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상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상권
  • 제1 오법전의(悟法傳衣)
  • 오법전의 36
메뉴닫기 메뉴열기

오법전의 36


善知識아 凡夫ㅣ 卽佛이오 煩惱ㅣ 卽菩提니 前念迷.卽凡夫ㅣ오 後念悟 卽佛이며 前念著境이 卽煩惱ㅣ오 後念離境이 卽菩提니라善知識아 摩訶般若波羅蜜은 最尊며 最上며 最第一이라 無住며 無往며 亦無來야 三世諸佛이 皆從中出야 當用大智慧야 打破五蘊煩惱

육조법보단경언해 상:59ㄴ

塵勞니 如此修行면 定成佛道야 變三毒야 爲戒定慧리라

善知識아 凡夫ㅣ 곧 부톄오 주001)
부톄오:
부처이고. 부텨[佛]+ㅣ+고. ‘-오’는 서술격조사 다음에서 /ㄱ/ 약화 표기.
煩惱 주002)
번뇌(煩惱):
욕망, 노여움, 어리석음 등 마음이나 몸을 괴롭히는 모든 망념(妄念).
ㅣ 곧 菩提 주003)
보리(菩提):
세속적인 번뇌를 끊고 깨달음의 경지(境地)를 얻는 것.
니 前念을 迷면 곧 凡夫ㅣ오 後念을 알면 주004)
알면:
깨달으면. 알-[悟]+면.
곧 부톄며 前念이 境에 着호미 곧 煩惱ㅣ오 後念이 境 여희요미 주005)
여희요미:
여읨이. 떠남이. 벗어남이.
곧 菩提니라 善知識

육조법보단경언해 상:60ㄱ

아 摩訶般若波羅蜜은 주006)
:
가장. [最].
尊며  爲頭며 주007)
위두(爲頭)며:
위두하며. 위가 되며.
 第一이라 이숌 주008)
이숌:
있음이. 머무름이. 이시-[住]+옴.
업스며 주009)
업스며:
없으며.
주010)
감:
감이. ·가-[往]+옴(명사형어미). ‘:감’은 상성으로 성조의 변동이 수반되었다.
업스며  주011)
옴:
옴이. ·오-[來]+옴(명사형어미). 거성의 용언 어간 /ㅏ, ㅓ, ㅗ, ㅜ/ 뒤에 선어말어미 ‘-오/우-’가 결합되면 ‘-오/우-’는 나타나지 않고 성조가 상성으로 바뀐다.
업서 三世 주012)
삼세(三世):
전세(前世), 현세(現世), 내세(來世)를 이른다.
諸佛 주013)
제불(諸佛):
모든 불 · 보살.
이 다 中을 브터 주014)
-을 브터:
-으로부터.
나 大智慧 반기 주015)
:
써서. -[用]+어.
五蘊 주016)
오온(五蘊):
정신과 물질을 다섯 종류로 나눈 것. 화합하여 이루어지고 생멸·변화하는 색온(色蘊)·수온(受蘊)·상온(想蘊)·행온(行蘊)·식온(識薀) 등을 이른다.
煩惱 塵勞 주017)
진로(塵勞):
번뇌가 마음을 어지럽히고 몸을 수고롭게 한다 하여 달리 부르는 이름.
허니 주018)
허니:
허느니. 무너뜨리니. 헐-[打破]++니.
이티 주019)
이티:
이와 같이.
修行면 一定히 佛道 주020)
불도(佛道):
부처의 가르침, 또는 부처의 깨달음에 이르기까지의 가르침이나 수행.
일워 주021)
일워:
이루어. 일-[成]+우(사동접미사)+어.
三毒 주022)
삼독(三毒):
원만하고 청정한 마음을 해치고 흐리게 하는 세 가지의 번뇌. 곧, 욕망[貪], 성냄[嗔], 어리석음[癡]을 이른다.
을 變야 戒定慧 주023)
계·정·혜(戒定慧):
불교를 배워 도(道)를 깨달으려는 이가 반드시 닦아야 할 세 가지로 이를 삼학(三學)이라고 한다.

육조법보단경언해 상:60ㄴ

외리라 주024)
외리라:
되리라. 될 것이다. 외-[爲]+리+라.

선지식아, 범부(凡夫)가 곧 부처이고, 번뇌가 곧 보리(菩提)이니, 앞 생각[前念]이 미혹하면 곧 범부이고, 뒷 생각[後念]이 깨달으면 곧 부처이며, 앞 생각이 경계에 집착함이 곧 번뇌이고, 뒷 생각이 경계를 벗어남이 곧 보리(菩提)니라. 선지식아, ‘마하반야바라밀’은 가장 존귀하며, 가장 위두(爲頭)하며, 가장 으뜸이다. 머무름이 없으며, 감이 없으며, 또 옴이 없어서 삼세(三世)의 제불(諸佛)이 다 (이) 가운데로부터 나왔다. 대지혜(大智慧)를 반드시 써서 오온(五蘊), 번뇌(煩惱), 진로(塵勞)를 무너뜨리니, 이와 같이 수행(修行)하면 일정(一定)히 불도(佛道)를 이루어 삼독(三毒)을 변하게 하여 계(界)·정(定)·혜(慧)가 (곧 삼학이) 될 것이다.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부톄오:부처이고. 부텨[佛]+ㅣ+고. ‘-오’는 서술격조사 다음에서 /ㄱ/ 약화 표기.
주002)
번뇌(煩惱):욕망, 노여움, 어리석음 등 마음이나 몸을 괴롭히는 모든 망념(妄念).
주003)
보리(菩提):세속적인 번뇌를 끊고 깨달음의 경지(境地)를 얻는 것.
주004)
알면:깨달으면. 알-[悟]+면.
주005)
여희요미:여읨이. 떠남이. 벗어남이.
주006)
:가장. [最].
주007)
위두(爲頭)며:위두하며. 위가 되며.
주008)
이숌:있음이. 머무름이. 이시-[住]+옴.
주009)
업스며:없으며.
주010)
감:감이. ·가-[往]+옴(명사형어미). ‘:감’은 상성으로 성조의 변동이 수반되었다.
주011)
옴:옴이. ·오-[來]+옴(명사형어미). 거성의 용언 어간 /ㅏ, ㅓ, ㅗ, ㅜ/ 뒤에 선어말어미 ‘-오/우-’가 결합되면 ‘-오/우-’는 나타나지 않고 성조가 상성으로 바뀐다.
주012)
삼세(三世):전세(前世), 현세(現世), 내세(來世)를 이른다.
주013)
제불(諸佛):모든 불 · 보살.
주014)
-을 브터:-으로부터.
주015)
:써서. -[用]+어.
주016)
오온(五蘊):정신과 물질을 다섯 종류로 나눈 것. 화합하여 이루어지고 생멸·변화하는 색온(色蘊)·수온(受蘊)·상온(想蘊)·행온(行蘊)·식온(識薀) 등을 이른다.
주017)
진로(塵勞):번뇌가 마음을 어지럽히고 몸을 수고롭게 한다 하여 달리 부르는 이름.
주018)
허니:허느니. 무너뜨리니. 헐-[打破]++니.
주019)
이티:이와 같이.
주020)
불도(佛道):부처의 가르침, 또는 부처의 깨달음에 이르기까지의 가르침이나 수행.
주021)
일워:이루어. 일-[成]+우(사동접미사)+어.
주022)
삼독(三毒):원만하고 청정한 마음을 해치고 흐리게 하는 세 가지의 번뇌. 곧, 욕망[貪], 성냄[嗔], 어리석음[癡]을 이른다.
주023)
계·정·혜(戒定慧):불교를 배워 도(道)를 깨달으려는 이가 반드시 닦아야 할 세 가지로 이를 삼학(三學)이라고 한다.
주024)
외리라:되리라. 될 것이다. 외-[爲]+리+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