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하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하권
  • 제9 법문대시(法門對示)
  • 법문대시 6
메뉴닫기 메뉴열기

법문대시 6


若着相於外야 而作法求眞며 或廣立道場야 說有無之過患리니 如是之人은 累劫에 不可見性이리라 但聽依法修行고 又莫百物

육조법보단경언해 하:49ㄴ

을 不思호 而於道性에 窒礙니 若聽說고 不修면 令人으로 反生邪念리니 但依法修行고 無住相法施호리니 汝等이 若悟야 依此說며 依此用며 依此行며 依此作면 卽不失本宗리라

다가 주001)
다가:
만약. 다가[若](부사).
밧긔 주002)
밧긔:
밖에. 밖으로. [外]+의(처소부사격조사). ‘[外]’은 처소부사격으로 ‘/의’를 취하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相애 주003)
상(相)애:
상(相)에. ‘상(相)’은 외계(外界)에 나타나 마음의 상상(想像)이 되는 사물의 모양, 또는 유루(有漏).
着야 주004)
착(着)야:
집착(執着)하여.
法을 지 주005)
지:
지어. -[作]+어(연결어미).
眞을 주006)
진(眞)을:
참됨을.
求며 주007)
구(求)며:
구(求)하며.
시혹 주008)
시혹:
혹.
道場 주009)
도량(道場):
불도(佛道)를 닦는 곳.
너비 주010)
너비:
널리. 넓게. 넙[廣]+이(부사 파생접미사).
셰여 주011)
셰여:
세워. 셔[立]+ㅣ(사동접미사)+어(연결어미).
有와 주012)
유(有)와:
있고. 유(有)와.
無왓 주013)
무(無)왓:
없고의. 무(無)의. 당시에는 마지막 체언의 다음에까지 접속조사가 오고 그 뒤에 격조사나 보조사를 두었다.
허므를 주014)
허므를:
허물을. 허믈[過患]+을(목적격조사).
니리니 주015)
니리니:
이르리니. 말하리니. 니-[說]+리+니.

육조법보단경언해 하:50ㄱ

주016)
이:
이와. 이[是]+∅(비교 부사격조사).
 주017)
:
같은. -[如]+ㄴ(관형사형어미).
사은 주018)
사은:
사람은.
주019)
한:
많은. 여러. 하-[累]+ㄴ(관형사형어미).
주020)
겁(劫):
천지(天地)가 한 번 개벽한 때부터 다음 개벽할 때까지의 동안이라는 뜻으로 매우 길고 오랜 시간을 이른다.
어루 주021)
어루:
가히.
見性티 주022)
견성(見性)티:
견성(見性)치. ‘-티’는 ‘-디’의 축약형이다. ‘견성(見性)’은 모든 망혹(妄惑)을 버리고 자기 본래의 타고난 불성(佛性)을 깨달음을 이른다.
몯리라 주023)
몯리라:
못하리라. 못할 것이다. 몯-[不]+리+라.
오직 드러 주024)
드러:
들어서. 듣고. 듣-[聽]+어(연결어미).
法을 주025)
법(法)을:
법(法)을. 법(法)에. ‘법(法)’은 자신의 독특한 성품을 가지고, 궤범(軌範)이 되어 다른 이에게 일정한 요해(了解)를 내게 하는 것이다.
브터 주026)
브터:
의지하여. 븥-[依]+어(연결어미).
修行 주027)
수행(修行):
불도(佛道)를 닦음.
고  온가짓 주028)
온가짓:
백 가지의. 온갖. 온[百]#가지[種]+ㅅ(관형격조사).
거슬 주029)
거슬:
것을. 것[物]+을(목적격조사).
티 주030)
티:
생각하지. -[思]+디(보조적 연결어미).
마로 주031)
마로:
말되. 말-[莫]+오/우(설명형어미).
道性 주032)
도성(道性):
도(道)의 성품.
마키디 주033)
마키디:
막히지. 막-[窒]+히(피동접미사)+디(보조적연결어미).
마롤디니 주034)
마롤디니:
말지니. 말 것이니. 말-[礙]+오/우+ㄹ(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이(서술격조사)+니.
다가 닐오 주035)
닐오:
말씀을. 이르는 것을. 니-[說]+옴/움(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듣고 주036)
듣고:
듣고. 듣-[聽]+고.
修行티 주037)
수행(修行)티:
수행(修行)하지. ‘-티’는 ‘--+디(보조적 연결어미)’의 축약형.
아니면 주038)
아니면:
아니하면. 아니-[不]+면(연결어미).
사으로 도혀 주039)
도혀:
도리어. 도혀[反](부사). ‘도혀-[反]+어(연결어미)’가 부사화한 것임.
邪念 주040)
사념(邪念):
그릇된 생각.
내에 주041)
내에:
내게. 생겨나게. 내-[生]+게/에(연결어미). ‘-에’는 음절부음 [j] 뒤에서 /ㄱ/ 약화 표기.
리니 주042)
리니:
하리니. 할 것이니. -+리+니.
오직 法을 브터 주043)
법(法)을 브터:
법(法)을 의지하여. 법(法)에 의지하여.
修行고 주044)
수행(修行)고:
수행(修行)하고.
住相 주045)
주상(住相):
현상계의 생멸(生滅)ㆍ변화(變化)하는 모습인 생(生)·주(住)·이(離)·멸(滅) 중 만유(萬有)가 머물러 있는 상(相)을 말한다.
업슨 주046)
업슨:
없는. 없-[無]+은(관형사형어미).
주047)
법(法):
법(法)을.
施호리니 주048)
시(施)호리니:
베풀[施] 것이니. 베풀[施]지니. ‘-호리니’는 ‘-+오/우+리+니’로 분석된다.
너희히 주049)
너희히:
너희들이. 너희ㅎ[汝等]+이(주격조사).
다가

육조법보단경언해 하:50ㄴ

주050)
아라:
깨달아. 알아서. 알-[悟]+아(연결어미).
주051)
이:
이. 이러한. 이[此].
닐오 주052)
닐오:
이름을. 말함을. 니-[說]+옴/움(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브트며 주053)
브트며:
의지하며. 븥-[依]+으며(연결어미).
주054)
용(用):
능력ㆍ작용 등을 이른다.
을 브트며 이 주055)
행(行):
일체의 유위법(有爲法), 곧 조작(造作)을 이른다.
을 브트며 이 作을 주056)
작(作)을:
지음을.
브트면 주057)
브트면:
의지하면.
本宗 주058)
본종(本宗):
근본 종지(宗旨).
일티 주059)
일티:
잃지. 잃-[失]+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리라 주060)
아니리라:
아니하리라. 아니할 것이다. 아니-[不]+리(추측법 선어말어미)+라(종결어미). ‘-리-’에는 서술격이 내재되어 있음.

만약 밖으로 상(相)에 집착하여 법(法)을 지어 진(眞)을 구하며, 혹 도량(道場)을 넓게 세워 유(有)와 무(無)의 허물을 말할 것이니, 이와 같은 사람은 여러 겁(劫)에 가히 견성(見性)치 못할 것이다. 오직 듣고 법을 의지하여 수행(修行)하며, 또한 온갖 것을 생각하지 말되, 도성(道性 : 도의 성품)에 막히지 말지니라. 만약 말씀을 듣고 수행(修行)하지 아니하면, 사람으로 〈하여금〉 도리어 사념(邪念)을 내게 할 것이니, 오직 법을 의지하여 수행하고 상(相)에 머무름[住相]이 없는 법을 시행(施行)할지니라. 너희들이 만약 깨달아서 이 말을 의지하며, 이 용(用)을 의지하며, 이 행(行)을 의지하며, 이 작(作)을 의지하면, 곧 근본(根本) 종지(宗旨)를 잃지 않을 것이다.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다가:만약. 다가[若](부사).
주002)
밧긔:밖에. 밖으로. [外]+의(처소부사격조사). ‘[外]’은 처소부사격으로 ‘/의’를 취하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주003)
상(相)애:상(相)에. ‘상(相)’은 외계(外界)에 나타나 마음의 상상(想像)이 되는 사물의 모양, 또는 유루(有漏).
주004)
착(着)야:집착(執着)하여.
주005)
지:지어. -[作]+어(연결어미).
주006)
진(眞)을:참됨을.
주007)
구(求)며:구(求)하며.
주008)
시혹:혹.
주009)
도량(道場):불도(佛道)를 닦는 곳.
주010)
너비:널리. 넓게. 넙[廣]+이(부사 파생접미사).
주011)
셰여:세워. 셔[立]+ㅣ(사동접미사)+어(연결어미).
주012)
유(有)와:있고. 유(有)와.
주013)
무(無)왓:없고의. 무(無)의. 당시에는 마지막 체언의 다음에까지 접속조사가 오고 그 뒤에 격조사나 보조사를 두었다.
주014)
허므를:허물을. 허믈[過患]+을(목적격조사).
주015)
니리니:이르리니. 말하리니. 니-[說]+리+니.
주016)
이:이와. 이[是]+∅(비교 부사격조사).
주017)
:같은. -[如]+ㄴ(관형사형어미).
주018)
사은:사람은.
주019)
한:많은. 여러. 하-[累]+ㄴ(관형사형어미).
주020)
겁(劫):천지(天地)가 한 번 개벽한 때부터 다음 개벽할 때까지의 동안이라는 뜻으로 매우 길고 오랜 시간을 이른다.
주021)
어루:가히.
주022)
견성(見性)티:견성(見性)치. ‘-티’는 ‘-디’의 축약형이다. ‘견성(見性)’은 모든 망혹(妄惑)을 버리고 자기 본래의 타고난 불성(佛性)을 깨달음을 이른다.
주023)
몯리라:못하리라. 못할 것이다. 몯-[不]+리+라.
주024)
드러:들어서. 듣고. 듣-[聽]+어(연결어미).
주025)
법(法)을:법(法)을. 법(法)에. ‘법(法)’은 자신의 독특한 성품을 가지고, 궤범(軌範)이 되어 다른 이에게 일정한 요해(了解)를 내게 하는 것이다.
주026)
브터:의지하여. 븥-[依]+어(연결어미).
주027)
수행(修行):불도(佛道)를 닦음.
주028)
온가짓:백 가지의. 온갖. 온[百]#가지[種]+ㅅ(관형격조사).
주029)
거슬:것을. 것[物]+을(목적격조사).
주030)
티:생각하지. -[思]+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31)
마로:말되. 말-[莫]+오/우(설명형어미).
주032)
도성(道性):도(道)의 성품.
주033)
마키디:막히지. 막-[窒]+히(피동접미사)+디(보조적연결어미).
주034)
마롤디니:말지니. 말 것이니. 말-[礙]+오/우+ㄹ(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이(서술격조사)+니.
주035)
닐오:말씀을. 이르는 것을. 니-[說]+옴/움(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주036)
듣고:듣고. 듣-[聽]+고.
주037)
수행(修行)티:수행(修行)하지. ‘-티’는 ‘--+디(보조적 연결어미)’의 축약형.
주038)
아니면:아니하면. 아니-[不]+면(연결어미).
주039)
도혀:도리어. 도혀[反](부사). ‘도혀-[反]+어(연결어미)’가 부사화한 것임.
주040)
사념(邪念):그릇된 생각.
주041)
내에:내게. 생겨나게. 내-[生]+게/에(연결어미). ‘-에’는 음절부음 [j] 뒤에서 /ㄱ/ 약화 표기.
주042)
리니:하리니. 할 것이니. -+리+니.
주043)
법(法)을 브터:법(法)을 의지하여. 법(法)에 의지하여.
주044)
수행(修行)고:수행(修行)하고.
주045)
주상(住相):현상계의 생멸(生滅)ㆍ변화(變化)하는 모습인 생(生)·주(住)·이(離)·멸(滅) 중 만유(萬有)가 머물러 있는 상(相)을 말한다.
주046)
업슨:없는. 없-[無]+은(관형사형어미).
주047)
법(法):법(法)을.
주048)
시(施)호리니:베풀[施] 것이니. 베풀[施]지니. ‘-호리니’는 ‘-+오/우+리+니’로 분석된다.
주049)
너희히:너희들이. 너희ㅎ[汝等]+이(주격조사).
주050)
아라:깨달아. 알아서. 알-[悟]+아(연결어미).
주051)
이:이. 이러한. 이[此].
주052)
닐오:이름을. 말함을. 니-[說]+옴/움(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주053)
브트며:의지하며. 븥-[依]+으며(연결어미).
주054)
용(用):능력ㆍ작용 등을 이른다.
주055)
행(行):일체의 유위법(有爲法), 곧 조작(造作)을 이른다.
주056)
작(作)을:지음을.
주057)
브트면:의지하면.
주058)
본종(本宗):근본 종지(宗旨).
주059)
일티:잃지. 잃-[失]+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60)
아니리라:아니하리라. 아니할 것이다. 아니-[不]+리(추측법 선어말어미)+라(종결어미). ‘-리-’에는 서술격이 내재되어 있음.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