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상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상권
  • 제1 오법전의(悟法傳衣)
  • 오법전의 10
메뉴닫기 메뉴열기

오법전의 10


經云샤 凡所有相은 皆是虛妄이라 시니 但留此偈야 與人으로 誦持호리니 依此偈修면 免墮惡道고 依此偈修면 有大利益이라 시고 令門人으로 炷香禮敬야 盡誦此偈면 卽得見性

육조법보단경언해 상:18ㄱ

리라 신대 門人이 誦偈고 皆歎善哉더니 祖ㅣ 三更에 喚秀入堂시고 問曰샤 偈 是汝作否아 秀言호 實是秀作이니 不敢妄求祖位니이다 望和尙이 慈悲로 看弟子 有少智慧否ㅣ가 祖ㅣ 曰샤 汝作此偈니 未見本性이로다 只到門外오 未入門內니 如此見解로 覓無上菩提ㄴ댄 了不可得이리라

주001)
경(經):
경전(經典). 부처가 설(說)한 교법과 그것을 기록한 불교 성전(聖典). 여기서는 「금강경」을 이른다.
에 니샤 믈읫 주002)
믈읫:
무릇[凡].
주003)
상(相):
외계(外界)에 나타나 마음의 상상(想像)이 되는 사물의 모양.
잇 주004)
잇:
있는.
거슨 주005)
거슨:
것은.

육조법보단경언해 상:18ㄴ

虛妄 주006)
허망(虛妄):
실제가 아니고, 진성(眞性)이 아닌 것.
이라 시니 오직 이 偈 留야 사으로 외와 주007)
외와:
외워. 외워서. 외오-[誦]+아.
디니게 주008)
디니게:
지니게. 디니-[持]+게.
호리니 주009)
호리니:
하리니. 할 것이니. -+오+리+니.
이 偈 브터 주010)
브터:
의지하여. 븥-[依]+어.
닷면 주011)
닷면:
닦으면. -[修]+면.
惡道 주012)
악도(惡道):
나쁜 일을 지은 탓으로 장차 태어날 곳. 지옥(地獄), 아귀(餓鬼), 축생(畜生) 등 고통이 많은 세계.
러듀믈 주013)
러듀믈:
떨어짐을. 떨어지는 것을. 러디-[墮]+움+을.
免고 이 偈 브터 닷면 큰 利益이 이시리라 주014)
이시리라:
있으리라. 있을 것이다. 이시-[有]+리+라.
시고 門人으로 香 퓌우고 주015)
퓌우고:
피우고. 퓌우-[炷]+고.
저와 恭敬야 이 偈 다 외오면 곧 見性 주016)
견성(見性):
모든 망혹(妄惑)을 버리고 자기 본래의 타고난 불성(佛性)을 깨닫는 것.
을 得리라 신대 주017)
신대:
하시니. 하신즉.
門人이 偈 외오고

육조법보단경언해 상:19ㄱ

다 讚嘆야 어딜셔 주018)
어딜셔:
어질구나. 어딜-[善]+ㄹ셔(감탄형어미).
더니 祖ㅣ 三更에 秀 블러 주019)
블러:
불러. 불러서. 브르-[喚]+어.
堂애 들라 주020)
들라:
들라고. 들-[入]+라(‘라체’ 명령형어미).
시고 무르샤 偈 이 네 지다 주021)
지다:
지은 것이냐. 지었느냐. -[作]+은+다. ‘-ㄴ다’는 ‘라체’의 2인칭 의문형어미.
아니다 주022)
아니다:
아니냐. 아니-+ㄴ+다. ‘-ㄴ다’는 ‘라체’의 2인칭 의문형어미.
秀ㅣ 오 實로 이 秀의 作이니 祖位 주023)
조위(祖位):
조사의 자리.
 간대로 求논디 주024)
구(求)논디:
구하는 것이. 구-++오+ㄴ(관형사형어미)++이(주격조사).
아니다 주025)
아니다:
아닙니다. 아니-++다.
라온 주026)
라온:
바라건대. 라-[望]++.
和尙이 慈悲로 弟子 죠고맛 주027)
죠고맛:
조그마한.
智慧 잇 주028)
잇:
있는 것을.
보시니가 주029)
보시니가:
보시는 것입니까. 보-[看]+시++니++ㅅ+가. ‘-ㅅ가’는 ‘쇼셔체’의 판정의문형어미.
. 아니가 주030)
아니가:
아닙니까.
祖ㅣ 니

육조법보단경언해 상:19ㄴ

샤 네 이 偈 지니 주031)
지니:
지으니. 지었으니.
本性을 보디 몯얫도다 주032)
몯얫도다:
못하였구나. 몯-+야+잇-+도+다.
오직 門 밧긔 주033)
밧긔:
밖에. [外]+의(처소부사격조사).
다고 주034)
다고:
다다랐고. 다다르고. 다-[至]+고.
안해 주035)
안해:
안에. 안ㅎ[內]+애.
드디 몯얫니 주036)
이:
이와.
 주037)
:
같은.
見解로 無上菩提 주038)
무상보리(無上菩提):
온갖 번뇌를 끊어 없애고 최상위(最上位)의 원만한 깨달음을 이루는 것.
求린댄 주039)
-린댄:
-할, 것이면. -할진댄.
간도 어루 得디 몯리라

경(經)에 이르시되, ‘무릇 상(相)이 있는 것은 다 이것이 허망(虛妄)이다.’(라고) 하셨으니, 오직 이 게송을 남겨 두어[留] 사람으로 하여금 외워서 지니게 할 것이니, 이 게송을 의지하여 닦으면 악도(惡道)에 떨어지는 것을 면하고, 이 게송을 의지해서 닦으면 큰 이익이 있을 것이다.”(라고) 하셨다. 문인(門人)들로 하여금 “(게송 앞에) 향(香)을 피우고, 절하며 공경(恭敬)하여 이 게송을 다 외우면 곧 견성(見性)을 얻을 것이다.”(라고) 하시니, 문인들이 게송을 외우고 다 찬탄하여 “어질구나.”하였다. 오조께서 삼경(三更)에 신수를 불러 당(堂)에 들라 하시고 물으셨다. “게송은 이것이 네가 지은 것이냐? 아니냐?” 신수가 사뢰었다. “실로 이것은 제가 지었으니 조사의 자리[祖位]를 함부로 구하는 것이 아닙니다. 바라건대 화상께서 자비로 제자의 조그마한 지혜 있는 것을 보시는 것입니까? 아닙니까?” 오조께서 이르시되, “네가 이 게송을 지었으니 (아직) 본성을 보지 못하였구나. 오직 문 밖에 다다르고, 문 안에 들지 못하였느니, 이와 같은 견해로 무상보리(無上菩提)를 구할 것이면 잠깐도 가히 얻지 못할 것이다.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5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경(經):경전(經典). 부처가 설(說)한 교법과 그것을 기록한 불교 성전(聖典). 여기서는 「금강경」을 이른다.
주002)
믈읫:무릇[凡].
주003)
상(相):외계(外界)에 나타나 마음의 상상(想像)이 되는 사물의 모양.
주004)
잇:있는.
주005)
거슨:것은.
주006)
허망(虛妄):실제가 아니고, 진성(眞性)이 아닌 것.
주007)
외와:외워. 외워서. 외오-[誦]+아.
주008)
디니게:지니게. 디니-[持]+게.
주009)
호리니:하리니. 할 것이니. -+오+리+니.
주010)
브터:의지하여. 븥-[依]+어.
주011)
닷면:닦으면. -[修]+면.
주012)
악도(惡道):나쁜 일을 지은 탓으로 장차 태어날 곳. 지옥(地獄), 아귀(餓鬼), 축생(畜生) 등 고통이 많은 세계.
주013)
러듀믈:떨어짐을. 떨어지는 것을. 러디-[墮]+움+을.
주014)
이시리라:있으리라. 있을 것이다. 이시-[有]+리+라.
주015)
퓌우고:피우고. 퓌우-[炷]+고.
주016)
견성(見性):모든 망혹(妄惑)을 버리고 자기 본래의 타고난 불성(佛性)을 깨닫는 것.
주017)
신대:하시니. 하신즉.
주018)
어딜셔:어질구나. 어딜-[善]+ㄹ셔(감탄형어미).
주019)
블러:불러. 불러서. 브르-[喚]+어.
주020)
들라:들라고. 들-[入]+라(‘라체’ 명령형어미).
주021)
지다:지은 것이냐. 지었느냐. -[作]+은+다. ‘-ㄴ다’는 ‘라체’의 2인칭 의문형어미.
주022)
아니다:아니냐. 아니-+ㄴ+다. ‘-ㄴ다’는 ‘라체’의 2인칭 의문형어미.
주023)
조위(祖位):조사의 자리.
주024)
구(求)논디:구하는 것이. 구-++오+ㄴ(관형사형어미)++이(주격조사).
주025)
아니다:아닙니다. 아니-++다.
주026)
라온:바라건대. 라-[望]++.
주027)
죠고맛:조그마한.
주028)
잇:있는 것을.
주029)
보시니가:보시는 것입니까. 보-[看]+시++니++ㅅ+가. ‘-ㅅ가’는 ‘쇼셔체’의 판정의문형어미.
주030)
아니가:아닙니까.
주031)
지니:지으니. 지었으니.
주032)
몯얫도다:못하였구나. 몯-+야+잇-+도+다.
주033)
밧긔:밖에. [外]+의(처소부사격조사).
주034)
다고:다다랐고. 다다르고. 다-[至]+고.
주035)
안해:안에. 안ㅎ[內]+애.
주036)
이:이와.
주037)
:같은.
주038)
무상보리(無上菩提):온갖 번뇌를 끊어 없애고 최상위(最上位)의 원만한 깨달음을 이루는 것.
주039)
-린댄:-할, 것이면. -할진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