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하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하권
  • 제9 법문대시(法門對示)
  • 법문대시 1
메뉴닫기 메뉴열기

법문대시 1


師ㅣ 一日에 喚門人 法海 志誠 法達 神會 智常 智通 志徹 志道 法珎 法如 等야 曰샤 汝

육조법보단경언해 하:41ㄱ

等은 不同餘人니 吾滅度後에 各爲一方師리니 吾今에 敎汝說法호리니 不失本宗야 先須擧三科法門야 動用애 三十六對며 出沒애 卽離兩邊고 說一切法호 莫離自性이니라 忽有人이 問汝法커든 出語 盡雙야 皆取對法야 來去에 相因야 究竟에 二法을 盡除고 更無去處호리라

師ㅣ  주001)
:
하루는. [一日]+(보조사). ‘’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와 통합할 때 끝소리 ‘’가 탈락하고 ‘ㄹ’이 겹쳐지면서 체언의 형태가 바뀐다.
門人 주002)
문인(門人):
문하(門下)에서 가르침을 받는 제자를 가리킨다.
法海와 志

육조법보단경언해 하:41ㄴ

誠과 法達와 神會와 智常과 智通과 志徹와 志道와 法珎과 法如 주003)
-:
-들을. 등(等)을. -ㅎ(복수접미사)+(목적격조사).
블러 주004)
블러:
불러. 불러서. 브르-[喚]+어(연결어미). ‘브르-[喚]’은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만나면 어간의 형태가 바뀌는 ‘’ 불규칙 용언이다. 이른바 ‘ㄹㄹ형’이다.
니샤 주005)
니샤:
이르시되. 말씀하시되. 니-[曰]+샤+오/우.
너희 주006)
너희:
너희들은. 너희[汝等]+ㅎ+(보조사).
녀나 주007)
녀나:
다른. 남은. 녀나[餘](관형사).
사과 주008)
사과:
사람들과. 사람과.
디 주009)
디:
같지. -[同]+디(연결어미).
아니니 주010)
아니니:
아니하니.
주011)
나:
내가.
滅度 주012)
멸도(滅度):
일체의 번뇌에서 해탈(解脫)한 불생 불멸(不生不滅)의 높은 경지. 적멸(寂滅).
 後에 各各 一方앳 주013)
일방(一方)앳:
한 지방의. ‘앳’은 ‘애(처소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로 분석된다.
師ㅣ 주014)
사(師)ㅣ:
스승이. ‘ㅣ’는 주격조사.
외리니 주015)
외리니:
될 것이니. 되리니. 외-[爲]+리+니.
주016)
내:
내가. 나[吾]+ㅣ(주격조사). ‘·내’는 거성.
이제 너희 주017)
너희:
너희에게. 너희를.
닐오 주018)
닐오:
이름을. 이르는 것을. 니-[說]+옴/움(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니-’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선어말어미나 어미와 만나면 어간의 형태가 바뀌는 ‘’ 불규칙의 ‘ㄹㅇ’형이다.
쵸리니 주019)
쵸리니:
가르칠 것이니. 치-[敎]+오/우+리+니.
本宗을 주020)
본종(本宗)을:
근본(根本) 종지(宗旨)를.
일티 주021)
일티:
잃지. 잃[失]+디(연결어미).
마라 주022)
마라:
말라. 말아라. 말-[不]+라(‘라’체의 명령형종결어미).
몬져 주023)
몬져:
먼저. 몬져[先](부사).
모로매 주024)
모로매:
모름지기. 모로매[須](부사).
三科 주025)
삼과(三科):
일체의 만법(萬法)을 셋으로 나눈 것. 5온(五蘊), 12처(處), 18계(界)를 이른다.
法門 주026)
법문(法門):
중생이 불법(佛法)으로 들어가는 문.

육조법보단경언해 하:42ㄱ

드러 주027)
드러:
들어. 들어서. 들-[擧]+어.
動用 주028)
동용(動用):
움직여 씀.
三十六對 주029)
삼십육대(三十六對):
서른 여섯 가지 상대하는 법[對法].
出沒애 주030)
출몰(出沒)애:
나고 듦에.
兩邊 주031)
양변(兩邊):
두 가지 치우침.
여희오 주032)
여희오:
여의고. 여희-[離]+고/오. ‘-오’는 음절부음 [j] 다음에서 /ㄱ/ 약화 표기.
一切 法을 닐오 주033)
닐오:
이르되. 말하되. 니-[說]+오/우. ‘’ 불규칙의 ‘ㄹㅇ’형.
自性 주034)
자성(自性):
자기의 본성(本性). 곧 본래부터 가지고 있는 자신의 참성품을 가리킨다.
여희디 주035)
여희디:
여의지.
마롤디니라 주036)
마롤디니라:
말지니라. 말 것이니라. 말-[莫]+오/우+ㄹ(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이(서술격조사)+니라.
믄득 주037)
믄득:
문득. 믄득[忽](부사).
사미 주038)
사미:
사람이. 사[人]+이(주격조사).
네게 주039)
네게:
너에게. 네[汝]+게(여격조사).
法을 묻거든 주040)
묻거든:
물으니. 물으면. 묻-[問]+거든(연결어미).
말 주041)
말:
말. 말[語].
내요 주042)
내요:
냄을. 내는 것을. 내-[出]+옴/움+(목적격조사).
주043)
다:
다. 모두. ‘다-[盡]+아(연결어미)’가 문법화한 형태임.
둘흘 주044)
둘흘:
둘을. 둘ㅎ[二]+을.
야 주045)
야:
하여.
對法 주046)
대법(對法):
4체(諦)의 이치를 대관(對觀)하여 열반에 대향(對向)한다는 뜻이다. 일반적으로는 두 가지 뜻이 있다. 하나는 부처의 가르침, 곧 교법에 대한 연구와 연찬이라는 의미이고, 다른 하나는 열반을 향하는 무루(無漏)의 지혜를 이른다.
을 取야 來와 주047)
래(來)와:
오고.
去와애 주048)
거(去)와애:
감에. ‘와(접속조사)+애(부시격조사)’.
서르 주049)
서르:
서로.
因야 주050)
인(因)야:
원인(原因)하여.
究竟 주051)
구경(究竟):
사물을 궁구(窮究)해 가다가 마침내 도달한 곳.
에 두 法을 다 덜오 주052)
덜오:
덜고. 덜어내고. 덜-[除]+고/오(연결어미). ‘-오’는 [ㄹ] 다음에서 /ㄱ/ 약화 표기.
다시 주053)
갈:
갈. 가-[去]+ㄹ(관형사형어미).
고디 주054)
고디:
곳이. 곧[處]+이(주격조사).
업게 주055)
업게:
없게. 없-[無]+게.
호리라 주056)
호리라:
하리라. 할 것이다. -+오/우+리+라(종결어미).

조사께서 하루는 문인(門人)인 법해(法海)와 지성(志誠)과 법달(法達)과 신회(神會)와 지상(智常)과 지통(智通)과 지철(志徹)과 지도(志道)와 법진(法珎)과 법여(法如) 등을 불러 말씀하셨다. “너희들은 다른 사람들과 같지 아니하니, 내가 멸도(滅度)한 후에 각각 한 지방[一方]의 스승이 될 것이니라. 내가 이제 너희에게 법(法) 이르는 것을 가르칠 것이니, 근본(根本) 종지(宗旨)를 잃지 말라. 먼저 모름지기 삼과(三科) 법문(法門)을 들어 〈말하리니〉, 동용(動用:움직여 씀)에 삼십육대(三十六對 : 서른여섯 가지 상대하는 법)이며, 출몰(出沒 : 나고 듦)에 곧 양변(兩邊 : 두 가지 치우침)을 여의고, 일체(一切)의 법을 이르되 자성(自性 : 자기 성품)을 여의지 말지니라. 문득 〈어떤〉 사람이 너에게 법을 물으면, 말 냄을 다 둘을 하여 대법(對法 : 상대하는 법)을 취해서, 오고[來] 감[去]에 서로 원인(原因)하여 구경(究竟 : 마침내)에는 두 법을 다 덜어내고 다시 갈 곳이 없게 할 것이다.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하루는. [一日]+(보조사). ‘’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와 통합할 때 끝소리 ‘’가 탈락하고 ‘ㄹ’이 겹쳐지면서 체언의 형태가 바뀐다.
주002)
문인(門人):문하(門下)에서 가르침을 받는 제자를 가리킨다.
주003)
-:-들을. 등(等)을. -ㅎ(복수접미사)+(목적격조사).
주004)
블러:불러. 불러서. 브르-[喚]+어(연결어미). ‘브르-[喚]’은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만나면 어간의 형태가 바뀌는 ‘’ 불규칙 용언이다. 이른바 ‘ㄹㄹ형’이다.
주005)
니샤:이르시되. 말씀하시되. 니-[曰]+샤+오/우.
주006)
너희:너희들은. 너희[汝等]+ㅎ+(보조사).
주007)
녀나:다른. 남은. 녀나[餘](관형사).
주008)
사과:사람들과. 사람과.
주009)
디:같지. -[同]+디(연결어미).
주010)
아니니:아니하니.
주011)
나:내가.
주012)
멸도(滅度):일체의 번뇌에서 해탈(解脫)한 불생 불멸(不生不滅)의 높은 경지. 적멸(寂滅).
주013)
일방(一方)앳:한 지방의. ‘앳’은 ‘애(처소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로 분석된다.
주014)
사(師)ㅣ:스승이. ‘ㅣ’는 주격조사.
주015)
외리니:될 것이니. 되리니. 외-[爲]+리+니.
주016)
내:내가. 나[吾]+ㅣ(주격조사). ‘·내’는 거성.
주017)
너희:너희에게. 너희를.
주018)
닐오:이름을. 이르는 것을. 니-[說]+옴/움(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니-’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선어말어미나 어미와 만나면 어간의 형태가 바뀌는 ‘’ 불규칙의 ‘ㄹㅇ’형이다.
주019)
쵸리니:가르칠 것이니. 치-[敎]+오/우+리+니.
주020)
본종(本宗)을:근본(根本) 종지(宗旨)를.
주021)
일티:잃지. 잃[失]+디(연결어미).
주022)
마라:말라. 말아라. 말-[不]+라(‘라’체의 명령형종결어미).
주023)
몬져:먼저. 몬져[先](부사).
주024)
모로매:모름지기. 모로매[須](부사).
주025)
삼과(三科):일체의 만법(萬法)을 셋으로 나눈 것. 5온(五蘊), 12처(處), 18계(界)를 이른다.
주026)
법문(法門):중생이 불법(佛法)으로 들어가는 문.
주027)
드러:들어. 들어서. 들-[擧]+어.
주028)
동용(動用):움직여 씀.
주029)
삼십육대(三十六對):서른 여섯 가지 상대하는 법[對法].
주030)
출몰(出沒)애:나고 듦에.
주031)
양변(兩邊):두 가지 치우침.
주032)
여희오:여의고. 여희-[離]+고/오. ‘-오’는 음절부음 [j] 다음에서 /ㄱ/ 약화 표기.
주033)
닐오:이르되. 말하되. 니-[說]+오/우. ‘’ 불규칙의 ‘ㄹㅇ’형.
주034)
자성(自性):자기의 본성(本性). 곧 본래부터 가지고 있는 자신의 참성품을 가리킨다.
주035)
여희디:여의지.
주036)
마롤디니라:말지니라. 말 것이니라. 말-[莫]+오/우+ㄹ(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이(서술격조사)+니라.
주037)
믄득:문득. 믄득[忽](부사).
주038)
사미:사람이. 사[人]+이(주격조사).
주039)
네게:너에게. 네[汝]+게(여격조사).
주040)
묻거든:물으니. 물으면. 묻-[問]+거든(연결어미).
주041)
말:말. 말[語].
주042)
내요:냄을. 내는 것을. 내-[出]+옴/움+(목적격조사).
주043)
다:다. 모두. ‘다-[盡]+아(연결어미)’가 문법화한 형태임.
주044)
둘흘:둘을. 둘ㅎ[二]+을.
주045)
야:하여.
주046)
대법(對法):4체(諦)의 이치를 대관(對觀)하여 열반에 대향(對向)한다는 뜻이다. 일반적으로는 두 가지 뜻이 있다. 하나는 부처의 가르침, 곧 교법에 대한 연구와 연찬이라는 의미이고, 다른 하나는 열반을 향하는 무루(無漏)의 지혜를 이른다.
주047)
래(來)와:오고.
주048)
거(去)와애:감에. ‘와(접속조사)+애(부시격조사)’.
주049)
서르:서로.
주050)
인(因)야:원인(原因)하여.
주051)
구경(究竟):사물을 궁구(窮究)해 가다가 마침내 도달한 곳.
주052)
덜오:덜고. 덜어내고. 덜-[除]+고/오(연결어미). ‘-오’는 [ㄹ] 다음에서 /ㄱ/ 약화 표기.
주053)
갈:갈. 가-[去]+ㄹ(관형사형어미).
주054)
고디:곳이. 곧[處]+이(주격조사).
주055)
업게:없게. 없-[無]+게.
주056)
호리라:하리라. 할 것이다. -+오/우+리+라(종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