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상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상권
  • 제1 오법전의(悟法傳衣)
  • 오법전의 39
메뉴닫기 메뉴열기

오법전의 39


善知識아 小根之人이 聞此頓敎호미 猶如草木야 根性小者ㅣ 若被大雨면 悉皆自倒야 不能增長니 小根之人도 亦復如是야 元有般若之智야 與大智人으로 更無差別호 因

육조법보단경언해 상:65ㄴ

何聞法고 不自開悟오 緣邪見障重며 煩惱根深니 猶如大雲이 覆蓋於日야 不得風吹면 日光이 不現니 般若之智도 亦無大小컨마 爲一切衆生의 自心이 迷悟不同야 迷心外見며 修行覓佛니 未悟自性이라 卽是小根이니라 若聞悟頓敎야 不敎外修고 但於自心에 常起正見야 煩惱塵勞ㅣ 常不能染이면 卽是見性이니라

육조법보단경언해 상:66ㄱ

善知識아 小根엣 주001)
소근(小根)엣:
소근(小根)의. 근기(根機)가 작은.
사미 이 頓敎 주002)
돈교(頓敎):
대승(大乘)의 깊고 묘한 교리를 듣고 처음부터 단번에 깨치는 교법.
드로미 주003)
드로미:
들음이. 듣는 것은. 듣-[聞]+옴+이.
草木 야 根性 져그니 주004)
져그니:
적은 이가. 젹-[小]+은+이(의존명사)+∅.
다가 큰비 니브면 주005)
니브면:
입으면. 맞으면. 닙-[被]+으면.
다 제 갓고로 디여 주006)
갓고로디여:
거꾸러져. 갓고로디-[倒]+어.
能히 더 라디 주007)
라디:
자라지. 라-[長]+디.
몯 주008)
몯:
못하듯. /ㄷ/ 다음에서 ‘--’ 탈락.
니 小根엣 사도  이 야 본 주009)
본:
본디.
般若智 이셔 大智ㅅ 주010)
대지(大智)ㅅ:
큰 지혜를 가진.
사과  달옴 주011)
달옴:
다름이. 다-[差]+옴.
업소 주012)
업소되:
없되.
므스글 주013)
므스글:
무엇을. 므슥[何]+을.
因야 法 듣고 제 여러 아디 주014)
아디:
깨닫지. 알-[悟]+디.
몯뇨 주015)
몯뇨:
못하느냐. 몯-[不]++뇨(‘라체’의 1·3인칭 설명의문형어미).
邪見 주016)
사견(邪見):
인과(因果)의 도리를 무시하는 옳지 못한 견해.
료미 주017)
료미:
가림이. 막음이. 리-[障]+옴+이.

육조법보단경언해 상:66ㄴ

므거우며 주018)
므거우며:
무거우며. 므-[重]+으며.
煩惱ㅅ 불휘 주019)
불휘:
뿌리가. 불휘[根]+∅.
기푸믈 주020)
기푸믈:
깊음을. 깊-[深]+움+을.
브트니 주021)
브트니:
연유(緣由)하니. 붙으니. 븥[緣]+으니.
구루미 주022)
구루미:
구름이.
 두퍼든 주023)
두퍼든:
덮거든. 덮어서. 덮으므로. 둪-[覆蓋]+어든.
 주024)
:
바람이. [風].
부루믈 주025)
부루믈:
붊을. 부는 것을. 불-[吹]+움+을.
得디 몯면 비치 주026)
비치:
햇빛이. 빛[日光]+이.
낟디 주027)
낟디:
나타나지. 낱-[現]+디.
몯니 般若智도  大小ㅣ 업건마 一切 衆生의 제 미 몰롬과 주028)
롬과:
모름과. 모-[迷]+옴+과.
아로미 주029)
아로미:
깨달음이. 깨침이. 알-[悟]+옴+이.
가지 아니라 주030)
아니라:
아니어서.
 迷야 밧고로 주031)
밧고로:
밖으로. -[外]+오로.
보며 行 닷가 주032)
닷가:
닦아. -[修]+아.
부텨 주033)
부텨:
부처를.
求니 주034)
구(求)니:
구하느니. 찾으니.
주035)
제:
자기의.
性을 아디 몯논디라 곧 이 小根이

육조법보단경언해 상:67ㄱ

니라. 다가 頓敎 여러 아라 밧그로 닷고 주036)
닷고:
닦음을. -[修]+옴+.
잡디 주037)
잡디:
잡지. 집착하지. 잡-[執]+디.
아니고 오직 제 매 正見 주038)
정견(正見):
불교의 바른 도리를 깨달은 견해(見解).
을 녜 니와다 주039)
니와다:
일으켜. 니왇-[起]+아.
煩惱 塵勞ㅣ 녜 能히 믈드디 주040)
믈드디:
물들지. 믈들-[染]+디.
몯면 곧 이 見性 주041)
견성(見性):
모든 망혹(妄惑)을 버리고 자기 본래의 타고난 불성(佛性)을 깨달아 아는 것.
이니라

선지식아, 근기(根機)가 작은 사람이 이 돈교(頓敎)를 듣는 것은 초목(草木)과 같아서, 근성(根性)이 적은 이가 만약 큰비를 맞으면 다 스스로 거꾸러져 능히 더 자라지 못하듯 하니, 근기가 작은 사람도 또 이와 같으니라. 본디 반야의 지혜가 있어서 큰 지혜를 가진 사람과 또 다름이 없되, 무엇으로 인하여 법(法)을 듣고 스스로가 열어 깨닫지 못하느냐? (이는) 사견(邪見)의 가림[障]이 무거우며, 번뇌(煩惱)의 뿌리가 깊음에 연유(緣由)하니, 큰 구름이 해를 덮어서 바람이 부는 것을 얻지 못하면 햇빛이 나타나지 못하듯 한 것이다. 반야의 지혜도 또한 대소(大小)가 없건마는 일체 중생의 제 마음이 모름과 깨달음이 한가지가 아니어서 마음이 미혹하여 밖으로 보고, 행을 닦아 부처를 구하니(찾으니) 자기의 본성(本性)을 깨닫지 못하는 것이다. 곧 이것이 근기가 작은 것[小根]이니라. 만약 돈교(頓敎)를 열어 깨달아서 밖으로 닦음을 잡지(집착하지) 아니하고, 오직 제 마음에 정견(正見)을 늘 일으켜 번뇌(煩惱), 진로(塵勞)에 언제나 능히 물들지 않으면 곧 이것이 견성(見性)이니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5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소근(小根)엣:소근(小根)의. 근기(根機)가 작은.
주002)
돈교(頓敎):대승(大乘)의 깊고 묘한 교리를 듣고 처음부터 단번에 깨치는 교법.
주003)
드로미:들음이. 듣는 것은. 듣-[聞]+옴+이.
주004)
져그니:적은 이가. 젹-[小]+은+이(의존명사)+∅.
주005)
니브면:입으면. 맞으면. 닙-[被]+으면.
주006)
갓고로디여:거꾸러져. 갓고로디-[倒]+어.
주007)
라디:자라지. 라-[長]+디.
주008)
몯:못하듯. /ㄷ/ 다음에서 ‘--’ 탈락.
주009)
본:본디.
주010)
대지(大智)ㅅ:큰 지혜를 가진.
주011)
달옴:다름이. 다-[差]+옴.
주012)
업소되:없되.
주013)
므스글:무엇을. 므슥[何]+을.
주014)
아디:깨닫지. 알-[悟]+디.
주015)
몯뇨:못하느냐. 몯-[不]++뇨(‘라체’의 1·3인칭 설명의문형어미).
주016)
사견(邪見):인과(因果)의 도리를 무시하는 옳지 못한 견해.
주017)
료미:가림이. 막음이. 리-[障]+옴+이.
주018)
므거우며:무거우며. 므-[重]+으며.
주019)
불휘:뿌리가. 불휘[根]+∅.
주020)
기푸믈:깊음을. 깊-[深]+움+을.
주021)
브트니:연유(緣由)하니. 붙으니. 븥[緣]+으니.
주022)
구루미:구름이.
주023)
두퍼든:덮거든. 덮어서. 덮으므로. 둪-[覆蓋]+어든.
주024)
:바람이. [風].
주025)
부루믈:붊을. 부는 것을. 불-[吹]+움+을.
주026)
비치:햇빛이. 빛[日光]+이.
주027)
낟디:나타나지. 낱-[現]+디.
주028)
롬과:모름과. 모-[迷]+옴+과.
주029)
아로미:깨달음이. 깨침이. 알-[悟]+옴+이.
주030)
아니라:아니어서.
주031)
밧고로:밖으로. -[外]+오로.
주032)
닷가:닦아. -[修]+아.
주033)
부텨:부처를.
주034)
구(求)니:구하느니. 찾으니.
주035)
제:자기의.
주036)
닷고:닦음을. -[修]+옴+.
주037)
잡디:잡지. 집착하지. 잡-[執]+디.
주038)
정견(正見):불교의 바른 도리를 깨달은 견해(見解).
주039)
니와다:일으켜. 니왇-[起]+아.
주040)
믈드디:물들지. 믈들-[染]+디.
주041)
견성(見性):모든 망혹(妄惑)을 버리고 자기 본래의 타고난 불성(佛性)을 깨달아 아는 것.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