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하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하권
  • 제10 부촉유통(付囑流通)
  • 부촉유통 17
메뉴닫기 메뉴열기

부촉유통 17


次年七月二十五日에 出龕야 弟子方辯이 以香泥上之아 門人이 憶念取首之記야 遂先以鐵葉漆布로 固護師頸야 入塔오니

육조법보단경언해 하:83ㄱ

忽於塔內예 白光이 出現야 直上衝天이라가 三日에 始散대 韶州ㅣ 奏聞야 奉勅立碑야 紀師道行니라 師의 春秋 七十有六이시고 年二十四애 傳衣시고 三十九애 祝髮시고 說法利生은 三十七載러라 得旨嗣法者 四十三人이오 悟道超凡者 莫知其數ㅣ러라 達摩所傳信衣와 [〇係西域屈眴의 布也ㅣ라] 中宗賜磨衲과 寶鉢와 及方辯塑師眞相과 幷道具等을 主

육조법보단경언해 하:83ㄴ

塔侍者로 尸之야 永鎭寶林道場고 流傳壇經야 以顯宗旨야 興隆三寶야 普利群生者니라

버근 주001)
버근:
다음. 벅-[次]+은(관형사형어미).
주002)
:
해의. [年]+ㅅ(관형격조사).
七月 二十五日에 龕애 주003)
감(龕)애:
감실(龕室)에서. 진신(眞身)을 모신 단(壇)에서.
내야 주004)
내야:
내어. 내-[出]+야(연결어미).
弟子 方辯이 香泥로 주005)
향니(香泥)로:
향기(香氣)로운 칠(漆)로.
연저늘 주006)
연저늘:
얹거늘. 바르거늘. 엱-[上]+어늘.
門人이 주007)
문인(門人)이:
문인(門人)들이.
머리 주008)
머리:
머리를. 머리[首].
아리라 주009)
아리라:
빼앗아 갈 것이다. 빼앗으리라. -[奪]+리(추측법 선어말어미)+라(종결어미).
샨 주010)
샨:
하신. -+샤+오/우+ㄴ(관형사형어미).
記 주011)
기(記):
예언(豫言)을. 수기(授記)를.
야 주012)
야:
생각하여. -[念]+야(연결어미).
몬져 주013)
몬져:
먼저. 몬져[先].
鐵葉漆布 주014)
철엽칠포(鐵葉漆布):
쇠 장식과 옻칠을 한 검은 베.
로 師ㅅ 모 주015)
모:
목을. 목[頸]+(목적격조사).
구디 주016)
구디:
굳이. 굳-[固]+이(부사파생접미사).
護持

육조법보단경언해 하:84ㄱ

야
주017)
호지(護持)야:
호지(護持)하여. ‘호지(護持)’는 보호하여 부지(扶持)함을 이른다.
塔애 주018)
탑(塔)애:
탑(塔)에.
드리오니 주019)
드리오니:
들이니. 모시니. 들-[入]+이(사동접미사)+(겸양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믄득 塔 안해 주020)
안해:
안에서. 안ㅎ[內]+애(처소부사격조사).
주021)
:
흰. -[白]+ㄴ(관형사형어미).
光明이 나타 주022)
나타:
나타나. 낱-[現]+아(연결어미).
바 주023)
바:
바로. 바[直](부사).
하 주024)
하:
하늘을. 하ㅎ[天]+(목적격조사).
다딜엣다가 주025)
다딜엣다가:
대질렀다가. 다디르-[衝]+어#잇-[有]+다가(연결어미).
사 마내 주026)
사마내:
사흘만에야. 사[三日]+ㅅ(사잇소리)#만[間]+애(처소부사격조사)+(보조사).
비르서 주027)
비르서:
비로소. 비르서[始](부사).
흐른대 주028)
흐른대:
흩어진즉. 흩어졌는데. 흐르-[散]+ㄴ대(설명이나 이유를 나타내는 연결어미).
韶州ㅣ 주029)
소주(韶州)ㅣ:
소주(韶州)가, 곧 소주(韶州)의 자사(刺史)가.
奏聞야 주030)
주문(奏聞)야:
주문(奏聞)하여. ‘주문’은 임금에게 아룀을 이른다. 주달(奏達).
勅을 주031)
칙(勅)을:
칙명(勅命)을. ‘칙명(勅命)’은 임금의 명령을 이른다.
받와 주032)
받와:
받들어. 받-[奉]+(겸양법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碑 주033)
비(碑):
비(碑)를.
셰여 주034)
셰여:
세워. 셔-[立]+ㅣ(사동접미사)+어(연결어미).
師의 주035)
사(師)의:
조사(祖師)의.
道行을 주036)
도행(道行)을:
도행(道行)을. ‘도행(道行)’은 불도(佛道)를 수행(修行)함을 이른다.
올이니라 주037)
올이니라:
올리었다. 올리니라. 오-[紀]+이(사동접미사)+니라(평서형 종결어미).
師의 나 주038)
나:
나이는. 나ㅎ[春秋]+(보조사).
닐흔여스시시고 주039)
닐흔여스시시고:
일흔여섯이시고. 닐흔여섯[七十六]+이(서술격조사)+시(주어 높임의 선어말어미)+고(대등적 연결어미).
나히 주040)
나히:
나이가. 나ㅎ[年]+이(주격조사).
스믈네헤 주041)
스믈네헤:
스물넷에. 스믈네ㅎ[二十四]+에(부사격조사).
傳衣시고 주042)
전의(傳衣)시고:
전의(傳衣)하시고. 옷을 전(傳)해 받으시고.
셜흔아호배 주043)
셜흔아호배:
서른아홉에. 셜흔아홉[三十九]+애(부사격조사).
머리 주044)
머리:
머리를. 머리[髮].
갓시고 주045)
갓시고:
깎으시고. -[祝]+시+고.
주046)
법(法):
법(法)을.
니샤 주047)
니샤:
말하시어. 이르시어.
生 주048)
생(生):
중생(衆生)을. 중생(衆生)에게.
利益

육조법보단경언해 하:84ㄴ

샤
주049)
이익(利益)샤:
이익(利益)되게 하심은. 이익(利益)케 하심은. ‘-샤’은 ‘-+샤(주어 높임의 선어말어미)+옴/움(명사형어미)+(보조사).
셜흔닐굽 주050)
셜흔닐굽:
서른일곱. 셜흔닐굽[三十七].
러라 주051)
러라:
해였다. [年]+∅(서술격조사)+더(회상법 선어말어미)+라(종결어미).
宗旨 주052)
종지(宗旨):
종지(宗旨)를. ‘종지(宗旨)’는 한 종교(宗敎)나 종파(宗派)의 중심이 되는 가르침을 이른다.
得야 주053)
득(得)야:
득(得)하여. 얻어.
주054)
법(法):
법(法)을.
니닌 주055)
니닌:
이은 이는. -[嗣]+은(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ㄴ(보조사).
마세 주056)
마세:
마흔세. 마세[四十三].
사미오 주057)
사미오:
사람이고. 사[人]+이(서술격조사)+고/오(대등적 연결어미). ‘-오’는 서술격 다음에서 /ㄱ/ 약화 표기.
주058)
도(道):
도(道)를.
아라 주059)
아라:
깨달아. 알-[悟]+아(연결어미).
凡에 주060)
범(凡)에:
범부(凡夫)에서.
건네닌 주061)
건네닌:
건너뛴 이는. 건네-[超]+ㄴ(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ㄴ(보조사).
그 數 아디 몯리러라 주062)
몯리러라:
못할 것이더라. 못할 것이다. 몯-[莫]+리(추측법 선어말어미)+더(회상법 선어말어미)+라(평서형 종결어미).
達磨 주063)
달마(達磨):
달마대사(達磨大師)께서.
傳신 주064)
전(傳)신:
전(傳)하신.
信衣와 주065)
신의(信衣)와:
믿음의 옷과.
西域ㅅ 주066)
서역(西域)ㅅ:
서역(西域). 서역(西域)의.
屈殉의 주067)
굴순(屈眴)의:
굴순(屈眴)의.
뵈라 주068)
뵈라:
베이다. 뵈[布]+∅(서술격조사)+라(종결어미).
中宗 賜신 주069)
사(賜)신:
사(賜)하신. 드린.
磨衲과 주070)
마납(磨納)과:
자마(紫磨) 비단으로 만든 가사(袈裟)와.
寶鉢와 주071)
보발(寶鉢)와:
보패(寶貝) 발우(鉢盂)와.
 方辯이 주072)
소(塑):
흙으로 만든 것.
셰욘 주073)
셰욘:
세운. 셔-[建]+ㅣ(사동접미사)+오/우(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師ㅅ 眞相과 주074)
진상(眞相)과:
참 모습과.
道具 주075)
도구(道具):
도구(道具)들을.
主塔 주076)
주탑(主塔):
탑(塔)을 주관하는.
侍者로 주077)
시자(侍者)로:
시자(侍者)로 하여금.
읏듬게 주078)
읏듬게:
맡게 하여. 주재(主宰)하게 하여. 읏듬-[尸]+게.
야 주079)
야:
하여.

육조법보단경언해 하:85ㄱ

寶林道場애 주080)
보림도량(寶林道場)애:
조계(曹溪)의 보림도량(寶林道場)에.
永히 주081)
영(永)히:
영원히.
留鎭고 주082)
유진(留鎭)고:
진정(鎭靜)하고.
壇經을 주083)
단경(壇經)을:
법보단경(法寶壇經)을.
流傳야 주084)
유전(流傳)야:
흘러 전(傳)하게 하여.
宗旨 주085)
종지(宗旨):
종지(宗旨)를.
겨 주086)
겨:
밝히어. -[顯]+이(사동접미사)+어(연결어미).
三寶 주087)
삼보(三寶):
삼보(三寶)를. ‘삼보(三寶)’는 불(佛)·법(法)·승(僧)을 이른다.
興盛야 주088)
흥성(興盛)야:
흥성(興盛)하여. 왕성(旺盛)하게 하여.
群生을 주089)
군생(群生)을:
모든 중생(衆生)을.
너비 주090)
너비:
널리. 넙-[普]+이(부사파생접미사).
利케 주091)
이(利)케:
이롭게. 이익(利益)되게.
니라 주092)
니라:
하니라. 하였다.

다음해 칠월 이십오일에 〈진신을〉 감(龕)에서 내어 제자(弟子) 방변(方辯)이 향니(香泥)로 발랐다. 문인(門人)들은 ‘머리를 빼앗아 갈 것이다.’라고 하신 예언[記]을 생각하여 먼저 철엽(鐵葉)과 칠포(漆布)로 조사의 목을 굳게 호지(護持)하여 탑(塔)에 모셨다. 〈그랬더니〉 문득 탑(塔) 안에서 흰 광명(光明)이 나타나 바로 하늘을 대질렀다가 사흘만에야 비로소 흩어졌다. 소주(韶州)의 자사(刺史)가 주문(奏聞)하고, 칙명(勅命)을 받들어서 비(碑)를 세워 조사(祖師)의 도행(道行)을 올렸다. ‘조사의 세수(世數)는 일흔여섯이고, 연세 스물넷에 옷을 전해[傳衣] 받으셨다. 서른아홉에 머리를 깎으시고[祝髮], 법(法)을 이르시어 중생(衆生)을 이익되게 하심은 서른일곱 해였다. 종지(宗旨)를 얻어 법(法)을 이은 이는 마흔세 사람이고, 도(道)를 깨쳐 범부(凡夫)의 자리에서 건너뛴 이는 그 수(數)를 알지 못할 것이다. 달마(達磨) 대사께서 전(傳)하신 신의(信衣)와【서역(西域) 굴순(屈眴)의 베이다.】 중종(中宗)이 사(賜)하신 마납가사(磨衲袈裟)와 보발(寶鉢)과 또 방변(方辯)이 흙으로 만들어 세운 조사의 진상(眞相)과 또 도구(道具)들을 탑을 주관[主塔]하는 시자(侍者)로 〈하여금〉 맡게 하여, 보림도량(寶林道場)을 영원히 유진(留鎭)하고, 단경(壇經)을 유전(流傳)하여 종지(宗旨)를 밝히고, 삼보(三寶)를 흥성(興盛)하여 모든 중생[群生]을 널리 이롭게 하였다.
육조선사법보단경 하(六祖禪師法寶壇經下)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6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버근:다음. 벅-[次]+은(관형사형어미).
주002)
:해의. [年]+ㅅ(관형격조사).
주003)
감(龕)애:감실(龕室)에서. 진신(眞身)을 모신 단(壇)에서.
주004)
내야:내어. 내-[出]+야(연결어미).
주005)
향니(香泥)로:향기(香氣)로운 칠(漆)로.
주006)
연저늘:얹거늘. 바르거늘. 엱-[上]+어늘.
주007)
문인(門人)이:문인(門人)들이.
주008)
머리:머리를. 머리[首].
주009)
아리라:빼앗아 갈 것이다. 빼앗으리라. -[奪]+리(추측법 선어말어미)+라(종결어미).
주010)
샨:하신. -+샤+오/우+ㄴ(관형사형어미).
주011)
기(記):예언(豫言)을. 수기(授記)를.
주012)
야:생각하여. -[念]+야(연결어미).
주013)
몬져:먼저. 몬져[先].
주014)
철엽칠포(鐵葉漆布):쇠 장식과 옻칠을 한 검은 베.
주015)
모:목을. 목[頸]+(목적격조사).
주016)
구디:굳이. 굳-[固]+이(부사파생접미사).
주017)
호지(護持)야:호지(護持)하여. ‘호지(護持)’는 보호하여 부지(扶持)함을 이른다.
주018)
탑(塔)애:탑(塔)에.
주019)
드리오니:들이니. 모시니. 들-[入]+이(사동접미사)+(겸양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주020)
안해:안에서. 안ㅎ[內]+애(처소부사격조사).
주021)
:흰. -[白]+ㄴ(관형사형어미).
주022)
나타:나타나. 낱-[現]+아(연결어미).
주023)
바:바로. 바[直](부사).
주024)
하:하늘을. 하ㅎ[天]+(목적격조사).
주025)
다딜엣다가:대질렀다가. 다디르-[衝]+어#잇-[有]+다가(연결어미).
주026)
사마내:사흘만에야. 사[三日]+ㅅ(사잇소리)#만[間]+애(처소부사격조사)+(보조사).
주027)
비르서:비로소. 비르서[始](부사).
주028)
흐른대:흩어진즉. 흩어졌는데. 흐르-[散]+ㄴ대(설명이나 이유를 나타내는 연결어미).
주029)
소주(韶州)ㅣ:소주(韶州)가, 곧 소주(韶州)의 자사(刺史)가.
주030)
주문(奏聞)야:주문(奏聞)하여. ‘주문’은 임금에게 아룀을 이른다. 주달(奏達).
주031)
칙(勅)을:칙명(勅命)을. ‘칙명(勅命)’은 임금의 명령을 이른다.
주032)
받와:받들어. 받-[奉]+(겸양법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주033)
비(碑):비(碑)를.
주034)
셰여:세워. 셔-[立]+ㅣ(사동접미사)+어(연결어미).
주035)
사(師)의:조사(祖師)의.
주036)
도행(道行)을:도행(道行)을. ‘도행(道行)’은 불도(佛道)를 수행(修行)함을 이른다.
주037)
올이니라:올리었다. 올리니라. 오-[紀]+이(사동접미사)+니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38)
나:나이는. 나ㅎ[春秋]+(보조사).
주039)
닐흔여스시시고:일흔여섯이시고. 닐흔여섯[七十六]+이(서술격조사)+시(주어 높임의 선어말어미)+고(대등적 연결어미).
주040)
나히:나이가. 나ㅎ[年]+이(주격조사).
주041)
스믈네헤:스물넷에. 스믈네ㅎ[二十四]+에(부사격조사).
주042)
전의(傳衣)시고:전의(傳衣)하시고. 옷을 전(傳)해 받으시고.
주043)
셜흔아호배:서른아홉에. 셜흔아홉[三十九]+애(부사격조사).
주044)
머리:머리를. 머리[髮].
주045)
갓시고:깎으시고. -[祝]+시+고.
주046)
법(法):법(法)을.
주047)
니샤:말하시어. 이르시어.
주048)
생(生):중생(衆生)을. 중생(衆生)에게.
주049)
이익(利益)샤:이익(利益)되게 하심은. 이익(利益)케 하심은. ‘-샤’은 ‘-+샤(주어 높임의 선어말어미)+옴/움(명사형어미)+(보조사).
주050)
셜흔닐굽:서른일곱. 셜흔닐굽[三十七].
주051)
러라:해였다. [年]+∅(서술격조사)+더(회상법 선어말어미)+라(종결어미).
주052)
종지(宗旨):종지(宗旨)를. ‘종지(宗旨)’는 한 종교(宗敎)나 종파(宗派)의 중심이 되는 가르침을 이른다.
주053)
득(得)야:득(得)하여. 얻어.
주054)
법(法):법(法)을.
주055)
니닌:이은 이는. -[嗣]+은(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ㄴ(보조사).
주056)
마세:마흔세. 마세[四十三].
주057)
사미오:사람이고. 사[人]+이(서술격조사)+고/오(대등적 연결어미). ‘-오’는 서술격 다음에서 /ㄱ/ 약화 표기.
주058)
도(道):도(道)를.
주059)
아라:깨달아. 알-[悟]+아(연결어미).
주060)
범(凡)에:범부(凡夫)에서.
주061)
건네닌:건너뛴 이는. 건네-[超]+ㄴ(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ㄴ(보조사).
주062)
몯리러라:못할 것이더라. 못할 것이다. 몯-[莫]+리(추측법 선어말어미)+더(회상법 선어말어미)+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63)
달마(達磨):달마대사(達磨大師)께서.
주064)
전(傳)신:전(傳)하신.
주065)
신의(信衣)와:믿음의 옷과.
주066)
서역(西域)ㅅ:서역(西域). 서역(西域)의.
주067)
굴순(屈眴)의:굴순(屈眴)의.
주068)
뵈라:베이다. 뵈[布]+∅(서술격조사)+라(종결어미).
주069)
사(賜)신:사(賜)하신. 드린.
주070)
마납(磨納)과:자마(紫磨) 비단으로 만든 가사(袈裟)와.
주071)
보발(寶鉢)와:보패(寶貝) 발우(鉢盂)와.
주072)
소(塑):흙으로 만든 것.
주073)
셰욘:세운. 셔-[建]+ㅣ(사동접미사)+오/우(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주074)
진상(眞相)과:참 모습과.
주075)
도구(道具):도구(道具)들을.
주076)
주탑(主塔):탑(塔)을 주관하는.
주077)
시자(侍者)로:시자(侍者)로 하여금.
주078)
읏듬게:맡게 하여. 주재(主宰)하게 하여. 읏듬-[尸]+게.
주079)
야:하여.
주080)
보림도량(寶林道場)애:조계(曹溪)의 보림도량(寶林道場)에.
주081)
영(永)히:영원히.
주082)
유진(留鎭)고:진정(鎭靜)하고.
주083)
단경(壇經)을:법보단경(法寶壇經)을.
주084)
유전(流傳)야:흘러 전(傳)하게 하여.
주085)
종지(宗旨):종지(宗旨)를.
주086)
겨:밝히어. -[顯]+이(사동접미사)+어(연결어미).
주087)
삼보(三寶):삼보(三寶)를. ‘삼보(三寶)’는 불(佛)·법(法)·승(僧)을 이른다.
주088)
흥성(興盛)야:흥성(興盛)하여. 왕성(旺盛)하게 하여.
주089)
군생(群生)을:모든 중생(衆生)을.
주090)
너비:널리. 넙-[普]+이(부사파생접미사).
주091)
이(利)케:이롭게. 이익(利益)되게.
주092)
니라:하니라. 하였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