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하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하권
  • 제7 남돈북점(南頓北漸)
  • 남돈북점 14
메뉴닫기 메뉴열기

남돈북점 14


有一童子ㅣ 名神會 襄陽高氏子ㅣ러니 年十三에 自玉泉來야 參禮대 師曰샤 知識은 遠來艱辛니 還將得本來否아 若有本면

육조법보단경언해 하:24ㄱ

則合識主ㅣ니 試說看라 會曰호 以無住로 爲本노다 見卽是主ㅣ니다 師曰샤 這沙彌 爭合取次語ㅣ리오 以拄杖으로 打三下신대 會乃問曰호 和尙坐禪은 還見不見이가 師云샤 吾ㅣ 打汝호니 是痛가 不痛가 對曰호 亦痛며 亦不痛다 師曰샤 吾 亦見며 亦不見노라

주001)
:
한. 어떤. [一].
童子ㅣ 주002)
동자(童子)ㅣ:
동자(童子)가. ‘ㅣ’는 주격조사.
이쇼 주003)
이쇼:
있되. 이시-[有]+오/우.
일후미 주004)
일후미:
이름이. 일훔[名]+이(주격조사).
神會# 주005)
신회(信會):
하택신회(荷澤神會; 685~760 A.D). 선사(禪師). 육조(六祖)의 법을 받고, 육조가 입멸한 뒤 북종(北宗)의 점문(漸門)이 성행하자 장안(長安)에 들어가 돈문(頓門)의 뜻을 크게 떨쳤다.

육조법보단경언해 하:24ㄴ

 襄陽 高氏의 子ㅣ러니 주006)
자(子)ㅣ러니:
아들[子]이더니. ‘ㅣ러니’는 ‘ㅣ(서술격조사)+더(회상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로 분석된다. ‘-러-’는 서술격조사 다음에 오는 ‘-더-’의 교체형.
나히 주007)
나히:
나이가. 나ㅎ[年]+이(주격조사).
열세헤 주008)
열세헤:
열셋에. 열세ㅎ[十三]+에(처소부사격조사).
玉泉으로셔 주009)
으로셔:
으로부터. ‘으로셔[自]’.
주010)
와:
와서. 오-[來]+아(연결어미).
參禮온대 주011)
-온대:
-하였는데. --+(겸양법선어말어미)+대.
師ㅣ 니샤 知識 주012)
지식(知識):
선지식(善知識). 불법(佛法)을 설(說)하여 사람을 불도(佛道)에 들게 하는 덕(德)이 높은 승려.
머리셔 주013)
머리셔:
멀리에서. 머리[遠]+셔.
와 受苦니 本來 주014)
본래(本來):
근본(根本).
  가져 주015)
가져:
가지어. 가지-[將]+어.
오녀 주016)
오녀:
왔느냐. 오-[來]+녀(‘라’체의 1,3인칭 판정 의문형어미).
아니녀 주017)
아니녀:
아니하냐. 아니-[否]+녀(‘라’체의 1,3인칭 판정 의문형어미).
다가 주018)
다가:
만약.
주019)
본(本):
근본(根本).
이시면 주020)
이시면:
있으면. 이시-[有]+면.
主 주021)
주(主):
주인(主人)을. 주장(主張)을.
아로미 주022)
아로미:
아는 것이. 앎이. 알-[識]+옴/움+이(주격조사).
올니 주023)
올니:
옳으니. 옳-[合]+니.
아마커나 주024)
아마커나:
아무렇거나. ‘아마커나[試]’는 ‘아랗거나’의 축약형.
닐어 주025)
닐어:
일러. 말해. 니-[說]+어. ‘니-[說]’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만나면 어간이 ‘닐-’로 교체되는 ‘’불규칙용언이다. 이른바 ‘ㄹㅇ’형이다.
뵈라 주026)
뵈라:
보이어라. 보-[看]+ㅣ(사동접미사)+라(‘라’체의 명령형종결어미).
會 닐오 주027)
주(住):
머무름.
업소로 주028)
업소로:
없음으로. 없-[無]+옴/움+로.
주029)
본(本):
근본(根本).
삼노다 주030)
삼노다:
삼습니다. 삼-[爲]+(직설법 선어말어미)+오/우++다.
보미 주031)
보미:
봄이. 보는 것이. 견해(見解)가. 보-[見]+옴/움+이. ‘·보-(거성)’의 어간 말음이 /ㅗ/이어서 명사형어미 ‘옴’이 통합된 ‘׃봄’은 상성으로 성조가 바뀐다.
주032)
이:
이것이. 이[是]+∅(주격조사).
主ㅣ니다 주033)
주(主)ㅣ니다:
주인(主人)입니다. ‘-ㅣ니다’는 ‘-ㅣ(서술격조사)+니(원칙법 선어말어미)+(상대 높임의 선어말어미)+다(종결어미).
師ㅣ 주034)
사(師)ㅣ:
조사(祖師)께서. ‘ㅣ’는 주격조사.

육조법보단경언해 하:25ㄱ

샤
주035)
니샤:
이르시되. 말씀하시되. 니-[曰]+샤+오/우.
주036)
이:
이. 이[這](지시관형사).
沙彌 주037)
사미(沙彌):
출가하여 십계(十戒)를 지키고 구족계(具足戒)를 받기 전인 20세 미만의 남자. 또는 불문(佛門)에 든 지 얼마 되지 않아 불법(佛法)에 미숙한 승려.
엇뎨 주038)
엇뎨:
어찌하여. 엇뎨[何].
取次 주039)
취차(取次):
가벼움. 경솔함.
마리 주040)
마리:
말이. 말[語]+이(주격조사).
마리오 주041)
마리오:
맞겠느냐. 맞-[合]+리+고/오(의문형어미). ‘라’체의 설명의문형이다. ‘-오’는 ‘-리-’ 다음에서 의문형어미 ‘-고’의 /ㄱ/ 약화 표기. ‘-리-’에는 서술격이 내재해 있다.
【取次 쉬운 주042)
쉬운:
쉬운. -[易]+은.
디라 주043)
디라:
뜻이다. [意]+이+라.
拄杖 주044)
주장(拄杖):
주장자(拄杖子). 선문(禪門)에서 법(法)을 말할 때 휘두르는 지팡이.
으로 세 번 티신대 주045)
티신대:
치시니. 티-[打]+시+ㄴ대.
묻오 주046)
묻오:
여쭙되. 묻-[問]++오/우.
和尙 주047)
화상(和尙):
수행(修行)을 많이 한 승려를 높여 이르는 말. 여기서는 육조(六祖) 혜능(惠能)을 가리킨다.
坐禪 주048)
좌선(坐禪):
가부좌(跏趺坐)를 하고 조용히 앉아서 선정(禪定)으로 들어가는 수행(修行).
보시니가 주049)
보시니가:
보시는 것입니까. 보십니까. 보-[見]+시++니++ㅅ+가.
보디 주050)
보디:
보지. 보-[見]+디(연결어미).
몯시니가 주051)
몯시니가:
못하시는 것입니까. 몯-[不]+시++니++ㅅ+가.
師ㅣ 니샤 주052)
내:
내가. 나[吾]+ㅣ(주격조사).
너 주053)
너를():
너를. 너[汝]+를(목적격조사).
툐니 주054)
툐니:
치니. 티-[打]+오/우(1인칭 주어에 호응하는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주055)
이:
이것이. 이[是]+∅(주격조사).
알녀 주056)
알녀:
아프냐. 앓-[痛]+(형용사 파생접미사)+녀(‘라’체의 1,3인칭 판정 의문형어미).
알디 주057)
알디:
아프지. 앓-[痛]++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녀 주058)
아니녀:
아니하냐. 아니-[不]+녀(‘라’체의 1,3인칭 판정 의문형어미).
對答호 주059)
대답(對答)호:
대답(對答)하되. ‘-호’는 ‘--+오/우’로 분석된다.
주060)
:
또한.
알며 주061)
알며:
아프며. 아프기도 하며.
알디 주062)
알디:
아프지.
아니다 주063)
아니다:
아니합니다. 않기도 합니다. 아니-[不]+(상대 높임의 선어말어미)+다.
師ㅣ 니샤 나 주064)
나:
나는.
보며 주065)
보며:
보며. 보기도 하며.
보디 주066)
보디:
보지. 보-[見]+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

육조법보단경언해 하:25ㄴ

노라
주067)
아니노라:
아니하노라. 않기도 한다. 아니-[不]++오+라.

한 동자(童子)가 있었다. 이름이 신회(信會)라는 양양(襄陽) 고씨(高氏)의 아들이다. 나이 열셋에 옥천(玉泉)으로부터 와서 참례(參禮)하였다. 조사께서 말씀하셨다. “그대[知識]가 멀리에서 와 수고하니 본래[根本]를 또 가지고 왔느냐? 아니 가져 왔느냐? 만약 근본이 있으면 주인을 아는 것이 옳으니 아무렇거나 말해 보이어라.” 신회가 말했다. “주(住
머무름
) 없음으로 근본을 삼습니다. 보는 것[見]이 이것이 곧 주인입니다.” 조사께서 말씀하셨다. “이 사미(沙彌)는 어찌하여 아무 생각 없이 가볍게 말을 하니 그 말이 맞겠느냐?【취차(取次)는 쉽다는 뜻이다.】” 〈하시고〉 주장자(拄杖子)로 세 번 치시니, 신회가 여쭈었다. “화상(和尙)께서는 좌선(坐禪)하실 때 보십니까? 보지 못하십니까?” 조사께서 말씀하셨다. “내가 너를 치니 이것이 아프냐? 아프지 아니하냐?” 신회가 대답했다. “또한 아프기도 하며, 또한 아프지 않기도 합니다.” 조사께서 말씀하셨다. “나는 또한 보기도 하며, 또한 보지 않기도 한다.”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5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한. 어떤. [一].
주002)
동자(童子)ㅣ:동자(童子)가. ‘ㅣ’는 주격조사.
주003)
이쇼:있되. 이시-[有]+오/우.
주004)
일후미:이름이. 일훔[名]+이(주격조사).
주005)
신회(信會):하택신회(荷澤神會; 685~760 A.D). 선사(禪師). 육조(六祖)의 법을 받고, 육조가 입멸한 뒤 북종(北宗)의 점문(漸門)이 성행하자 장안(長安)에 들어가 돈문(頓門)의 뜻을 크게 떨쳤다.
주006)
자(子)ㅣ러니:아들[子]이더니. ‘ㅣ러니’는 ‘ㅣ(서술격조사)+더(회상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로 분석된다. ‘-러-’는 서술격조사 다음에 오는 ‘-더-’의 교체형.
주007)
나히:나이가. 나ㅎ[年]+이(주격조사).
주008)
열세헤:열셋에. 열세ㅎ[十三]+에(처소부사격조사).
주009)
으로셔:으로부터. ‘으로셔[自]’.
주010)
와:와서. 오-[來]+아(연결어미).
주011)
-온대:-하였는데. --+(겸양법선어말어미)+대.
주012)
지식(知識):선지식(善知識). 불법(佛法)을 설(說)하여 사람을 불도(佛道)에 들게 하는 덕(德)이 높은 승려.
주013)
머리셔:멀리에서. 머리[遠]+셔.
주014)
본래(本來):근본(根本).
주015)
가져:가지어. 가지-[將]+어.
주016)
오녀:왔느냐. 오-[來]+녀(‘라’체의 1,3인칭 판정 의문형어미).
주017)
아니녀:아니하냐. 아니-[否]+녀(‘라’체의 1,3인칭 판정 의문형어미).
주018)
다가:만약.
주019)
본(本):근본(根本).
주020)
이시면:있으면. 이시-[有]+면.
주021)
주(主):주인(主人)을. 주장(主張)을.
주022)
아로미:아는 것이. 앎이. 알-[識]+옴/움+이(주격조사).
주023)
올니:옳으니. 옳-[合]+니.
주024)
아마커나:아무렇거나. ‘아마커나[試]’는 ‘아랗거나’의 축약형.
주025)
닐어:일러. 말해. 니-[說]+어. ‘니-[說]’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만나면 어간이 ‘닐-’로 교체되는 ‘’불규칙용언이다. 이른바 ‘ㄹㅇ’형이다.
주026)
뵈라:보이어라. 보-[看]+ㅣ(사동접미사)+라(‘라’체의 명령형종결어미).
주027)
주(住):머무름.
주028)
업소로:없음으로. 없-[無]+옴/움+로.
주029)
본(本):근본(根本).
주030)
삼노다:삼습니다. 삼-[爲]+(직설법 선어말어미)+오/우++다.
주031)
보미:봄이. 보는 것이. 견해(見解)가. 보-[見]+옴/움+이. ‘·보-(거성)’의 어간 말음이 /ㅗ/이어서 명사형어미 ‘옴’이 통합된 ‘׃봄’은 상성으로 성조가 바뀐다.
주032)
이:이것이. 이[是]+∅(주격조사).
주033)
주(主)ㅣ니다:주인(主人)입니다. ‘-ㅣ니다’는 ‘-ㅣ(서술격조사)+니(원칙법 선어말어미)+(상대 높임의 선어말어미)+다(종결어미).
주034)
사(師)ㅣ:조사(祖師)께서. ‘ㅣ’는 주격조사.
주035)
니샤:이르시되. 말씀하시되. 니-[曰]+샤+오/우.
주036)
이:이. 이[這](지시관형사).
주037)
사미(沙彌):출가하여 십계(十戒)를 지키고 구족계(具足戒)를 받기 전인 20세 미만의 남자. 또는 불문(佛門)에 든 지 얼마 되지 않아 불법(佛法)에 미숙한 승려.
주038)
엇뎨:어찌하여. 엇뎨[何].
주039)
취차(取次):가벼움. 경솔함.
주040)
마리:말이. 말[語]+이(주격조사).
주041)
마리오:맞겠느냐. 맞-[合]+리+고/오(의문형어미). ‘라’체의 설명의문형이다. ‘-오’는 ‘-리-’ 다음에서 의문형어미 ‘-고’의 /ㄱ/ 약화 표기. ‘-리-’에는 서술격이 내재해 있다.
주042)
쉬운:쉬운. -[易]+은.
주043)
디라:뜻이다. [意]+이+라.
주044)
주장(拄杖):주장자(拄杖子). 선문(禪門)에서 법(法)을 말할 때 휘두르는 지팡이.
주045)
티신대:치시니. 티-[打]+시+ㄴ대.
주046)
묻오:여쭙되. 묻-[問]++오/우.
주047)
화상(和尙):수행(修行)을 많이 한 승려를 높여 이르는 말. 여기서는 육조(六祖) 혜능(惠能)을 가리킨다.
주048)
좌선(坐禪):가부좌(跏趺坐)를 하고 조용히 앉아서 선정(禪定)으로 들어가는 수행(修行).
주049)
보시니가:보시는 것입니까. 보십니까. 보-[見]+시++니++ㅅ+가.
주050)
보디:보지. 보-[見]+디(연결어미).
주051)
몯시니가:못하시는 것입니까. 몯-[不]+시++니++ㅅ+가.
주052)
내:내가. 나[吾]+ㅣ(주격조사).
주053)
너를():너를. 너[汝]+를(목적격조사).
주054)
툐니:치니. 티-[打]+오/우(1인칭 주어에 호응하는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주055)
이:이것이. 이[是]+∅(주격조사).
주056)
알녀:아프냐. 앓-[痛]+(형용사 파생접미사)+녀(‘라’체의 1,3인칭 판정 의문형어미).
주057)
알디:아프지. 앓-[痛]++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58)
아니녀:아니하냐. 아니-[不]+녀(‘라’체의 1,3인칭 판정 의문형어미).
주059)
대답(對答)호:대답(對答)하되. ‘-호’는 ‘--+오/우’로 분석된다.
주060)
:또한.
주061)
알며:아프며. 아프기도 하며.
주062)
알디:아프지.
주063)
아니다:아니합니다. 않기도 합니다. 아니-[不]+(상대 높임의 선어말어미)+다.
주064)
나:나는.
주065)
보며:보며. 보기도 하며.
주066)
보디:보지. 보-[見]+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67)
아니노라:아니하노라. 않기도 한다. 아니-[不]++오+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