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상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상권
  • 제1 오법전의(悟法傳衣)
  • 오법전의 17
메뉴닫기 메뉴열기

오법전의 17


祖ㅣ復曰샤 昔에 達磨大師ㅣ 初來此土시니 人未之信 故로 傅此衣야 以爲信體야 代代相承고 法則以心傅心야 皆令自悟自

육조법보단경언해 상:30ㄴ

解케시니 自古로 佛佛이 惟傅本體시며 師師ㅣ 密付本心시니 衣爲爭端이니 止汝勿傅라 若傅此衣면 命如懸絲리니 汝須速去라 恐人이 害汝노라 能이 曰호 向甚處去ㅣ리고 祖ㅣ 云샤 逄懷則止고 遇會則藏라 惠能이 三更에 領得衣鉢云호 能은 本是南中人이라 久不知此山路노다 如何出得江口리고

祖ㅣ  니샤 주001)
녜:
옛적. 녜[昔].
達磨大師 주002)
달마대사(達磨大師):
중국 선종(禪宗)의 초조(初祖). 서천(西天) 이십팔조(二十八祖)중 제이십팔대조. 남인도 향지국왕의 셋째 아들이었으나 출가하여 승려가 된 후 중국으로 건너와 숭산 소림사에서 주석했다.

육조법보단경언해 상:31ㄱ

ㅣ 이 土애 처 주003)
처:
처음.
오시니 사미 信티 아니 젼로 주004)
젼로:
까닭으로.
오 주005)
오:
옷을. 옷[衣]+.
傳야 信體 주006)
신체(信體):
믿음의 체(體).
사마 주007)
사마:
삼아. 삼-[爲]+아.
代代예 서르 주008)
서르:
서로.
닛고 주009)
닛고:
잇고. 이어왔고. 닛-[承]+고.
法은 으로 을 傳야 다 제 解며 주010)
해(解)며:
알며.
悟케 주011)
오(悟)케:
깨치게.
시니 녜브터 주012)
녜브터:
예로부터.
부텨마다 주013)
부텨마다:
부처마다.
오직 本體 주014)
본체(本體):
사물의 실제의 모습. 곧 본바탕.
 傳시며 스마다 本心 주015)
본심(本心):
꾸밈이나 거짓이 없는 참마음.
그기 주016)
그기:
그윽이. 은밀히. 그기[密].
맛디시니 衣 톨 주017)
톨:
다툴. 토-[爭]+ㄹ(관형사형어미).
그티 주018)
그티:
끝이. 실마리가. 긑[端]+이(보격조사.).
외니 주019)
외니:
되니. 외-[爲]+니.
네게 주020)
네게:
너에게서. 네게서.
止야 傳티

육조법보단경언해 상:31ㄴ

말라 다가 이 오 傳면 命이 다론# 주021)
론:
달린. 매달린. -[懸]+오+ㄴ.
주022)
실:
실[絲]과.
리니 주023)
리니:
같으리니. 같을 것이니. -[如]+리+니.
네 모 리 주024)
리:
빨리. -[速]+이(부사파생접미사).
가라 주025)
가라:
가거라. 가-[去]+라(‘라체’의 명령형어미).
사미 너 害가 전노라# 주026)
젓노라:
두렵노라. 젛-[恐]++오+라.
能이 오 어느 고 向야 가리고 주027)
가리고:
가야합니까. 가야할 것입니까. 가-[去]+리++ㅅ+고.
祖ㅣ 니샤 懷 맛나 주028)
맛나:
만나거든. 맛나-[逢]+아+.
止고 會 맛나 藏라 야시 주029)
야시:
하시거늘.
【懷와 會 주030)
:
땅의. [地]+ㅅ(관형격조사).
일후미라 주031)
일후미라:
이름이다.
惠能이 三更에 衣鉢 得야 오 能은 本來 이 南

육조법보단경언해 상:32ㄱ

사미라 주032)
사미라:
사람이어서. 사[人]+이+라(연결어미).
오래 이 山ㅅ 길흘 주033)
길흘:
길을. 길ㅎ[路]+을.
주034)
산(山)ㅅ길흘:
산길을.
아디 몯노다 주035)
몯노다:
못합니다. 못하나이다.
엇뎨 江口 주036)
강구(江口):
강의 어귀. 나루.
나가리고 주037)
나가리고:
나갈 수 있습니까. 나가겠습니까.

조사께서 또 이르시되, “옛적 달마대사(達磨大師)가 이 땅에 처음 오시니 사람들이 믿지 아니하는 까닭으로 이 옷을 전(傳)하여 믿음의 체(體)를 삼아 대대에 (걸쳐) 서로 이어왔고, 법(法)은 마음으로 마음을 전하여 다 스스로 알며 스스로 깨치게 하시는 것이다. 예로부터 부처마다 오직 본체(本體)를 전하시며 스승마다 본심(本心)을 그윽이 맡기셨다. 법의(法衣)는 다툴 실마리가 되니 네게서 그치고 전하지 말아라. 만약 이 옷을 전하면 목숨이 매달린 실과 같을 것이니 너는 모름지기 빨리 가거라. 사람들이 너를 해칠까 두렵노라.”(라고 하셨다.) 내가 사뢰었다. “어느 곳을 향해 가야 합니까?” 조사께서 이르시되, “회(懷)를 만나거든 그치고, 회(會)를 만나거든 (몸을) 감추어라.”(라고) 하셨다【회(懷)와 회(會)는 땅의 이름이다.】 . 내가 삼경(三更)에 의발(衣鉢)을 얻고 사뢰었다. “저는 본래 이 남중(南中) 사람이어서 오래 이 산길을 알지 못합니다. 어찌하면 강구(江口)에 나갈 수 있습니까?”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5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녜:옛적. 녜[昔].
주002)
달마대사(達磨大師):중국 선종(禪宗)의 초조(初祖). 서천(西天) 이십팔조(二十八祖)중 제이십팔대조. 남인도 향지국왕의 셋째 아들이었으나 출가하여 승려가 된 후 중국으로 건너와 숭산 소림사에서 주석했다.
주003)
처:처음.
주004)
젼로:까닭으로.
주005)
오:옷을. 옷[衣]+.
주006)
신체(信體):믿음의 체(體).
주007)
사마:삼아. 삼-[爲]+아.
주008)
서르:서로.
주009)
닛고:잇고. 이어왔고. 닛-[承]+고.
주010)
해(解)며:알며.
주011)
오(悟)케:깨치게.
주012)
녜브터:예로부터.
주013)
부텨마다:부처마다.
주014)
본체(本體):사물의 실제의 모습. 곧 본바탕.
주015)
본심(本心):꾸밈이나 거짓이 없는 참마음.
주016)
그기:그윽이. 은밀히. 그기[密].
주017)
톨:다툴. 토-[爭]+ㄹ(관형사형어미).
주018)
그티:끝이. 실마리가. 긑[端]+이(보격조사.).
주019)
외니:되니. 외-[爲]+니.
주020)
네게:너에게서. 네게서.
주021)
론:달린. 매달린. -[懸]+오+ㄴ.
주022)
실:실[絲]과.
주023)
리니:같으리니. 같을 것이니. -[如]+리+니.
주024)
리:빨리. -[速]+이(부사파생접미사).
주025)
가라:가거라. 가-[去]+라(‘라체’의 명령형어미).
주026)
젓노라:두렵노라. 젛-[恐]++오+라.
주027)
가리고:가야합니까. 가야할 것입니까. 가-[去]+리++ㅅ+고.
주028)
맛나:만나거든. 맛나-[逢]+아+.
주029)
야시:하시거늘.
주030)
:땅의. [地]+ㅅ(관형격조사).
주031)
일후미라:이름이다.
주032)
사미라:사람이어서. 사[人]+이+라(연결어미).
주033)
길흘:길을. 길ㅎ[路]+을.
주034)
산(山)ㅅ길흘:산길을.
주035)
몯노다:못합니다. 못하나이다.
주036)
강구(江口):강의 어귀. 나루.
주037)
나가리고:나갈 수 있습니까. 나가겠습니까.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