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상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상권
  • 제1 오법전의(悟法傳衣)
  • 오법전의 8
메뉴닫기 메뉴열기

오법전의 8


秀ㅣ 乃思惟호 如向廊下書著야 從他和尙이 看見이로다 忽若道好ㅣ어시든 卽出禮拜코 云호 是秀의 作이다코 若道不堪인댄 枉向山中야 數年을 受人禮拜호니 更修何道ㅣ리오 고 是夜三更에 不使人知야 自執燈고 書偈於南

육조법보단경언해 상:15ㄱ

廊壁間야 呈心所見니 偈曰호 身是菩提樹ㅣ오 心如明鏡臺니 時時예 勤拂拭야 勿使惹塵埃니라

秀ㅣ 호 廊下 주001)
낭하(廊下):
행랑(行廊)이나 복도(複道)를 이른다.
 向야 주002)
서:
써서. 스-[書]+어.
뎌 和尙이 보시게 홈만 주003)
홈만:
함만. 하는 것만. -+옴+만.
디 주004)
디:
같지.
몯도다 주005)
몯도다:
못하구나.
믄득 다가 됴타 주006)
됴타(둏다):
좋다. 둏-[好]+다.
니거시든 주007)
니거시:
이르시거든. 니-[道]+거+시+.
주008)
나:
나가서. 나-[出]+아.
저고 닐오 주009)
이:
이것이. 이것은. 이[是]+∅.
秀의 作이다 주010)
작(作)이다:
지은 것입니다.
고 다가 얌직디 주011)
얌 직디:
함 직하지. ‘직디’는 ‘직디’에서 ‘--’가 탈락한 형태임.
몯다 주012)
몯다:
못하다. ‘몯다’는 ‘몯다’에서 ‘--’가 탈락한 형태임.
니시린댄 주013)
니시린댄:
이르시면. 이르실 것이면. 니-[道]+시+리+ㄴ댄.

육조법보단경언해 상:15ㄴ

대로
주014)
간대로:
함부로.
山中을 向야 두  주015)
:
해를. [年]+.
사 주016)
사:
사람들의.
禮拜 바도니 주017)
바도니:
받으니. 받았으니. 받-[受]+오+니.
다시 엇던 주018)
엇던:
어떤. 어떠한.
道 닷료 주019)
닷료:
닦을 것인가. -[修]+리+오(‘라체’의 1·3인칭 설명의문형어미).
고 주020)
이:
이날.
밤 三更에 사으로 아디 주021)
아디:
알지. 알-[知]+디.
몯게 주022)
몯게:
못하게.
야 자내 주023)
자내:
몸소. 스스로.
주024)
블:
불을. 블[火].
잡고 偈 南廊壁間에 서  주025)
:
마음의. [心]+(관형격조사).
所見을 呈니 偈로 닐오 모 주026)
모:
몸은. 몸[身]+.
菩提樹 주027)
보리수(菩提樹):
부처가 그 아래에서 도(道)를 깨쳤다는 나무.
ㅣ오 주028)
-ㅣ오:
-이고.
은 明鏡臺 주029)
명경대(明鏡臺):
그 앞을 지나는 이가 생전에 행한 착한 일과 악한 일을 사실과 똑같이 보여 준다고 하는 저승길 입구의 거울을 이른다.
니 주030)
니:
같으니. -[如]+니.
時時예 브즈러니 주031)
브즈러니:
부지런히.
스저 주032)
스저:
닦아. 닦아서. 슺-[拂拭]+어.
듣글 주033)
듣글:
티끌이. 듣글[塵埃].

육조법보단경언해 상:16ㄱ

주034)
묻게:
묻게. 묻-[惹]+게.
마롤디니라 주035)
마롤디니라:
말지니라. 말 것이니라.

신수(神秀)가 생각하되, “낭하(廊下)를 향하여 써서 저 화상이 보시게 하는 것만 같지 못하구나. 문득 만약 ‘좋다’(고) 이르시거든 곧 나가서 절하고 이르되, ‘이것은 제가 지은 것입니다.’ 하고, 만약 ‘그렇지 못하다’(고) 이르시면 함부로 산중을 향하여 두어 해를 다른 사람들의 예배를 받았으니 다시 어떤 도(道)를 닦을 것인가?” 하였다. 이날 밤 삼경(三更)에 다른 사람으로 (하여금) 알지 못하게 하여 몸소 불을 잡고 게송을 남쪽 낭하의 벽 사이에 써서 마음의 소견(所見)을 바쳤다. 게송으로 이르되, “몸은 이것이 보리수(菩提樹)이고 / 마음은 명경대(明鏡臺)와 같으니, / 때때로 부지런히 닦아서 / 티끌이 묻게 말지니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낭하(廊下):행랑(行廊)이나 복도(複道)를 이른다.
주002)
서:써서. 스-[書]+어.
주003)
홈만:함만. 하는 것만. -+옴+만.
주004)
디:같지.
주005)
몯도다:못하구나.
주006)
됴타(둏다):좋다. 둏-[好]+다.
주007)
니거시:이르시거든. 니-[道]+거+시+.
주008)
나:나가서. 나-[出]+아.
주009)
이:이것이. 이것은. 이[是]+∅.
주010)
작(作)이다:지은 것입니다.
주011)
얌 직디:함 직하지. ‘직디’는 ‘직디’에서 ‘--’가 탈락한 형태임.
주012)
몯다:못하다. ‘몯다’는 ‘몯다’에서 ‘--’가 탈락한 형태임.
주013)
니시린댄:이르시면. 이르실 것이면. 니-[道]+시+리+ㄴ댄.
주014)
간대로:함부로.
주015)
:해를. [年]+.
주016)
사:사람들의.
주017)
바도니:받으니. 받았으니. 받-[受]+오+니.
주018)
엇던:어떤. 어떠한.
주019)
닷료:닦을 것인가. -[修]+리+오(‘라체’의 1·3인칭 설명의문형어미).
주020)
이:이날.
주021)
아디:알지. 알-[知]+디.
주022)
몯게:못하게.
주023)
자내:몸소. 스스로.
주024)
블:불을. 블[火].
주025)
:마음의. [心]+(관형격조사).
주026)
모:몸은. 몸[身]+.
주027)
보리수(菩提樹):부처가 그 아래에서 도(道)를 깨쳤다는 나무.
주028)
-ㅣ오:-이고.
주029)
명경대(明鏡臺):그 앞을 지나는 이가 생전에 행한 착한 일과 악한 일을 사실과 똑같이 보여 준다고 하는 저승길 입구의 거울을 이른다.
주030)
니:같으니. -[如]+니.
주031)
브즈러니:부지런히.
주032)
스저:닦아. 닦아서. 슺-[拂拭]+어.
주033)
듣글:티끌이. 듣글[塵埃].
주034)
묻게:묻게. 묻-[惹]+게.
주035)
마롤디니라:말지니라. 말 것이니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