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하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하권
  • 제9 법문대시(法門對示)
  • 법문대시 7
메뉴닫기 메뉴열기

법문대시 7


若有人이 問汝義호 問有ㅣ어든 將無야 對고 問無ㅣ어든 將有야 對고 問凡이어든 以聖對고 問聖이어든 以凡對호리니 二道ㅣ 相因야 生中道義리니 汝ㅣ 一問一對고 餘問을 一依此作면 卽不失理也ㅣ리라 設有人이 問호 何名爲

육조법보단경언해 하:51ㄱ

暗고거든 答云호 明是因이오 暗是緣이니 明沒면 卽暗이라 以明顯暗며 以暗顯明야 來去ㅣ 相因야 成中道義니 餘問이 悉皆如此니 汝等이 於後에 傳法호 依此야 迭相敎授야 勿失宗旨니라

다가 사미 주001)
사미:
사람이. (다른) 사람이. 사[人]+이(주격조사).
네게 주002)
네게:
너에게. 네[汝]+게(여격조사).
들 주003)
들:
뜻을. [義]+을(목적격조사).
무로 주004)
무로:
묻되. 묻-[問]+오/우.
有 주005)
유(有):
유(有)를. 있음을.
무러든 주006)
무러든:
묻거든. 물으면. 묻-[問]+어든(조건이나 가정을 나타내는 연결어미).
無 주007)
무(無):
무(無)를. 없음을.
가져 주008)
가져:
가지고. 가지어. 가지-[將]+어.
對答고 無 묻거든 주009)
묻거든:
묻거든. 물으면. 묻-[問]+거든(연결어미). ‘묻-[問]’이 타동사이므로 ‘-거든’은 ‘-어든’으로 표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有 가져 對答고 주010)
대답(對答)고:
대답(對答)하고.

육조법보단경언해 하:51ㄴ

주011)
범(凡)을:
범(凡)을. 범인(凡人)을.
묻거든 聖으로 주012)
성(聖)으로:
성(聖)으로. 성인(聖人)으로.
對答고 聖을 묻거든 凡으로 對答호리니 주013)
대답(對答)호리니:
대답(對答)하리니. 대답(對答)할 것이니. ‘-호리니’는 ‘-+리+니’로 분석된다.
주014)
두:
둘. 두[二](수관형사).
道ㅣ 주015)
도(道)ㅣ:
도(道)가. ‘ㅣ’는 주격조사. ‘도(道)’는 종교상의 근본이 되는 뜻을 이른다.
서르 주016)
서르:
서로. 서르[相](부사).
因야 주017)
인(因)야:
원인(原因)하여. 원인(原因)이 되어.
中道 주018)
중도(中道):
유(有)나 공(空)의 어느 한 쪽에 치우치지 않는 진실한 도리, 또는 고락(苦樂)의 양편을 떠난 올바른 행법(行法).
ㅅ 들 내리니 주019)
내리니:
내리니. 낼 것이니. 내-[生]+리(추측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주020)
네:
네가. 너[汝]+ㅣ(주격조사). ‘:네[汝]’는 상성.
나 주021)
나:
하나. 하나를. 나[一](수사).
묻거든 나 對答고 나 주022)
나:
남은. 다른. 남-[餘]+(관형사형어미).
무루 주023)
무루믈():
물음을. 물음에. 묻-[問]+옴/움+을(목적격조사).
가지로 주024)
가지로:
한가지로. [一]#가지[種]+로(부사격조사).
주025)
이:
이. 이러한. 이[此](관형사).
作을 주026)
작(作)을:
작(作)을. 지음을.
브트면 곧 주027)
이(理):
바른 이치, 곧 경험적 인식을 초월한 상항불역(常恒不易)ㆍ보편평등(普遍平等)의 진여를 이른다.
일티 주028)
일티:
잃지. 잃어버리지. 잃-[失]+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리라 주029)
아니리라:
아니할 것이다. 아니하리라. 아니-[不]+리+라.
다가 사미 무로 엇뎨 주030)
엇뎨:
어찌하여. 엇뎨[何](부사).
일후미 주031)
일후미:
이름이. 일훔[名]+이(주격조사).
어드움고 주032)
어드움고:
어두움인가. 어-[暗]+옴/움(명사형어미)+고(의문보조사). ‘라’체의 설명 의문형이다.
커든 주033)
커든:
하거든. ‘거든’은 ‘거든’의 축약형이다.
對答호 주034)
-호:
-하되. ‘-호’는 ‘-+오/우’로 분석된다.
고 주035)
고:
밝음은. -[明]+옴/움+(보조사).
주036)
이:
이것이. 이[是]+∅(주격조사).
因이오 주037)
인(因)이오:
인(因)이고. ‘-오’는 서술격 다음에서 /ㄱ/ 약화 표기. ‘인(因)’은 어떤 결과를 일으키는 직접적인 원인.

육조법보단경언해 하:52ㄱ

드우
주038)
어드우:
어두움은. 어-[暗]+옴/움(명사형어미)+은(보조사).
緣이니 주039)
연(緣)이니:
연(緣)이니. ‘연(緣)’은 원인을 도와 결과를 낳게 하는 직접적인 작용을 하는 것.
고미 주040)
고미:
밝음이. -[明]+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업스면 주041)
업스면:
없으면. 없-[沒]+으면(연결어미).
어드우미라 주042)
어드우미라:
어두움이다. 어-[暗]+옴/움(명사형어미)+이(서술격조사)+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고로 주043)
고로:
밝음으로. -[明]+옴/움+로(구격조사).
어드우믈 주044)
어드우믈:
어두움을. 어-[暗]+옴/움+을(목적격조사).
나토며 주045)
나토며:
나타내며. 낱-[顯]+오(사동접미사)+며(연결어미).
어드우므로 주046)
어드우므로:
어두움으로. 어-[暗]+옴/움+으로(구격조사).
고 주047)
고:
밝음을.
나토아 주048)
나토아:
나타내어.
오며 주049)
오며:
오며. 오-[來]+며(연결어미).
가미 주050)
가미:
감이. 가는 것이. 가-[去]+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가-[去](평성)’에 명사형어미 ‘옴/움’이 통합되어 ‘-오/우-’는 보이지 않고 ‘:감’의 성조만 상성으로 바뀌었다.
서르 주051)
서르:
서로.
因야 中道ㅅ 들 일우니 주052)
일우니:
이루느니. 일-[成]+우(사동접미사)+(직설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나 무로미 주053)
무로미:
물음이. 묻-[問]+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주054)
이:
이와. 이[此]+∅(비교부사격조사).
니 주055)
니:
같으니. -[如]+니(연결어미).
너희히 주056)
너희히:
너희들이. 너희ㅎ[汝等]+이(주격조사).
後에 주057)
후(後)에:
후(後)에. 뒤에.
法을 傳호 주058)
전(傳)호:
전(傳)하되. ‘-호’는 ‘-+오/우’.
이 주059)
이:
이를. 이[是]+(목적격조사).
브터 주060)
브터:
의지하여. 븥-[依]+어(연결어미).
서르 쳐 주061)
쳐:
가르쳐. 치-[敎]+어.
심겨 주062)
심겨:
전하여. 주어. 심기-[授]+어.
宗旨 주063)
종지(宗旨):
한 종교나 종파(宗派)의 중심이 되는 가르침.
 일티 마롤디니라 주064)
마롤디니라:
말지니라. 말 것이니라. 말-[勿]+오/우+ㄹ디니라.

만약 〈어떤〉 사람이 너에게 〈법의〉 뜻을 묻되, 유(有)를 묻거든 무(無)를 가지고 대답하고, 무(無)를 묻거든 유(有)를 가지고 대답하고, 범(凡)을 묻거든 성(聖)으로 대답하고, 성(聖)을 묻거든 범(凡)으로 대답할 것이니, 두 〈가지〉 도[二道]가 서로 인하여 중도(中道)의 뜻을 낼 것이다. 네가 하나를 물으면 하나를 대답하고, 다른 물음에도 한가지로 이 작(作)을 의지하면 곧 법리(法理)를 잃지 아니할 것이다. 만약 〈어떤〉 사람이 묻되, ‘어찌하여 이름이 어두움인가?’라고 하거든, 대답하되, ‘밝음은 이것이 인(因)이고 어두움은 이것이 연(緣)이니, 밝음이 없으면 곧 어두움이다. 밝음으로 어두움을 나타내며 어두움으로 밝음을 나타내어, 오며, 감이 서로 인(因)하여 중도의 뜻을 이루느니라.’ 다른 물음이 다 이와 같으니 너희들이 후에 법을 전하되, 이를 의지하여 서로 가르쳐 주어 종지(宗旨)를 잃어버리지 말지니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사미:사람이. (다른) 사람이. 사[人]+이(주격조사).
주002)
네게:너에게. 네[汝]+게(여격조사).
주003)
들:뜻을. [義]+을(목적격조사).
주004)
무로:묻되. 묻-[問]+오/우.
주005)
유(有):유(有)를. 있음을.
주006)
무러든:묻거든. 물으면. 묻-[問]+어든(조건이나 가정을 나타내는 연결어미).
주007)
무(無):무(無)를. 없음을.
주008)
가져:가지고. 가지어. 가지-[將]+어.
주009)
묻거든:묻거든. 물으면. 묻-[問]+거든(연결어미). ‘묻-[問]’이 타동사이므로 ‘-거든’은 ‘-어든’으로 표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010)
대답(對答)고:대답(對答)하고.
주011)
범(凡)을:범(凡)을. 범인(凡人)을.
주012)
성(聖)으로:성(聖)으로. 성인(聖人)으로.
주013)
대답(對答)호리니:대답(對答)하리니. 대답(對答)할 것이니. ‘-호리니’는 ‘-+리+니’로 분석된다.
주014)
두:둘. 두[二](수관형사).
주015)
도(道)ㅣ:도(道)가. ‘ㅣ’는 주격조사. ‘도(道)’는 종교상의 근본이 되는 뜻을 이른다.
주016)
서르:서로. 서르[相](부사).
주017)
인(因)야:원인(原因)하여. 원인(原因)이 되어.
주018)
중도(中道):유(有)나 공(空)의 어느 한 쪽에 치우치지 않는 진실한 도리, 또는 고락(苦樂)의 양편을 떠난 올바른 행법(行法).
주019)
내리니:내리니. 낼 것이니. 내-[生]+리(추측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주020)
네:네가. 너[汝]+ㅣ(주격조사). ‘:네[汝]’는 상성.
주021)
나:하나. 하나를. 나[一](수사).
주022)
나:남은. 다른. 남-[餘]+(관형사형어미).
주023)
무루믈():물음을. 물음에. 묻-[問]+옴/움+을(목적격조사).
주024)
가지로:한가지로. [一]#가지[種]+로(부사격조사).
주025)
이:이. 이러한. 이[此](관형사).
주026)
작(作)을:작(作)을. 지음을.
주027)
이(理):바른 이치, 곧 경험적 인식을 초월한 상항불역(常恒不易)ㆍ보편평등(普遍平等)의 진여를 이른다.
주028)
일티:잃지. 잃어버리지. 잃-[失]+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29)
아니리라:아니할 것이다. 아니하리라. 아니-[不]+리+라.
주030)
엇뎨:어찌하여. 엇뎨[何](부사).
주031)
일후미:이름이. 일훔[名]+이(주격조사).
주032)
어드움고:어두움인가. 어-[暗]+옴/움(명사형어미)+고(의문보조사). ‘라’체의 설명 의문형이다.
주033)
커든:하거든. ‘거든’은 ‘거든’의 축약형이다.
주034)
-호:-하되. ‘-호’는 ‘-+오/우’로 분석된다.
주035)
고:밝음은. -[明]+옴/움+(보조사).
주036)
이:이것이. 이[是]+∅(주격조사).
주037)
인(因)이오:인(因)이고. ‘-오’는 서술격 다음에서 /ㄱ/ 약화 표기. ‘인(因)’은 어떤 결과를 일으키는 직접적인 원인.
주038)
어드우:어두움은. 어-[暗]+옴/움(명사형어미)+은(보조사).
주039)
연(緣)이니:연(緣)이니. ‘연(緣)’은 원인을 도와 결과를 낳게 하는 직접적인 작용을 하는 것.
주040)
고미:밝음이. -[明]+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주041)
업스면:없으면. 없-[沒]+으면(연결어미).
주042)
어드우미라:어두움이다. 어-[暗]+옴/움(명사형어미)+이(서술격조사)+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주043)
고로:밝음으로. -[明]+옴/움+로(구격조사).
주044)
어드우믈:어두움을. 어-[暗]+옴/움+을(목적격조사).
주045)
나토며:나타내며. 낱-[顯]+오(사동접미사)+며(연결어미).
주046)
어드우므로:어두움으로. 어-[暗]+옴/움+으로(구격조사).
주047)
고:밝음을.
주048)
나토아:나타내어.
주049)
오며:오며. 오-[來]+며(연결어미).
주050)
가미:감이. 가는 것이. 가-[去]+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가-[去](평성)’에 명사형어미 ‘옴/움’이 통합되어 ‘-오/우-’는 보이지 않고 ‘:감’의 성조만 상성으로 바뀌었다.
주051)
서르:서로.
주052)
일우니:이루느니. 일-[成]+우(사동접미사)+(직설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주053)
무로미:물음이. 묻-[問]+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주054)
이:이와. 이[此]+∅(비교부사격조사).
주055)
니:같으니. -[如]+니(연결어미).
주056)
너희히:너희들이. 너희ㅎ[汝等]+이(주격조사).
주057)
후(後)에:후(後)에. 뒤에.
주058)
전(傳)호:전(傳)하되. ‘-호’는 ‘-+오/우’.
주059)
이:이를. 이[是]+(목적격조사).
주060)
브터:의지하여. 븥-[依]+어(연결어미).
주061)
쳐:가르쳐. 치-[敎]+어.
주062)
심겨:전하여. 주어. 심기-[授]+어.
주063)
종지(宗旨):한 종교나 종파(宗派)의 중심이 되는 가르침.
주064)
마롤디니라:말지니라. 말 것이니라. 말-[勿]+오/우+ㄹ디니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