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상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상권
  • 제1 오법전의(悟法傳衣)
  • 오법전의 19
메뉴닫기 메뉴열기

오법전의 19


能이 辭違祖已고 發足南行야 兩月中間애 至大庾嶺니 逐後야 數百人이 來야 欲奪衣鉢더니 一僧이 俗姓은 陳이오 名은 惠明이오 先

육조법보단경언해 상:34ㄴ

是四品將軍이러니 性行이 麤慥야 極意參尋야 爲衆人先야 趁及於能커 能이 擲下衣鉢於石上코 云호 此衣 表信니 可力爭耶아 〇【五祖ㅣ 歸샤 數日을 不上堂커시 衆疑야 詣問曰호 和尙은 少病少惱否ㅣ가 曰샤 病則無ㅣ어니와 衣法은 已南矣어다 問호 誰人의게 傳授ㅣ가 曰能者ㅣ 得之니라 衆乃知焉니라】

能이 주001)
조(祖):
조사(祖師)를.
여희고 주002)
여희고:
여의고. 떠나서. 여희-[離]++고.
주003)
발:
발을.
드듸여 주004)
드듸여:
디디어. 내디뎌. 드듸-[發]+여.
南으로 주005)
녀:
가. 가서. 녀-[行]+어.
두  예 주006)
예:
사이에. [間]+예.
大庾嶺에 가니 주007)
가니:
가니. 이르니.

육조법보단경언해 상:35ㄱ

뒤헤 주008)
뒤헤:
뒤에. 뒤ㅎ[後]+에.
차 주009)
차:
쫓아. -[逐]+아.
數百人이 주010)
와:
와서. 오-[來]+아.
衣鉢 아려 주011)
아려:
빼앗으려. -[奪]+오+려.
터니 주012)
터니:
하더니. ‘터니’는 ‘더니’의 축약형.
 이 俗姓은 陳이오 일후믄 惠明이오 일록 주013)
일록:
이로부터. 이보다. 이[是]+록(보조사). 한 음절의 모음으로 된 대명사 ‘나, 너, 누, 이, 뎌’ 등에 조사 ‘로/록’이 통합되면 체언과의 사이에 /ㄹ/ 첨가가 일어난다.
몬져 주014)
몬져:
먼저.
四品將軍이러니 性行 주015)
성행(性行):
성품과 행실.
멀터워 주016)
멀터워:
거칠어. 멀-[麤]+어.
들 주017)
들:
뜻을.
야 주018)
야:
다하여. 마음대로 하여. -[極]+야.
자 주019)
자:
찾아. 찾아서. -[尋]+아.
모 주020)
모:
모든.
사 주021)
사:
사람의. 사[衆人]+(관형격조사).
몬졔 주022)
몬졔:
먼저가(명사적 용법으로 쓰임). 몬져[先]+이(보격조사).
외야 주023)
외야:
되어. 외-[爲]+야.
能을 차 미처 주024)
미처:
미치거늘. 다다르거늘. 미치니. 및-[及]+어.
能이 衣鉢을 돌 우희 주025)
우희:
위에. 우ㅎ[上]+의(처소부사격조사).
더디고 주026)
더디고:
던지고. 더디-[擲]+고.
닐오 이 오 주027)
오:
옷은. 옷[衣]+.
信을 주028)
신(信)을:
믿음을.
表니 주029)
표(表)니:
표시(表示)하니.
어루 주030)
어루:
가히.
히므로 주031)
히므로:
힘으로. 힘[力]+으로.
토려 주032)
토려:
다툴 것인가. 다투려 하는가. 토-[爭]+려(‘라체’의 의문형어미).
【五祖

육조법보단경언해 상:35ㄴ

도라오샤 주033)
도라오샤:
돌아오시어. 돌-[廻]+아+오-[來]+샤+아. / 도라오-[歸].
두 주034)
두:
두어. 두[數].
나 주035)
나:
날을. 날[日]+.
上堂 주036)
상당(上堂):
설법하기 위해 절의 주지가 법당(法堂)에 올라감을 이르는 말.
아니커시 주037)
아니커시:
아니하시거늘. 아니하시니.
衆이 疑心야 나가 주038)
나가:
나아가. -[進]+아+가-[出]+아. / 나가-[詣].
묻오 주039)
묻오:
묻되. 여쭙되. 묻-[問]++오.
和尙 주040)
화상(和尙):
덕이 높은 승려를 이르는 말.
은 病 져그시며 주041)
져그시며:
적으시며. 젹-[少]+으시+며.
져그시니가 주042)
져그시니가:
적으십니까. 적으신 것입니까. 젹-[少]+으시+니++ㅅ+가. ‘-니가’는 ‘쇼셔체’의 판정의문형어미.
아니가 주043)
아니가:
아닙니까. 아니-[否]++ㅅ+가.
니샤 病은 곧 업거니와 주044)
업거니와:
없거니와. 없-[無]+거니와.
옷과 法과 마 南의 니거다 주045)
니거다:
갔다. 니-[行]+거+다.
묻오 뉘게 주046)
뉘게:
누구에게. 뉘[誰]+게.
傳야 주047)
전(傳)야:
전하여.
심기시니가 주048)
심기시니가:
받게 하셨습니까. 전하셨습니까. 심기-[受]+시+니가.
니샤 能*이 得니라 주049)
-니라:
-한, 것이다. -하니라.
衆이 다 아니라 주050)
아니라:
아니라. 알았다. 알-[知]+니라.

내가 조사를 여의고 발을 내디뎌 남으로 가 두 달 사이에 대유령(大庾嶺)에 이르니 뒤에 수백인(數百人)이 쫓아 와서 의발(衣鉢)을 빼앗으려고 하였다. (무리 속에) 한 중이 (있었는데) 속가(俗家)의 성(姓)은 진(陳)이고, 이름을 혜명(惠明)이었다. 이보다 먼저[출가 전에] 사품(四品) 장군이었는데, 성행(性行)이 거칠어 뜻을 다하여 찾아서 모든 사람보다 먼저가 되어 나를 쫓아 다다랐다. 내가 의발(衣鉢)을 돌 위에 던지고 말했다. “이 옷은 신(信)을 표(表)하니 가히 힘으로 다툴 것인가?”【오조께서 돌아오시어 두어 날을 상당(上堂) 아니하시거늘 대중(大衆)들이 의심해서 나아가 여쭈었다. “화상(和尙)께서는 병(病)이 적으시며 뇌(惱)가 적으십니까? 아닙니까?” 이르시되, “병(病)은 곧 없거니와 옷[衣]과 법(法)은 이미 남으로 갔다.” 여쭙되, “누구에게 전(傳)하여 받게 하셨습니까?” 답하시되. “혜능(惠能)* 주051)
*
원문에 의하면 ‘혜능(惠能)’이 아니고 ‘능력있는 이’의 의미로 쓰였을 가능성이 높다.
이 득(得)하니라.”(라고 하셨다.) 대중(大衆)이 다 알았다.】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조(祖):조사(祖師)를.
주002)
여희고:여의고. 떠나서. 여희-[離]++고.
주003)
발:발을.
주004)
드듸여:디디어. 내디뎌. 드듸-[發]+여.
주005)
녀:가. 가서. 녀-[行]+어.
주006)
예:사이에. [間]+예.
주007)
가니:가니. 이르니.
주008)
뒤헤:뒤에. 뒤ㅎ[後]+에.
주009)
차:쫓아. -[逐]+아.
주010)
와:와서. 오-[來]+아.
주011)
아려:빼앗으려. -[奪]+오+려.
주012)
터니:하더니. ‘터니’는 ‘더니’의 축약형.
주013)
일록:이로부터. 이보다. 이[是]+록(보조사). 한 음절의 모음으로 된 대명사 ‘나, 너, 누, 이, 뎌’ 등에 조사 ‘로/록’이 통합되면 체언과의 사이에 /ㄹ/ 첨가가 일어난다.
주014)
몬져:먼저.
주015)
성행(性行):성품과 행실.
주016)
멀터워:거칠어. 멀-[麤]+어.
주017)
들:뜻을.
주018)
야:다하여. 마음대로 하여. -[極]+야.
주019)
자:찾아. 찾아서. -[尋]+아.
주020)
모:모든.
주021)
사:사람의. 사[衆人]+(관형격조사).
주022)
몬졔:먼저가(명사적 용법으로 쓰임). 몬져[先]+이(보격조사).
주023)
외야:되어. 외-[爲]+야.
주024)
미처:미치거늘. 다다르거늘. 미치니. 및-[及]+어.
주025)
우희:위에. 우ㅎ[上]+의(처소부사격조사).
주026)
더디고:던지고. 더디-[擲]+고.
주027)
오:옷은. 옷[衣]+.
주028)
신(信)을:믿음을.
주029)
표(表)니:표시(表示)하니.
주030)
어루:가히.
주031)
히므로:힘으로. 힘[力]+으로.
주032)
토려:다툴 것인가. 다투려 하는가. 토-[爭]+려(‘라체’의 의문형어미).
주033)
도라오샤:돌아오시어. 돌-[廻]+아+오-[來]+샤+아. / 도라오-[歸].
주034)
두:두어. 두[數].
주035)
나:날을. 날[日]+.
주036)
상당(上堂):설법하기 위해 절의 주지가 법당(法堂)에 올라감을 이르는 말.
주037)
아니커시:아니하시거늘. 아니하시니.
주038)
나가:나아가. -[進]+아+가-[出]+아. / 나가-[詣].
주039)
묻오:묻되. 여쭙되. 묻-[問]++오.
주040)
화상(和尙):덕이 높은 승려를 이르는 말.
주041)
져그시며:적으시며. 젹-[少]+으시+며.
주042)
져그시니가:적으십니까. 적으신 것입니까. 젹-[少]+으시+니++ㅅ+가. ‘-니가’는 ‘쇼셔체’의 판정의문형어미.
주043)
아니가:아닙니까. 아니-[否]++ㅅ+가.
주044)
업거니와:없거니와. 없-[無]+거니와.
주045)
니거다:갔다. 니-[行]+거+다.
주046)
뉘게:누구에게. 뉘[誰]+게.
주047)
전(傳)야:전하여.
주048)
심기시니가:받게 하셨습니까. 전하셨습니까. 심기-[受]+시+니가.
주049)
-니라:-한, 것이다. -하니라.
주050)
아니라:아니라. 알았다. 알-[知]+니라.
주051)
*원문에 의하면 ‘혜능(惠能)’이 아니고 ‘능력있는 이’의 의미로 쓰였을 가능성이 높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