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상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상권
  • 제1 오법전의(悟法傳衣)
  • 오법전의 42
메뉴닫기 메뉴열기

오법전의 42


육조법보단경언해 상:70ㄴ

善知識아 我於忍和尙處에 一聞고 言下애 便悟야 頓見眞如本性호니 是以로 將此敎法流行야 令學道者로 頓悟菩提야 各自觀心야 自見本性케노니 若自不悟ㅣ어든 須覓大善知識이 解最上乘法者ㅣ 眞示正路ㅣ니라 是善知識이 有大因緣니 所謂化導야 令得見性이니라 一切善法이 因善知識야 能發起故ㅣ라 三世諸佛와 十二部經이 在人性中야 本

육조법보단경언해 상:71ㄱ

自具有호 不能自悟ㅣ어든 須求善知識이 指示야 方見이리라 若自悟者 不假外求ㅣ니

善知識아 주001)
내:
내가.
忍和尙 주002)
인화상(忍和尙):
선종의 오조(五祖) 홍인(弘忍) 대사를 이른다.
주003)
-:
-께.
번 듣고 言下애 곧 아라 眞如 本性을 모로기 주004)
모로기:
문득. 단박에.
보니 일로 주005)
일로:
이로. 이[是]+로. 대명사 ‘이’와 조사 ‘로’ 사이에 /ㄹ/ 첨가.
敎法 주006)
교법(敎法):
부처의 가르침.
을 가져 流行야 道 홀 주007)
홀:
배울. 호-[學]+ㄹ(관형사형어미).
사으로 菩提 모로기 아라 各各 제 을 觀야 제 本性을 보게

육조법보단경언해 상:71ㄴ

노니 다가 제 아디 몯거든 주008)
몯거든:
못하거든. 못하면.
모로매 큰 善知識이 最上乘法 아니 바 주009)
바:
바로. 바[直].
正路 뵈릴 주010)
뵈릴:
보일 이를. 보-[示]+ㅣ(사동접미사)+ㄹ+이(의존명사)+ㄹ(목적격조사).
어둘디니라 주011)
어둘디니라:
찾을지니라. 찾을 것이니라. 얻-[覓]+우+ㄹ디니라.
이 善知識이 큰 因緣이 잇니 닐온 주012)
닐온:
이른바. 니-[謂]+오+ㄴ.
敎化야 引導야 見性을 得게 니라 一切 善法 주013)
선법(善法):
이치에 맞고 자기에게 이익을 주는 선한 교법.
이 善知識을 因야 能히 니왇 주014)
니왇:
일어나는. 일으키는. 니왇-[發起]+.
젼라 주015)
젼라:
까닭이다. 젼[故]+ㅣ+라.
. 三世 주016)
삼세(三世):
과거·현재·미래.
諸佛 주017)
제불(諸佛):
모든 부처.

육조법보단경언해 상:72ㄱ

十二部經 주018)
십이부경(十二部經):
부처의 일대 교설을 그 경문(經文)의 성격과 형식으로 구분하여 열두 가지로 나눈 것.
이 사 性中에 이셔 本來 제 초 주019)
초:
갖추어. 갖추. 초[具].
이쇼 주020)
이쇼:
있되. 이시-[有]+오.
能히 제 아디 몯거든 주021)
몯거든:
못하거든. 못하면.
모로매 善知識이 쳐 주022)
쳐:
가리켜. 치-[指]+어.
뵈요 주023)
뵈요:
보임을. 보-[見]+ㅣ+욤+.
求야 주024)
-:
-야(강세, 또는 단독의 보조사).
반기 보리라 주025)
보리라:
보리라. 볼 것이다.
다가 제 안 사은 밧그로 주026)
밧그로:
밖으로. [外]+으로.
求호 假借 주027)
가차(假借):
임시로 빌림.
티 아니니

선지식아, 내가 인화상(忍和尙)께 한번 듣고 언하(言下)에 곧 깨달아 진여본성(眞如本性)을 문득 보았다. 이로 이 교법(敎法)을 가지고 널리 펴서 도(道) 배울 사람으로 (하여금) 보리(菩提)를 문득 깨달아 각각 제 마음을 살펴 스스로 본성(本性)을 보게 하느니라. 만약 스스로가 깨닫지 못하면 모름지기 큰 선지식이 최상승법(最上乘法)을 아느니, 바로 바른 길 보일 이를 찾을지니라. 이 선지식이 큰 인연이 있느니, 이른바 (중생을) 교화(敎化)하고 인도(引導)하여 견성을 얻게 하느니라. 일체의 선법(善法)이 선지식으로 인해 능히 일어나는 까닭이다. 삼세(三世)의 제불(諸佛)과 십이부경(十二部經)이 사람의 성품 가운데 있어 본래 스스로 갖추어 있되, 능히 스스로 깨닫지 못하면 모름지기 선지식이 가리켜 보임을 구하여야 반드시 볼 것이다. 만약 스스로 깨달은 사람은 밖으로 구함을 가차(假借)하지 아니하느니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내:내가.
주002)
인화상(忍和尙):선종의 오조(五祖) 홍인(弘忍) 대사를 이른다.
주003)
-:-께.
주004)
모로기:문득. 단박에.
주005)
일로:이로. 이[是]+로. 대명사 ‘이’와 조사 ‘로’ 사이에 /ㄹ/ 첨가.
주006)
교법(敎法):부처의 가르침.
주007)
홀:배울. 호-[學]+ㄹ(관형사형어미).
주008)
몯거든:못하거든. 못하면.
주009)
바:바로. 바[直].
주010)
뵈릴:보일 이를. 보-[示]+ㅣ(사동접미사)+ㄹ+이(의존명사)+ㄹ(목적격조사).
주011)
어둘디니라:찾을지니라. 찾을 것이니라. 얻-[覓]+우+ㄹ디니라.
주012)
닐온:이른바. 니-[謂]+오+ㄴ.
주013)
선법(善法):이치에 맞고 자기에게 이익을 주는 선한 교법.
주014)
니왇:일어나는. 일으키는. 니왇-[發起]+.
주015)
젼라:까닭이다. 젼[故]+ㅣ+라.
주016)
삼세(三世):과거·현재·미래.
주017)
제불(諸佛):모든 부처.
주018)
십이부경(十二部經):부처의 일대 교설을 그 경문(經文)의 성격과 형식으로 구분하여 열두 가지로 나눈 것.
주019)
초:갖추어. 갖추. 초[具].
주020)
이쇼:있되. 이시-[有]+오.
주021)
몯거든:못하거든. 못하면.
주022)
쳐:가리켜. 치-[指]+어.
주023)
뵈요:보임을. 보-[見]+ㅣ+욤+.
주024)
-:-야(강세, 또는 단독의 보조사).
주025)
보리라:보리라. 볼 것이다.
주026)
밧그로:밖으로. [外]+으로.
주027)
가차(假借):임시로 빌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