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상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상권
  • 제1 오법전의(悟法傳衣)
  • 오법전의 41
메뉴닫기 메뉴열기

오법전의 41


善知識아 不悟면 卽佛이 是衆生이오 一念悟時옌 衆生이 是佛이니 故知호리라 萬法이 盡在自心니 何不從自心中야 頓見眞如本性고

육조법보단경언해 상:69ㄴ

菩薩戒經에 云샤 我本元自性이 淸淨니 若識自心면 見性이라 皆成佛道ㅣ라 시며 淨名經에 云샤 卽時예 豁然면 還得本心이라 시니

善知識아 아디 몯면 주001)
몯면:
못하면.
부톄 주002)
부톄:
부처가. 부텨[佛]+ㅣ(주격조사).
衆生 주003)
중생(衆生):
부처의 구제의 대상이 되는 이 세상의 모든 생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곧, 제유(諸有).
이오 주004)
-이오:
-이고.
一念 아론 주005)
아론:
깨달은. 깨친. 알-[悟]+오+ㄴ.
주006)
:
때에는. [時]+의(처소부사격조사)+ㄴ.
衆生이 이 부톄니 그럴 아로리라. 萬法 주007)
만법(萬法):
정신적·물질적인 일체의 것. 제법(諸法).
이 다 주008)
제:
자기의. 제. 저[自]+ㅣ(관형격조사).
애 잇니 엇뎨 제  주009)
:
마음의.

육조법보단경언해 상:70ㄱ

을 브터 주010)
-을 브터:
-으로부터.
眞如 本性을 모로기 주011)
모로기:
문득. 모로기[頓].
보디 몯뇨 주012)
몯뇨:
못하는가. 몯-[不]++뇨(‘라체’의 설명의문형어미).
菩薩戒經 주013)
보살계경(菩薩戒經):
보살로서 마땅히 배워야 할 내용을 밝힌 경전. 「범망경(梵網經)」이라고도 한다. 상권(上卷)에는 보살의 심지(心地)에 대해, 하권(下卷)에는 대승(大乘)의 계율(戒律)에 대해 설하였다.
에 니샤 내 本元 自性이 淸淨니 다가 내 을 알면 見性이라 주014)
-이라:
-이라. -이어서. ‘-라’는 연결어미.
다 佛道 일우리라 주015)
일우리라:
이루리라. 이룰 것이다. 일-[成]+우(사동접미사)+리+라.
시며 淨名經 주016)
정명경(淨名經):
유마거사(維摩居士)와 문수보살이 대승(大乘)의 깊은 뜻에 대해 문답한 내용을 기록한 대승불교(大乘佛敎) 초기의 경전. 유마경(維摩經)이라고도 한다.
에 니샤 卽時예 豁然면 도혀 주017)
도혀:
도리어. 도혀-[還]+어.
本心을 得리라 시니

선지식아, 깨닫지 못하면 곧 부처가 이 중생(衆生)이고, 한 생각 깨달은 때에는 중생이 이 부처이니, 그러므로 알 것이다. 만법(萬法)이 다 제 마음에 있느니 어찌 제 마음의 가운데로부터 참되고 한결 같은 본성품[眞如本性]을 문득 보지 못하는가? 「보살계경(菩薩戒經)」에 이르시되, ‘나의 본원(本元) 자성(自性)이 청정(淸淨)하니, 만약 내 마음을 알면 견성(見性)이어서 다 불도(佛道)를 이룰 것이다.’(라고) 하시며, 「정명경(淨名經)」에 이르시되, ‘즉시에 환히 깨치면[豁然] 도리어 본심(本心)을 얻을 것이다.’(라고) 하셨다.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몯면:못하면.
주002)
부톄:부처가. 부텨[佛]+ㅣ(주격조사).
주003)
중생(衆生):부처의 구제의 대상이 되는 이 세상의 모든 생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곧, 제유(諸有).
주004)
-이오:-이고.
주005)
아론:깨달은. 깨친. 알-[悟]+오+ㄴ.
주006)
:때에는. [時]+의(처소부사격조사)+ㄴ.
주007)
만법(萬法):정신적·물질적인 일체의 것. 제법(諸法).
주008)
제:자기의. 제. 저[自]+ㅣ(관형격조사).
주009)
:마음의.
주010)
-을 브터:-으로부터.
주011)
모로기:문득. 모로기[頓].
주012)
몯뇨:못하는가. 몯-[不]++뇨(‘라체’의 설명의문형어미).
주013)
보살계경(菩薩戒經):보살로서 마땅히 배워야 할 내용을 밝힌 경전. 「범망경(梵網經)」이라고도 한다. 상권(上卷)에는 보살의 심지(心地)에 대해, 하권(下卷)에는 대승(大乘)의 계율(戒律)에 대해 설하였다.
주014)
-이라:-이라. -이어서. ‘-라’는 연결어미.
주015)
일우리라:이루리라. 이룰 것이다. 일-[成]+우(사동접미사)+리+라.
주016)
정명경(淨名經):유마거사(維摩居士)와 문수보살이 대승(大乘)의 깊은 뜻에 대해 문답한 내용을 기록한 대승불교(大乘佛敎) 초기의 경전. 유마경(維摩經)이라고도 한다.
주017)
도혀:도리어. 도혀-[還]+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