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상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상권
  • 제1 오법전의(悟法傳衣)
  • 오법전의 6
메뉴닫기 메뉴열기

오법전의 6


衆得處分야 退而遞相謂曰호 我等衆人이 不須澄心用意니 作偈야 將呈和尙 有何所益이리오 神秀上座ㅣ 現爲敎授師ㅣ니 必是

육조법보단경언해 상:11ㄴ

他得이라 我輩ㅣ 謾作偈頌호미 枉用心力이라 야 諸人이 聞語고 總皆息心야 咸言호 我等이 已後에 依止秀師ㅣ어니 何煩作偈리오 神秀ㅣ 思惟호 諸人이 不呈偈者 爲我ㅣ 與他의 爲敎授師ㅣ니 我須作偈야 將呈和尙호리니 若不呈偈면 和尙이 如何知我의 心中見解深淺이리오 我呈偈意 求法卽善고 覓祖卽惡니 却同凡心이라 奪其聖位와 奚別이리오 若

육조법보단경언해 상:12ㄱ

不呈偈면 終不得法이라 大難大難이로다

衆이 處分을 得야【處分은 和尙ㅅ 處斷이라】 믈러 주001)
믈러:
물러나.
서르 주002)
서르:
서로.
더브러 주003)
더브러:
더불어. 더블-[遞]+어.
닐오 우리 衆人이 구틔여 주004)
구틔여:
구태여.
 겨 주005)
겨:
맑게하여. 맑히어. -[澄]+이(사동접미사)+어.
 디 마롤디니 주006)
마롤디니:
말지니. 말 것이니. 말-[不]+오+ㄹ++ㅣ+니.
偈 지  주007)
쟝:
장차.
和尙 주008)
화상(和尙):
원래는 수계사(授戒師)인 승려를 일컫는 말이었으나, 나중에는 덕이 높은 승려를 가리키는 말이 되었다.
呈 주009)
정(呈):
바친들. 올린들.
므슴 주010)
므슴:
무슨[何].
利益이 이시리오 주011)
이시리오:
있으리오. 있을 것인가. 이시-[有]+리+오(‘라체’의 1·3인칭 설명의문형어미).
. 神秀 주012)
신수(神秀):
당(唐)나라 때 승려. 오조 홍인(弘忍)대사의 제자로 북종선(北宗禪)의 개조(開祖)가 되었다.
上座ㅣ 現히 敎授師 주013)
교수사(敎授師):
계(戒) 받는 이를 인도하여 수계하는 계단(戒壇)에 대한 여러 가지 작법(作法)과 규모를 지도하는 승려.
외야시니 주014)
외야시니:
되어 있으니. 외-[爲]+야+이시-[有]+니.
반기 주015)
반기:
반드시.
뎨 주016)
뎨:
그이가. 그이야말로. 그분이. 뎌[他]+ㅣ(주격조사)+(보조사). ‘뎌[他]’는 대용어로 쓰임.
得리

육조법보단경언해 상:12ㄴ

라 우리 무리 쇽졀업시 주017)
쇽절업시:
부질없이. 속절없이.
偈頌 지미 주018)
지미:
지음이. 짓는 것이. -[作]+움+이.
心力을 간대로 주019)
간대로:
되는 대로. 함부로.
미니라 주020)
미니라:
씀이니라.
야 모 사미 말 주021)
말:
말. 말을.
듣고 다 을 그쳐 주022)
그쳐:
끊어. 그쳐. 그치-[息]+어.
닐오 우리히 이 後에 秀師 依止리어니 주023)
-리어니:
-하려니. -할 것이거니.
므슴 주024)
므슴:
어찌(부사).
어즈러이 주025)
어즈러이:
번거롭게. 어즈-[煩]+이(부사파생접미사).
偈 지리오 주026)
지리오:
지을 것인가. 지으리오. -[作]+으리+오(‘라체’의 1·3인칭 설명의문형어미).
神秀ㅣ 호 모 사미 偈 呈티 아니호 내 뎌의 주027)
뎌의:
그들의. 뎌[他]+의(관형격조사). ‘뎌’는 여기서 대용어로 쓰였으므로 ‘그’로 옮긴다.
敎授師ㅣ 외야쇼 주028)
외야쇼:
되어 있음을. 외-[爲]+야+이시-[有]+옴+.
爲니 주029)
위(爲)니:
위(爲)한 것이니. 위하니.
내 모

육조법보단경언해 상:13ㄱ

로매 偈 지  和尙 呈호리니 다가 偈 呈티 아니면 和尙이 엇뎨 내 心中 見解의 기프며 주030)
기프며:
깊으며. 깊고. 깊-[深]+으며.
녀투믈 주031)
녀투믈:
옅음을. 옅은 것을. 녙-[淺]+움+을.
아시리오 주032)
아시리오:
아시겠는가. 아실것인가. 알-[知]+시+리+오(의문형어미).
내 偈呈논 주033)
-논:
-하는.
든 法 求호 주034)
구(求)호:
구함은. 구하는 것은.
善코 주035)
-코:
-고.
求호 주036)
-호:
-함은. -하는 것은. --+옴+.
곧 惡니 도혀 주037)
도혀:
도리어.
凡夫의 과 가지라 주038)
가지라:
한가지여서. 가지로. [一]+가지[種]+라(연결어미).
聖位 주039)
성위(聖位):
성인의 자리.
아과 주040)
아과:
빼앗음과. -[奪]+옴+과.
엇뎨 다리오 주041)
다리오:
다르겠는가. 다를 것인가.
. 다가 偈 呈티 아니

육조법보단경언해 상:13ㄴ

면 내 주042)
내:
마침내.
法을 得디 몯홀디라 주043)
몯홀디라:
못할 것이다. 못할지라. 몯-+오+ㄹ++ㅣ+라.
 주044)
:
가장.
어려우며  어렵도다 주045)
어렵도다:
어렵구나.

대중(大衆)이 처분(處分)을 얻고서【처분은 화상(和尙)의 처단(處斷)이다.】 물러나 서로 더불어 (차례로) 이르되, “우리들 무리가 구태여 마음을 맑히어 뜻을 쓰지 말 것이니, 게송(偈頌)을 지어 장차 화상께 바친들 무슨 이익이 있을 것인가? 신수(神秀) 상좌(上座)가 지금 교수사(敎授師)가 되어 있으니, 반드시 그분이 얻을 것이다. 우리들 무리가 속절없이 게송 짓는 것이 심력(心力)을 함부로 씀이니라.”(라고) 하였다. 모든 사람이 (그) 말을 듣고 다 마음을 끊고 이르되, “우리들이 이 후에 신수스님을 의지할 것인데, 어찌 번거롭게 게송을 지을 것인가?” 신수스님이 생각하였다. ‘모든 사람이 게송을 바치지 아니하는 것은 내가 그들의 교수사가 되어 있음을 위한 것이니, 내 모름지기 게송을 지어 장차 화상께 바칠 것이다. 만약 게송을 바치지 아니하면 화상이 어찌 내 마음속 견해의 깊고 옅은 것을 아시겠는가? 내가 게송을 바치는 뜻은 법(法)을 구하는 것은 곧 옳은 일[善]이고, 조사(祖師)의 자리를 구하는 것은 곧 옳지 않은 일[惡]이니, 도리어 범부(凡夫)의 마음과 한가지로 성인의 자리[聖位]를 빼앗음과 어찌 다르겠는가? 만약 게송을 바치지 아니하면 마침내 법을 얻지 못할 것이다. 가장 어려우며, 참으로 어렵구나.’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6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믈러:물러나.
주002)
서르:서로.
주003)
더브러:더불어. 더블-[遞]+어.
주004)
구틔여:구태여.
주005)
겨:맑게하여. 맑히어. -[澄]+이(사동접미사)+어.
주006)
마롤디니:말지니. 말 것이니. 말-[不]+오+ㄹ++ㅣ+니.
주007)
쟝:장차.
주008)
화상(和尙):원래는 수계사(授戒師)인 승려를 일컫는 말이었으나, 나중에는 덕이 높은 승려를 가리키는 말이 되었다.
주009)
정(呈):바친들. 올린들.
주010)
므슴:무슨[何].
주011)
이시리오:있으리오. 있을 것인가. 이시-[有]+리+오(‘라체’의 1·3인칭 설명의문형어미).
주012)
신수(神秀):당(唐)나라 때 승려. 오조 홍인(弘忍)대사의 제자로 북종선(北宗禪)의 개조(開祖)가 되었다.
주013)
교수사(敎授師):계(戒) 받는 이를 인도하여 수계하는 계단(戒壇)에 대한 여러 가지 작법(作法)과 규모를 지도하는 승려.
주014)
외야시니:되어 있으니. 외-[爲]+야+이시-[有]+니.
주015)
반기:반드시.
주016)
뎨:그이가. 그이야말로. 그분이. 뎌[他]+ㅣ(주격조사)+(보조사). ‘뎌[他]’는 대용어로 쓰임.
주017)
쇽절업시:부질없이. 속절없이.
주018)
지미:지음이. 짓는 것이. -[作]+움+이.
주019)
간대로:되는 대로. 함부로.
주020)
미니라:씀이니라.
주021)
말:말. 말을.
주022)
그쳐:끊어. 그쳐. 그치-[息]+어.
주023)
-리어니:-하려니. -할 것이거니.
주024)
므슴:어찌(부사).
주025)
어즈러이:번거롭게. 어즈-[煩]+이(부사파생접미사).
주026)
지리오:지을 것인가. 지으리오. -[作]+으리+오(‘라체’의 1·3인칭 설명의문형어미).
주027)
뎌의:그들의. 뎌[他]+의(관형격조사). ‘뎌’는 여기서 대용어로 쓰였으므로 ‘그’로 옮긴다.
주028)
외야쇼:되어 있음을. 외-[爲]+야+이시-[有]+옴+.
주029)
위(爲)니:위(爲)한 것이니. 위하니.
주030)
기프며:깊으며. 깊고. 깊-[深]+으며.
주031)
녀투믈:옅음을. 옅은 것을. 녙-[淺]+움+을.
주032)
아시리오:아시겠는가. 아실것인가. 알-[知]+시+리+오(의문형어미).
주033)
-논:-하는.
주034)
구(求)호:구함은. 구하는 것은.
주035)
-코:-고.
주036)
-호:-함은. -하는 것은. --+옴+.
주037)
도혀:도리어.
주038)
가지라:한가지여서. 가지로. [一]+가지[種]+라(연결어미).
주039)
성위(聖位):성인의 자리.
주040)
아과:빼앗음과. -[奪]+옴+과.
주041)
다리오:다르겠는가. 다를 것인가.
주042)
내:마침내.
주043)
몯홀디라:못할 것이다. 못할지라. 몯-+오+ㄹ++ㅣ+라.
주044)
:가장.
주045)
어렵도다:어렵구나.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