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상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상권
  • 제1 오법전의(悟法傳衣)
  • 오법전의 12
메뉴닫기 메뉴열기

오법전의 12


又經數日호 作偈不成야 心中이 恍惚야 神思ㅣ 不安호미 猶如夢中야 行坐不樂더니 復兩日이어 有一童子ㅣ 於碓坊過며 唱誦其偈대 能이 一聞고 便知此偈ㅣ 未見本性고 雖未蒙敎授ㅣ나 早識大意야 遂問童子야 曰호 誦者 何偈오 童子ㅣ 言호 爾這獦獠

육조법보단경언해 상:21ㄴ

不知로다 大師ㅣ 言샤 世人이 生死事大니 欲得傅付衣法호리라 시고 令門人으로 作偈來看라 若悟大意면 卽付衣法야 爲第六祖호려 야시

 두 나 디내요 주001)
디내요:
지내되. 디내-[經]+오.
偈 지 일우디 주002)
일우디:
이루지. 일우-[成]+디. {우}는 사동접미사.
몯야 心中이 어즐야 주003)
어즐야:
아득하여.
매 주004)
매:
마음에.
혜아료미 주005)
혜아료미:
헤아림이. 생각함이. 혜아리-[思]+옴+이.
편안티 주006)
편안티:
편안하지.
몯호미 주007)
몯호미:
못함이.
夢中 야 주008)
야:
같아서.
거르며 주009)
거르며:
걸으며. 걷-[行]+으며.
안조미 주010)
안조미:
앉음이. 앉-[坐]+옴+이.
즐겁디 주011)
즐겁디:
즐겁지.
몯더니  두

육조법보단경언해 상:22ㄱ

나리어 주012)
나리어:
날이거늘. 날이 가거늘. 날[日]+이+거.
童子 주013)
동자(童子):
승려가 될 마음을 내고 절에 와서 불교를 배우면서 아직 출가하지 않은 어린 아이.
하애 주014)
방하애:
방앗간에.
디나가며 그 偈 블러 주015)
블러:
불러. 브르-[唱]+어.
외온대 주016)
외온대:
외우니. 외오-[誦]+ㄴ대.
能이  번 듣고 곧 이 偈ㅣ 本性 보디 몯호 주017)
몯호:
못함을. 못한 것을.
알오 비록 敎授 닙디 주018)
닙디:
입지. 닙-[蒙]+디.
몯나 주019)
몯나:
못하였으나. 못하나.
셔 주020)
셔:
벌써. 이미.
大意 아라 童子려 주021)
-려:
-더러. -에게.
무로 주022)
무로:
묻되. 묻-[問]+오.
외오닌 주023)
외오닌:
외우는 것이. 외오-[誦]++ㄴ(관형사형어미)+이+ㄴ(보조사).
엇던 주024)
엇던:
어떤.
偈오 주025)
게(偈)오:
게송인가. ‘-오’는 ‘라체’의 설명의문형어미 ‘-고’의 /ㄱ/ 탈락형.
童子ㅣ 닐오 너 獦獠 아디 몯놋다 주026)
몯놋다:
못하는구나. 몯-+ㄴ+오+ㅅ+다.
大師ㅣ 니샤 世人이 生死ㅅ

육조법보단경언해 상:22ㄴ

주027)
이리:
일이. 일[事]+이.
크니 주028)
크니:
크니.
衣法 주029)
의법(依法):
가사(袈裟)와 법(法).
맛됴리라 주030)
맛됴리라:
맡기리라. 맡길 것이다. -[付]+이(사동접미사)+오+리+라.
시고 門人으로 偈 지 와 뵈라 주031)
뵈라:
보이라. 보[看]+이(사동접미사)+라(‘라체’의 명령형종결어미).
다가 大意 알면 주032)
알면:
깨달았으면. 깨쳤으면.
곧 衣法을 맛뎌 第六祖 사모려 주033)
사모려:
삼으려. 삼-[爲]+오+려.
야시

또 두어 날을 지내되, 게송 짓는 것을 이루지 못하여 심중이 아득하고, 마음에 헤아림이 편안하지 못한 것이 (마치) 꿈속과 같아서 걸으며 앉음이 즐겁지 못하였다. 또 두 날이 가거늘 한 동자(童子)가 방앗간을 지나가며 그 게송을 불러 외우니, 내가 한번 듣고 곧 이 게송이 본성(本性)을 보지 못한 것을 알았다. (나는) 비록 (조사의) 가르침을 입지 못하였으나 벌써 대의(大意)를 알았으므로 동자에게 물었다. “외우는 것이 어떤 게송입니까?” 동자가 이르되, “너 (같은) 오랑캐는 알지 못하는구나, 대사께서 이르시기를, ‘세상 사람들은 생사(生死)의 일이 크니 의법(衣法)을 맡길 것이라 하시고, 문인(門人)으로 (하여금) 게송을 지어 와서 보이라 (하시고,) 만약 대의를 깨달았으면 곧, 의법(衣法)을 맡겨 제육조(第六祖)를 삼으리라.’”(고) 하셨다.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디내요:지내되. 디내-[經]+오.
주002)
일우디:이루지. 일우-[成]+디. {우}는 사동접미사.
주003)
어즐야:아득하여.
주004)
매:마음에.
주005)
혜아료미:헤아림이. 생각함이. 혜아리-[思]+옴+이.
주006)
편안티:편안하지.
주007)
몯호미:못함이.
주008)
야:같아서.
주009)
거르며:걸으며. 걷-[行]+으며.
주010)
안조미:앉음이. 앉-[坐]+옴+이.
주011)
즐겁디:즐겁지.
주012)
나리어:날이거늘. 날이 가거늘. 날[日]+이+거.
주013)
동자(童子):승려가 될 마음을 내고 절에 와서 불교를 배우면서 아직 출가하지 않은 어린 아이.
주014)
방하애:방앗간에.
주015)
블러:불러. 브르-[唱]+어.
주016)
외온대:외우니. 외오-[誦]+ㄴ대.
주017)
몯호:못함을. 못한 것을.
주018)
닙디:입지. 닙-[蒙]+디.
주019)
몯나:못하였으나. 못하나.
주020)
셔:벌써. 이미.
주021)
-려:-더러. -에게.
주022)
무로:묻되. 묻-[問]+오.
주023)
외오닌:외우는 것이. 외오-[誦]++ㄴ(관형사형어미)+이+ㄴ(보조사).
주024)
엇던:어떤.
주025)
게(偈)오:게송인가. ‘-오’는 ‘라체’의 설명의문형어미 ‘-고’의 /ㄱ/ 탈락형.
주026)
몯놋다:못하는구나. 몯-+ㄴ+오+ㅅ+다.
주027)
이리:일이. 일[事]+이.
주028)
크니:크니.
주029)
의법(依法):가사(袈裟)와 법(法).
주030)
맛됴리라:맡기리라. 맡길 것이다. -[付]+이(사동접미사)+오+리+라.
주031)
뵈라:보이라. 보[看]+이(사동접미사)+라(‘라체’의 명령형종결어미).
주032)
알면:깨달았으면. 깨쳤으면.
주033)
사모려:삼으려. 삼-[爲]+오+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