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상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상권
  • 제1 오법전의(悟法傳衣)
  • 오법전의 14
메뉴닫기 메뉴열기

오법전의 14


時有江州別駕ㅣ 姓은 張이오 名은 日用이러니 便高聲으로 讀대 能이 聞已고 因自言호 亦有一偈호니 望別駕ㅣ 爲書라 別駕ㅣ 言호 獦獠여 汝亦作偈ㄴ댄 其事ㅣ 希有다 能이 啓別駕言호 欲學無上菩提ㄴ댄 不得輕於初學이니라 下下人도 有上上智며 上上人도 有沒意智

육조법보단경언해 상:24ㄴ

니 若輕人면 卽有無量無邊罪리라 別駕ㅣ 言호 汝ㅣ 但誦偈라 吾ㅣ 爲汝야 書호리라 汝ㅣ 若得法이어든 先須度吾라 勿忘此言라 能이 偈曰호 菩提ㅣ 本無樹며 明鏡도 亦非臺니라 本來無一物커니 何處에 惹塵埃리오 〇【此依黃梅山祖偈正作惹字或作有非】

그 주001)
그:
그때에.
江州ㅣ 주002)
강주(江州)ㅣ:
강주(江州)의. ‘ㅣ’는 관형격조사.
別駕ㅣ 이쇼 주003)
이쇼:
있었는데. 이시-[有]+오.
姓은 張이오 일후믄 日用이러니

육조법보단경언해 상:25ㄱ

노 주004)
노:
높은.
소리로 닐근대 주005)
닐근대:
읽으므로. 읽으니. 닑-[讀]+은.
能이 듣고 因야 닐오   偈 뒷노니 주006)
뒷노니:
두고 있느니. 두었느니. 두-[置]+잇-[有]++오+니.
란 別駕ㅣ 爲야 스고라 주007)
스고라:
써 주시오. 스-[書]+고라(청원의 뜻을 가진 명령형어미).
別駕ㅣ 닐오 獦獠여 주008)
네:
네가. 너[汝]+ㅣ(주격조사).
 偈 지린댄 주009)
지린댄:
지으면. 지을 것이면. -[作]+으리+ㄴ댄.
이리 주010)
이리:
일이. 일[事]+이.
希有 주011)
희유(希有):
아주 드문 일. 그와 같은 예가 없는 일.
다 能이 別駕려 닐오 無上菩提 주012)
무상보리(無上菩提):
온갖 번뇌를 끊어 없애고 최상의 원만한 깨달음을 이룬 것.
호고져 주013)
호고져:
배우고자. 호-[學]+고져(원망의 의미를 가진 연결어미).
홀딘댄 주014)
홀딘댄:
할진대. 할 것이면.
初學 주015)
초학(初學):
처음 배우는 이.
가야이 주016)
가야이:
가볍게. 가-[輕]+이(부사파생접미사).
너기디 주017)
너기디:
여기지.
말라 下下人 주018)
하하인(下下人):
가장 낮은 사람.
上上智 주019)
상상지(上上智):
가장 높은 지혜.

육조법보단경언해 상:25ㄴ

이시며 주020)
이시며:
있으며.
上上人 주021)
상상인(上上人):
가장 높은 사람.
주022)
:
뜻.
업슨 주023)
업슨:
없는. 없-[沒]+은.
智 잇니 다가 사을 가야이 너기면 곧 無量無邊 주024)
무량무변(無量無邊):
헤아릴 수 없이 많고 끝이 없음.
이시리라 주025)
이시리라:
있으리라. 있을 것이다. 이시-[有]+리+라.
別駕ㅣ 닐오 네 오직 偈 외오라 주026)
내:
내가.
주027)
너:
너를.
爲야 수리라 주028)
수리라:
쓸 것이다. 쓰리라. 스-[書]+우+리+라.
네 다가 法을 得야 주029)
득(得)야:
얻거든. 득(得)-+야.
몬져 주030)
몬져:
먼저.
모 주031)
모:
반드시.
나 濟度 주032)
제도(濟度):
중생을 고해(苦海)에서 건져내어 생사의 고통이 없는 열반의 저 언덕으로 이끌어 주는 일을 이른다.
라 주033)
-라:
-하여라.
이 말 닛디 주034)
닛디:
잊지. 닛-[忘]+디.
말라 주035)
말라:
말아라. 마라.
能이 偈 닐오 菩提 주036)
보리(菩提):
세속적인 번뇌를 끊고 얻는 깨달음의 경지.
本來 주037)
본래(本來):
본디.
남기 주038)
남기:
나무가. [樹]+이(주격조사).
업스며 주039)
업스며:
없으며.
 주040)
:
밝은. -[明]+.

육조법보단경언해 상:26ㄱ

우루
주041)
거우루:
거울[鏡].
도  臺 아니니라 주042)
아니니라:
아니니라. 아닌 것이다.
本來 주043)
:
한. 하나의.
주044)
것:
것. 물건.
업거니 주045)
업거니:
없거니. 없으니.
어느 고대 주046)
고대:
곳에. 곧[處]+애.
드트리 주047)
드트리:
티끌이. 드틀[塵]+이(주격조사).
무드리오 주048)
무드리오:
묻으리오. 일어나리오. 묻-[惹]+으리+고(의문형어미). ‘-오’는 ‘-으리-’ 다음에서 /ㄱ/ 약화 표기.

그때에 강주(江州)의 별가(別駕) (벼슬을 하는 이)가 (와) 있었는데, 성(姓)은 장(張)이고, 이름은 일용(日用)이었다. 곧, 높은 소리로 읽으므로 내가 듣고 인하여 이르되, “또 (내가) 한 게송을 두고 있느니, 바라건대 별가(別駕)께서는 (나를) 위하여 써 주십시오.” 별가가 이르되, “오랑캐여, 네가 또 게송을 지으면 그 일이 희유(希有)한 것이다.” 내가 별가더러 이르되, “무상보리(無上菩提)를 배우고자 할진대 초학(初學)을 가볍게 여기지 마시오, 하하인(下下人)에게도 상상지(上上智)가 있고, 상상인(上上人)에게도 뜻이 없는 지혜가 있는 것이오. 만약 사람을 가벼이 여기면 곧 무량무변(無量無邊)의 죄가 있을 것이오.” 별가가 이르되, “네가 오직 게송을 외워라. 내가 너를 위하여 쓸 것이다. 네가 만일 법(法)을 얻거든 먼저 반드시 나를 제도(濟度)하여라. 이 말을 잊지 말아라.” 내가 게송을 일렀다. “보리(菩提)가 본래(本來) 나무가 없으며, / 밝은 거울도 또 대(臺)가 아니니라. / 본래 한 것(물건)도 없거니 / 어느 곳에 티끌이 묻으리오(일어나리오).”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5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그:그때에.
주002)
강주(江州)ㅣ:강주(江州)의. ‘ㅣ’는 관형격조사.
주003)
이쇼:있었는데. 이시-[有]+오.
주004)
노:높은.
주005)
닐근대:읽으므로. 읽으니. 닑-[讀]+은.
주006)
뒷노니:두고 있느니. 두었느니. 두-[置]+잇-[有]++오+니.
주007)
스고라:써 주시오. 스-[書]+고라(청원의 뜻을 가진 명령형어미).
주008)
네:네가. 너[汝]+ㅣ(주격조사).
주009)
지린댄:지으면. 지을 것이면. -[作]+으리+ㄴ댄.
주010)
이리:일이. 일[事]+이.
주011)
희유(希有):아주 드문 일. 그와 같은 예가 없는 일.
주012)
무상보리(無上菩提):온갖 번뇌를 끊어 없애고 최상의 원만한 깨달음을 이룬 것.
주013)
호고져:배우고자. 호-[學]+고져(원망의 의미를 가진 연결어미).
주014)
홀딘댄:할진대. 할 것이면.
주015)
초학(初學):처음 배우는 이.
주016)
가야이:가볍게. 가-[輕]+이(부사파생접미사).
주017)
너기디:여기지.
주018)
하하인(下下人):가장 낮은 사람.
주019)
상상지(上上智):가장 높은 지혜.
주020)
이시며:있으며.
주021)
상상인(上上人):가장 높은 사람.
주022)
:뜻.
주023)
업슨:없는. 없-[沒]+은.
주024)
무량무변(無量無邊):헤아릴 수 없이 많고 끝이 없음.
주025)
이시리라:있으리라. 있을 것이다. 이시-[有]+리+라.
주026)
내:내가.
주027)
너:너를.
주028)
수리라:쓸 것이다. 쓰리라. 스-[書]+우+리+라.
주029)
득(得)야:얻거든. 득(得)-+야.
주030)
몬져:먼저.
주031)
모:반드시.
주032)
제도(濟度):중생을 고해(苦海)에서 건져내어 생사의 고통이 없는 열반의 저 언덕으로 이끌어 주는 일을 이른다.
주033)
-라:-하여라.
주034)
닛디:잊지. 닛-[忘]+디.
주035)
말라:말아라. 마라.
주036)
보리(菩提):세속적인 번뇌를 끊고 얻는 깨달음의 경지.
주037)
본래(本來):본디.
주038)
남기:나무가. [樹]+이(주격조사).
주039)
업스며:없으며.
주040)
:밝은. -[明]+.
주041)
거우루:거울[鏡].
주042)
아니니라:아니니라. 아닌 것이다.
주043)
:한. 하나의.
주044)
것:것. 물건.
주045)
업거니:없거니. 없으니.
주046)
고대:곳에. 곧[處]+애.
주047)
드트리:티끌이. 드틀[塵]+이(주격조사).
주048)
무드리오:묻으리오. 일어나리오. 묻-[惹]+으리+고(의문형어미). ‘-오’는 ‘-으리-’ 다음에서 /ㄱ/ 약화 표기.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