궤범(軌範)이 되어 다른 이에게 일정한 요해(了解)를 내게 하는 것.
對오 有ㅣ 주032)
유(有)ㅣ:
있음은.
無와 주033)
무(無)와:
없음과.
對오 주034)
대(對)오:
대(對)이고. ‘-오’는 음절부음 [j] 다음에서 /ㄱ/ 약화 표기.
有色이 주035)
유색(有色)이:
빛깔 있음은.
無色과 주036)
무색(無色)과:
빛깔 없음과.
對오 有相이 주037)
유상(有相)이:
모습 있음은.
無相과 주038)
무상(無相)과:
모습 없음과.
對오 有漏ㅣ 주039)
유루(有漏)ㅣ:
번뇌(煩惱) 있음은. ‘유루(有漏)’는 ‘번뇌에 얽매임’, 또는 ‘번뇌에 얽매인 사람’을 이른다.
無漏와 주040)
무루(無漏)와:
번뇌 없음과. ‘무루(無漏)’는 ‘번뇌를 떠난 경지’, 또는 ‘번뇌를 떠나는 일’을 이른다.
對오 色 주041)
색(色):
형상과 색채를 가지고, 직관적 감각으로 인식되는 모든 존재, 또는 물질을 이르는 말. 색법(色法).

육조법보단경언해 하:45ㄴ

주042)
공(空):
세상의 모든 것은 인연(因緣)에 따라 생긴 가상(假相)이며, 영구 불변의 실체가 없음을 이르는 말.
對오 動이 주043)
동(動)이:
움직임은.
靜과 주044)
정(靜)과:
고요함과.
對오 淸이 주045)
청(淸)이:
맑음은.
濁과 주046)
탁(濁)과:
흐림과.
對오 凡이 주047)
범(凡)이:
범부(凡夫)는.
聖과 주048)
성(聖)과:
성인(聖人)과.
對오 僧 주049)
승(僧):
불도(佛道)를 닦는 사람들의 집단.
주050)
속(俗):
불교를 믿지 않는 사람들의 집안을 불가(佛家)에서 이르는 말.
對오 老ㅣ 주051)
노(老)ㅣ:
늙음은.
少와 주052)
소(少)와:
어림과.
對오 大ㅣ 주053)
대(大)ㅣ:
큼은.
小와 주054)
소(小)와:
작음과.
對니 이 十二對라 주055)
십이대(十二對)라:
열두 가지 대립(對立)이다.

악용(惡用)을 머금음은 곧 중생(衆生)의 용(用:작용)이요, 선용(善用)은 곧 부처의 용(用:작용)이니, 용(用)은 무엇들을 근거로 하느냐? 자성(自性)으로 말미암아 대법(對法 : 대립된 법)이 있는 것이다. 외경(外境 : 바깥 경계)에 무정물(無情物)은 다섯 대(對)이니, 천(天)은 지(地)와 대(對)이고, 일(日)은 월(月)과 대(對)이고, 명(明)은 암(暗)과 대(對)이고, 음(陰)은 양(陽)과 대(對)이고, 수(水)는 화(火)와 대(對)이니, 이것이 다섯 대(對)이다. 법상(法相 : 법의 모습)의 말은 열두 대(對)이니, 어(語)는 법(法)과 대이고, 유(有)는 무(無)와 대이고, 유색(有色)은 무색(無色)과 대이고, 유상(有相)은 무상(無相)과 대이고, 유루(有漏)는 무루(無漏)와 대이고, 색(色)은 공(空)과 대이고, 동(動)은 정(靜)과 대이고, 청(淸)은 탁(濁)과 대이고, 범(凡)은 성(聖)과 대이고, 승(僧)은 속(俗)과 대이고, 노(老)는 소(少)와 대이고, 대(大)는 소(小)와 대이니, 이것이 십이대(十二對)이다.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악용(惡用):악하게 쓰는 것.
주002)
머구무믄:머금음은. 머굼-[含]+옴/움(명사형어미)+은(보조사).
주003)
중생용(衆生用)이오:중생(衆生)의 작용(作用)이고. ‘-이오’는 ‘이(서술격조사)+고/오’로 분석됨. ‘-오’는 서술격 다음에서 /ㄱ/ 약화 표기.
주004)
선용(善用):착하게 쓰는 것.
주005)
부텻:부처의. 부텨[佛]+ㅅ(높임 대상의 명사 다음에 오는 관형격조사).
주006)
용(用)이니:작용(作用)이니.
주007)
므슴:무엇들을. 므슴[何]+ㅎ[等]+(목적격조사).
주008)
브트뇨:말미암느냐. 근거로 하느냐. 븥-[由]+으뇨(‘라’체의 1,3인칭 설명 의문형어미).
주009)
자성(自性):자기의 본성, 곧 본래부터 가지고 있는 자신의 참성품을 가리킨다.
주010)
-을 브터:-을, 말미암아. ‘브터’는 ‘븥-[由]+어’로 분석된다.
주011)
대법(對法):4체(諦)의 이치를 대관(對觀)하여 열반에 대향(對向)한다는 뜻이다. 일반적으로는 두 가지 뜻이 있다. 하나는 부처의 가르침. 곧 교법에 대한 연구와 연찬이라는 의미이고, 다른 하나는 열반을 향하는 무루(無漏)의 지혜를 이른다.
주012)
잇니:있느니. 잇-[有]+(직설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주013)
외경(外境):바깥 경계(境界).
주014)
무정(無情):정식(情識)이 없는 것. 무정물(無情物).
주015)
다:다섯. 다[五].
주016)
대(對)니:대(對)이니. 대립(對立)이니.
주017)
천(天)이:하늘은.
주018)
지(地)와:땅과.
주019)
대(對)오:대(對)이고. 대립(對立)이고. ‘-오’는 음절부음 [j] 다음에서 /ㄱ/ 약화 표기.
주020)
일(日)이:해는.
주021)
월(月)와:달과.
주022)
명(明)이:밝음은.
주023)
암(暗)과:어두움과.
주024)
음(陰)이:음(陰)은.
주025)
양(陽)과:양(陽)과.
주026)
수(水)ㅣ:물은.
주027)
화(火)와:불과.
주028)
이:이것이. 이[是]+∅(주격조사).
주029)
법상(法相)앳:법상(法相)의. ‘법상(法相)’은 모든 법(法)의 모양, 곧 만유의 자태(姿態)를 이른다. ‘앳’은 ‘애(처소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로 분석된다.
주030)
말미:말은. 말씀은. 말[語言]+이(주격조사).
주031)
법(法):자신의 독특한 성품을 가지고, 궤범(軌範)이 되어 다른 이에게 일정한 요해(了解)를 내게 하는 것.
주032)
유(有)ㅣ:있음은.
주033)
무(無)와:없음과.
주034)
대(對)오:대(對)이고. ‘-오’는 음절부음 [j] 다음에서 /ㄱ/ 약화 표기.
주035)
유색(有色)이:빛깔 있음은.
주036)
무색(無色)과:빛깔 없음과.
주037)
유상(有相)이:모습 있음은.
주038)
무상(無相)과:모습 없음과.
주039)
유루(有漏)ㅣ:번뇌(煩惱) 있음은. ‘유루(有漏)’는 ‘번뇌에 얽매임’, 또는 ‘번뇌에 얽매인 사람’을 이른다.
주040)
무루(無漏)와:번뇌 없음과. ‘무루(無漏)’는 ‘번뇌를 떠난 경지’, 또는 ‘번뇌를 떠나는 일’을 이른다.
주041)
색(色):형상과 색채를 가지고, 직관적 감각으로 인식되는 모든 존재, 또는 물질을 이르는 말. 색법(色法).
주042)
공(空):세상의 모든 것은 인연(因緣)에 따라 생긴 가상(假相)이며, 영구 불변의 실체가 없음을 이르는 말.
주043)
동(動)이:움직임은.
주044)
정(靜)과:고요함과.
주045)
청(淸)이:맑음은.
주046)
탁(濁)과:흐림과.
주047)
범(凡)이:범부(凡夫)는.
주048)
성(聖)과:성인(聖人)과.
주049)
승(僧):불도(佛道)를 닦는 사람들의 집단.
주050)
속(俗):불교를 믿지 않는 사람들의 집안을 불가(佛家)에서 이르는 말.
주051)
노(老)ㅣ:늙음은.
주052)
소(少)와:어림과.
주053)
대(大)ㅣ:큼은.
주054)
소(小)와:작음과.
주055)
십이대(十二對)라:열두 가지 대립(對立)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