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상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상권
  • 제1 오법전의(悟法傳衣)
  • 오법전의 3
메뉴닫기 메뉴열기

오법전의 3


大師ㅣ 常勸僧俗샤 但持金剛經면 卽自見性야 直了成佛이라 시더라  能이 聞說고 宿昔有緣야 乃蒙一客이 取銀十兩야 與能야 令充老母衣糧고 敎便往黃梅야 禮拜五祖야 能이 安置母畢고 卽便辭親고 不經三十

육조법보단경언해 상:5ㄴ

餘日야 便至黃梅야 禮拜五祖호니 問能曰샤 汝 何方人이 欲求何物아 能이 對曰호 弟子 是嶺南新州百姓이라니 遠來禮師 惟求作佛이오 不求餘物노다

大師ㅣ 녜 僧과 俗 勸샤 오직 金剛經을 디니면 주001)
디니면:
지니면. 디니-[持]+면.
주002)
제:
제. 자기의.
주003)
성(性):
나면서부터 가진 본연의 성품. 기성(機性).
을 보아 바 주004)
바:
바로.
成佛 주005)
성불(成佛):
모든 번뇌에서 해탈하여 불과(佛果)를 이룸. 곧, 부처가 됨을 이른다.
호 주006)
-호:
-함을.
알리라 시더라  주007)
:
하므로. -+ㄹ(‘이유’ 등을 나타내는 연결어미).
能이 듣고 주008)
녯:
옛[昔].
緣이 이

육조법보단경언해 상:6ㄱ

셔  客이 銀 十兩 주009)
냥(兩):
무게의 단위. 한 냥은 열 돈이다.
을 가져다가 能 주어 주010)
주어:
주어. 주-[與]+어.
늘근 주011)
늘근:
늙은. 늙-[老]+은.
어믜 주012)
어믜:
어미의. 어머니의. 어미[母]+의(관형격조사). 중세국어시기에는 ‘이’로 끝나는 명사가 관형격조사 ‘/의’와 결합되면 ‘이’가 탈락 되었다.
옷밥 오고 주013)
오고:
채우고. 충당하게 하고. -[充]+ㅣ(사동접미사)+우(사동접미사)+고(연결어미).
黃梅 주014)
황매(黃梅):
중국 호북성(湖北城)의 황매현(黃梅縣)을 이른다.
예 가 五祖 저와 주015)
저와:
절하여. 저[禮拜]+아.
쵸 주016)
쵸:
가르침을. 치-[敎]+옴+.
니버 주017)
니버:
입어. 닙-[蒙]+어.
能이 어미 편안히 잇게 호 고 주018)
고(고):
마치고. -[畢]+고.
어버 주019)
어버:
어버이.
여희오 주020)
여희오:
여의고. 이별하고. 여희-[辭]+고.
三十日 디내디 주021)
디내디:
지내지.
아니야 곧 黃梅예 가 五祖 저오니 能려 무르샤 너 어느 方 사미 므스거슬 주022)
므스거슬:
무엇을. 므스것[何物]+을.
求호려 주023)
구(求)호려:
구하려. 구-+오+려.


육조법보단경언해 상:6ㄴ

주024)
다:
하느냐. -++ㄴ+다. ‘-ㄴ다’는 ‘라체’의 2인칭 의문형어미.
能이 對答호 弟子 嶺南 新州ㅅ 百姓이라니 주025)
-이라니:
-이더니. -이-+더+오+니. ‘-라-’는 서술격조사 다음에서 실현된 ‘-다-’의 변이형.
머리 주026)
머리:
멀리[遠].
와 師 저오 주027)
저오:
절함은. 절하는 것은. 저-[禮拜]+옴+.
오직 부텨 외요 주028)
외요:
됨을. 되는 것을. 외-[作]+옴+.
求고 녀느 주029)
녀느:
여느. 다른. 녀느[他].
求티 주030)
구(求)티:
구하지. 구-+디.
아니노다 주031)
아니노다:
아니합니다. 아니하나이다. 아니-++오++다.

“대사께서 언제나 승(僧)과 속(俗)에게 권하시되, ‘오직 금강경을 지니면 곧 제 성(性)을 보아 바로 성불함을 알 것이다.’(라고) 하시었다.” 하므로, 내가 듣고 (나니) 옛적 인연이 있었는지 한 손님이 은(銀) 열 냥을 가져다가 나에게 주었다. (그 돈으로) 늙은 어머니의 옷과 밥을 채우고, 곧 황매(黃梅)에 가서 오조(五祖)를 (찾아) 절하게 다 가르침을 입었다. 내가 어머니를 편안히 계시게 함을 마치고, 곧 어버이를 여의고 삼십일을 지내지 아니하여 드디어 황매(黃梅)에 가서 오조를 (찾아) 절하니 나에게 물으셨다. “너는 어느 곳 사람이며, 무엇을 구하려고 하느냐?”, 내가 대답하되, “제자(弟子)는 영남(嶺南) 신주(新州)의 백성인데 멀리에 와서 스승께 절하는 것은 오직 부처가 되는 것을 구하고(자 할 뿐) 다른 것은 구하지 아니합니다.”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디니면:지니면. 디니-[持]+면.
주002)
제:제. 자기의.
주003)
성(性):나면서부터 가진 본연의 성품. 기성(機性).
주004)
바:바로.
주005)
성불(成佛):모든 번뇌에서 해탈하여 불과(佛果)를 이룸. 곧, 부처가 됨을 이른다.
주006)
-호:-함을.
주007)
:하므로. -+ㄹ(‘이유’ 등을 나타내는 연결어미).
주008)
녯:옛[昔].
주009)
냥(兩):무게의 단위. 한 냥은 열 돈이다.
주010)
주어:주어. 주-[與]+어.
주011)
늘근:늙은. 늙-[老]+은.
주012)
어믜:어미의. 어머니의. 어미[母]+의(관형격조사). 중세국어시기에는 ‘이’로 끝나는 명사가 관형격조사 ‘/의’와 결합되면 ‘이’가 탈락 되었다.
주013)
오고:채우고. 충당하게 하고. -[充]+ㅣ(사동접미사)+우(사동접미사)+고(연결어미).
주014)
황매(黃梅):중국 호북성(湖北城)의 황매현(黃梅縣)을 이른다.
주015)
저와:절하여. 저[禮拜]+아.
주016)
쵸:가르침을. 치-[敎]+옴+.
주017)
니버:입어. 닙-[蒙]+어.
주018)
고(고):마치고. -[畢]+고.
주019)
어버:어버이.
주020)
여희오:여의고. 이별하고. 여희-[辭]+고.
주021)
디내디:지내지.
주022)
므스거슬:무엇을. 므스것[何物]+을.
주023)
구(求)호려:구하려. 구-+오+려.
주024)
다:하느냐. -++ㄴ+다. ‘-ㄴ다’는 ‘라체’의 2인칭 의문형어미.
주025)
-이라니:-이더니. -이-+더+오+니. ‘-라-’는 서술격조사 다음에서 실현된 ‘-다-’의 변이형.
주026)
머리:멀리[遠].
주027)
저오:절함은. 절하는 것은. 저-[禮拜]+옴+.
주028)
외요:됨을. 되는 것을. 외-[作]+옴+.
주029)
녀느:여느. 다른. 녀느[他].
주030)
구(求)티:구하지. 구-+디.
주031)
아니노다:아니합니다. 아니하나이다. 아니-++오++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