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상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서문
  • 육조법보단경 서문 [고균 비구 덕이]
메뉴닫기 메뉴열기

육조법보단경 서문 [고균 비구 덕이]


육조법보단경언해:서1ㄱ

六祖法寶壇經序

육조법보단경 머리말

古筠比丘 德異 撰

고균 비구 덕이가 편찬하다.

妙道 虛玄야 不可思議니 忘言得旨라 端可悟明이리라 故로 世尊이 分座於多子塔前시며 拈花於靈山會上샤 似火與火야 以心印心야 西傳四七야 至菩提達磨야 東來此土샤 直指人心야 見性成佛케 시니 有可大師者ㅣ 首於言下애 悟入야 末上三拜예 得髓

육조법보단경언해:서1ㄴ

야 受衣紹祖야 開闡正宗시니 三傳야 而至黃梅야 會中高僧七百에 惟負舂居士ㅣ一偈예 傳衣야 爲六代祖야 南遯十餘年 이리시니 一旦애 以非風幡動之機로 觸開印宗正眼시니 居士ㅣ 由是로 祝髮登壇야 應跋陁羅懸記야 開東山法門시니 韋史君이 命海禪者야 錄記語야 目之曰샤 法寶壇經이라 시니라 大師ㅣ 始於五年[羊]샤 終至曺溪샤 說法

육조법보단경언해:서2ㄱ

三十七年시니 沾甘露味야 入聖超凡者 莫記其數ㅣ며 悟佛心宗야 行解ㅣ 相應야 爲大知識者 名載傳燈니 惟南嶽과 靑原괘 執侍最久야 盡得無巴鼻故로 出馬祖와 石頭야 機智ㅣ圓明야 玄風을 大振니 乃有臨濟와 潙仰과 曺洞 과 雲門과 法眼괏 諸公이 巍然而出야 道德이 超群며 門庭이 嶮峻야 啓迪英靈衲子야 奮志衝關야 一門에 深入

육조법보단경언해:서2ㄴ

니 五派同源이라
歷遍爐錘야 規模ㅣ 廣大니 原其五家의 綱要컨댄 盡出壇經니라 夫壇經者ㅣ 言簡고 義豊면 理明고 事備야 具足諸佛無量法門며 一一法門에 具足無量妙義며 一一妙義예 發揮諸佛無量妙理니 卽彌勒樓閣中이며 卽普賢毛孔中이라 善入者 卽同善財라 於一念間애 圓滿功德야 與普賢等며 與諸佛等리니 惜乎ㅣ라 壇經이 爲後人

육조법보단경언해:서3ㄱ

의 節略이 太多야 不見六祖의 大全之旨ㄴ뎌 德異 幻年에 嘗見古本고 自後야 遍求호 三十餘載러니 近得通上人의 尋到全文야 遂刊于吳中休休禪庵야 與諸勝士와 同一受用노니 惟願開卷擧目애 直入大圓覺海야 續佛祖慧命無窮면 斯余의 志願이 滿矣리라 至元二十七年庚寅歲中春日에 敍노라

微妙 주001)
도(道):
종교상으로 근본이 되는 뜻.
주002)
허(虛):
막힘이 없이 통하고, 또한 방소(方所)가 없음을 이른다.
기퍼 주003)
기퍼:
깊어. 깊어서. 깊-[玄]+어.
어루 주004)
어루:
가히.

육조법보단경언해:서3ㄴ

야
주005)
야:
생각하여. -[思]+야.
議論 주006)
-티:
-하지. ‘-티’는 ‘-+디’의 축약형.
몯리니 말 닛고 주007)
닛고:
잊고. 닞-[忘]+고.
주008)
:
뜻[旨].
得니 주009)
-:
-야. -야말로. ‘-’는 강세, 또는 단독의 보조사.
正히 어루 아라 주010)
아라:
알아. 깨달아. 알-[悟]+아.
기리라 주011)
기리라:
밝히리라. 밝힐 것이다. -[明]+이(사동접미사)+리+라.
그럴 주012)
그럴:
그러므로.
世尊 주013)
세존(世尊):
석가모니 부처는 세상에서 가장 높고 존귀한 분이라는 뜻에서 그렇게 부른다.
多子塔 주014)
다자탑(多子塔):
중인도의 비야리성(毘耶離城) 서쪽에 있던 탑. 석가모니 부처가 이 탑 앞에서 가섭(迦葉)을 만나 자리를 나누어 앉음으로써 제자에게 법을 전한 곳으로 알려져 있다.
알 주015)
알:
앞에. 앒-[前]+(처소부사격조사).
座 호시며 주016)
호시며:
나누시며. 호-[分]+시+며.
靈山會上 주017)
영산회상(靈山會上):
세존(世尊)이 영축산(靈鷲山)에 있으면서 설법하던 때의 모임.
고 주018)
고:
꽃을. 곶[花]+.
자샤 주019)
고 자샤:
석가모니 부처가 영축산에서 설법할 때에 대범천왕(大梵天王)이 올린 꽃을 들어 보이니 가섭이 빙긋이 웃은 것[拈花微笑]을 이른다.
블로 주020)
블로:
불로. 블[火]+로.
블 주 주021)
블로 블 주:
스승과 제자 사이에 법을 전수(傳受)함을 비유한 말.
야 으로 을 印야 西ㅅ녀긔 四七 주022)
사칠(四七):
석가모니 부처를 이은 제자 가섭(迦葉)으로부터 달마(達磨)에 이르는 인도의 28대 조사(祖師). 곧, 서전사칠(西傳四七)을 이른다.
에 傳야【四七은 二十八祖ㅣ라】 菩提達磨 주023)
보리달마(菩提達磨):
중국 선종(禪宗)의 초조(初祖). 서천이십팔조(西天二十八祖) 중 제이십팔대조(第二十八代祖).
니르러 주024)
니르러:
이르러. 니를-[至]+어.
東으로 이 土

육조법보단경언해:서4ㄱ

애 오샤 人心을 바 쳐 주025)
쳐:
가리켜. 치-[指]+어.
性을 보아 부텨 외에 주026)
외에:
되게. 외-[成]+게. 어미 ‘-에’는 음절부음 [j] 다음에서 /ㄱ/ 약화 표기.
시니 惠可大師 주027)
혜가대사(惠可大師):
달마대사의 법을 이은 중국 승려. 선종(禪宗)의 제이조(第二祖).
ㅣ 처 말매 아라 드러 내 주028)
내:
나중. 마지막.
세 번 절에 骨髓 得야 오 주029)
오:
옷을. 옷[衣]+.
바다 주030)
바다:
받아. 받-[受]+아.
주031)
오바다:
불가에서 스승과 제자 사이에 법을 전수(傳受)한 증표로 법의(法衣), 곧 가사(袈裟)를 주고 받는 것.
祖 니 주032)
니:
이어. -[紹]+어.
正宗을 여러 기시니 세 번 傳야【세 번 傳호 三祖와 四祖와 五祖왜라】 黃梅 주033)
황매(黃梅):
선종의 오대조 홍인(弘忍)대사를 가리킨다.
예 니르러【黃梅 五祖ㅅ 道場이라】 會中 高僧 七百에 오직

육조법보단경언해:서4ㄴ

負舂居士 주034)
부용거사(負舂居士):
방아찧는 거사. 곧, 선종의 육대조사 혜능(惠能)을 이른다. 혜능이 계(戒)를 받기 전에 오조 홍인대사 아래서 방아찧는 일을 하였으므로 그렇게 불렀다.
【負舂 돌 지고 하 주035)
방하:
방아.
디흘시라 주036)
디흘시라:
방아찧는 것이다. 딯-[舂]+을시라.
주037)
게(偈):
게송(偈頌). 부처의 공덕과 교리를 운문형식으로 찬양한 글.
예 오 傳야 六代祖ㅣ 외야 南 녀긔 열나 주038)
열나:
여남은.
 수멧더시니 주039)
수멧더시니:
숨어 있으시더니. 숨-[遯]+어+잇-[有]+더+시+니.
 아 주040)
아:
아침에. 아[旦]+(처소부사격조사).
과 주041)
번(幡):
불·보살의 위엄을 표시하는 장엄 도구인 깃발을 이른다.
뮈디 주042)
뮈디:
움직이지. 뮈-[動]+디.
아니 주043)
기(機):
종교의 대상인 교법에 대하여 주체(중생)를 통틀어 이르는 말.
로 印宗 正眼 다텨 주044)
다텨:
다치어. 건드려. 스쳐. 다티-[觸]+어.
여르시니【印宗 法師ㅅ 일후미라 주045)
일후미라:
이름이라. 일훔[名]+이+라.
居士 주046)
거사(居士):
출가하지 않고 가정에 있으면서 불문(佛門)에 귀의한 남자.
일로브터 주047)
일로브터:
이로부터. 이것으로부터. 대명사 ‘이[是]’ 다음의 /ㄹ/은 첨가음.
머리 갓가 주048)
갓가:
깎아. -[祝]+아.
주049)
단(壇):
신성한 장소에 경계를 두어 정화한 다음 흙이나 나무로 돋운 것.
의 올아【壇 주050)
계(戒):
삼장(三藏) 중 율장(律藏)에서 말한 것으로 불교 도덕의 총칭이다.
니 히라 주051)
히라:
땅이다. ㅎ[地]+이+라.
跋陁羅 주052)
발타라(跋陁羅):
중인도 사람. 불교에 귀의하여 삼장(三藏)에 능통하였다. 송(宋)나라 원가 (元嘉) 12년(서기435)에 중국에 와서 「잡아함경(雜阿含經)」 등을 번역하였다. 육조 혜능이 계를 받은 법성사(法性寺) 계단(戒壇)을 창건하고 육신보살(肉身菩薩)이 수계할 것을 예언하였다. 갖은 이름은 구나발타라(求那跋陀羅)이다.
ㅅ 먼 주053)
기(記):
기별(記別). 수행하는 사람에 대하여 미래에 성불할 것을 낱낱이 구별하여 예언하는 것.
 應

육조법보단경언해:서5ㄱ

야 東山 주054)
동산(東山):
오조(五祖) 홍인(弘忍)이 머물던 황매(黃梅)의 동산을 이른다. 동산(東山)은 중국 호북성(湖北城) 황매현의 기주(蘄州) 쌍봉산(雙峯山)에 딸린 작은 산이다.
法門을 여르시니【東山 五祖 겨시던 뫼히라】 韋史君 주055)
위사군(韋史君):
소주(韶州)의 태수(太守)였던 위거(韋據)를 가리킨다.
海禪者 주056)
해선자(海禪者):
육조대사의 법을 이은 소주의 법해(法海) 선사를 이른다.
 命야 그 말 記錄야 일후믈 니샤 法寶壇經이라 시니라 大師ㅣ 五年[羊] 주057)
*오년(五年):
지명(地名) 오양(五羊)을 잘못 쓴 듯하다. 오양(五羊)은 광주성(廣州城)에 있는 역명(驛名).
비르서 주058)
비르서:
시작하여. 비릇-[始]+어.
매 주059)
매:
마지막에. 마침내.
曺溪 주060)
조계(曺溪):
소주(韶州)에 있는 지명.
니르르샤 주061)
니르르샤:
이르시어. 이르시기까지. 니를-[至]+으샤+아.
三十七年을 說法시니 甘露 주062)
감로(甘露):
한번 마시면 죽지 않는다는 천상(天上)의 물. 불법은 묘도(妙道)를 밝히는 법문이므로 법을 흔히 감로에 비유한다.
마새 주063)
마새:
맛에. 맛-[味]+애.
저저 주064)
저저:
젖어. 젖어서. 젖-[沾]+어.
聖에

육조법보단경언해:서5ㄴ

주065)
드러:
들어. 들-[入]+어.
凡에 건너닌 주066)
건너닌:
건너뛴 이는. 건너-[超]+ㄴ(어미)+이+ㄴ(보조사).
그 數 記錄디 몯며 부텻 心宗 주067)
심종(心宗):
불심종(佛心宗). 교학(敎)을 다루고 있는 근본 일물(一物)에 직접 투입하여 수행하고, 행(行)을 전개하는 것. 곧, 선종(禪宗)을 이른다.
아라 行 주068)
행(行):
행하는 것.
주069)
해(解):
아는 것.
왜 서르 應야 큰 知識 주070)
지식(智識):
선지식(善知識). 부처가 설한 교법(敎法)을 말하여 다른 이로 하여금 고통의 세계를 벗어나 이상경(理想境)에 이르게 하는 이.
외닌 주071)
외닌:
된 이는. 외-[爲]+ㄴ(어미)+이+ㄴ(보조사).
일후미 傳燈 주072)
전등(傳燈):
송(宋)나라 도원(道原)이 지은 「경덕전등록(景德傳登錄)」(1006년 간행)을 이른다. 과거 칠불(七佛)로부터 선종(禪宗)의 역대 조사 1712명이 올려져 있다.
시렛니 주073)
시렛니:
실려 있느니. 싣-[載]+어+잇-[有]++니.
오직 南嶽 주074)
남악(南嶽):
육조대사 아래의 양대 산맥 중 하나인 남악회양(南嶽懷讓, 677-744)을 가리킨다.
靑原 주075)
청원(靑原):
육조대사 아래의 양대 산맥 중 하나인 청원행사(靑原行思, ?-740)를 가리킨다.
뫼오미 주076)
뫼오미:
모심이. 뫼-[侍]+옴+이.
주077)
:
가장.
오라 주078)
오라:
오래어. 오라-[久]+아.
귿고 주079)
귿고:
그릇의 손잡이. ‘귿[端]+고[鼻]’의 복합형.
업소 주080)
업소:
없음을. 없-[無]+옴+.
주081)
귿고 업솜:
무파비(無巴鼻). 본성 활물(活物)이 현전하여 개념과 논리로는 파악할 수 없는 경지에 이른 것을 손잡이가 없어진 것으로 비유한 말이다. 곧, 모[方]가 없고 원만히 밝아서 손댈 수 없음을 이른 말이다.
주082)
다:
모두. 다. 다-[盡]+아.
得 젼로 馬祖 주083)
마조(馬祖):
남악회양(南嶽懷讓)에게서 법을 받아 선풍(禪風)을 크게 드날린 도일(道一)을 이른다.
石頭 주084)
석두(石頭):
청원행사(靑原行思)의 법을 이은 희천(希遷)을 이른다.
주085)
나:
나와서. 나-[出]+아.
機智 주086)
기지(機智):
마음의 활발한 기틀과 지혜.
두려이 주087)
두려이:
둥글게. 온전히 두-[圓]+이.
가 주088)
가:
밝아. -[明]+아.
주089)
기(機):
종교의 대상인 교법에 대한 주체(중생)를 통틀어 이르는 말.
주090)
체(體):
만물의 한결같이 변하지 않는 본 모양. 곧, 본체.
주091)
지(智):
모든 사상(事象)과 도리(道理)에 대하여 그 시비(是非), 사정(邪正)을 분별하고 판단하는 마음의 작용.
주092)
용(用):
사물의 운용 및 활용, 즉 물건의 갖추어진 기능. 작용(作用).
이라】
玄風 주093)
현풍(玄風):
그윽한 가풍.
 주094)
:
크게. 가장.

육조법보단경언해:서6ㄱ

우니 臨濟와 潙仰과 曺洞과 雲門과 法眼괏 여러 公 주095)
여러 공(公):
선지식(善知識). 여기서는 중국 남종선(南宗禪)에서 분파한 임제(臨濟), 위앙(潙仰), 조동(曺洞), 운문(雲門), 법안(法眼) 등을 이른다. 곧, 선종의 5가(家)를 가리킨다.
巍然 주096)
외연(巍然):
높게 솟아 있는 모양.
히 나【巍然은 노시라 주097)
노시라:
높은 것이다. 높-[巍]+시라.
道德이 무레 주098)
무레:
무리보다. 무리에서. 물[群]+에(비교부사격조사).
건너며 門庭 주099)
문정(門庭):
집안. 살림. 문풍(門風).
이 嶮코 노파 英靈 주100)
영령(英靈):
영특하고 신령스러움.
衲子 주101)
납자(衲子):
누더기옷[衲衣]을 입은 자. 선종에서 출가한 이를 가리킨다. 납승(衲僧).
여러 주102)
여러:
열어. 열-[啓]+어.
내야 주103)
내야:
내어. 내고. 내-[迪]+야.
志 니르와다 주104)
니르와다:
일으켜. 니르왇-[奮]+아.
주105)
관(關):
관문(關門). 조사가 되는 문. 곧, 조사관(祖師關)을 이른다.
다와다 주106)
다와다:
다그쳐. 다왇-[衝]+아.
一門에 기피 주107)
기피:
깊이. 깊-[深]+이.
드니 주108)
드니:
드니. 들-[入]+니. /ㄹ/ 탈락.
五派 根源이 가지라 주109)
가지라:
한가지이다.
爐錘 주110)
노추(爐錘):
종사(宗師)가 납자(衲子)를 접득(接得)하는 것을 풀무질과 망치질에 비유한 것이다.
너비 주111)
너비:
널리. 넓게. 넙-[遍]+이.
디내야 주112)
디내야:
지내어. 겪어. 거치어. 디내-[歷]+야.
【爐 붊기오 주113)
붊기오:
풀무이고. [爐]+ㅣ+고. 단독형 ‘불무’가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앞에서 ‘’으로 바뀐다. ‘-오’는 서술격조사 다음에서 /ㄱ/ 약화 표기.
錘 마치니 주114)
마치니:
망치이니. 마치[錘]+이+니.

육조법보단경언해:서6ㄴ

善知識을 니니라 주115)
니니라:
이르니라. 이른다. 니-[謂]+니라.
規模ㅣ 넙고 크니 그 五家 주116)
오가(五家):
달마 아래 임제(臨濟), 위앙(潙仰), 조동(曺洞), 운문(雲門), 법안(法眼) 등의 다섯 갈래 선문(禪門)을 가리킨다.
 綱要 根源컨댄 다 壇經에 나니라 주117)
나니라:
나온 것이다. 나왔다. 나-[出]+니라.
壇經이 말 젹고 든 주118)
든:
뜻은. [義]+은.
豊며 理ㅣ 고 事ㅣ자 주119)
자:
갖추어져. -[備]+아.
諸佛 주120)
제불(諸佛):
모든 부처.
無量 주121)
무량(無量):
한량 없는.
法門 주122)
법문(法門):
부처의 교법(敎法). 부처의 교법은 중생으로 하여금 나고 죽는 고통(苦痛)의 세계를 벗어나 이상경(理想境)인 열반에 들게 하는 문(門)이라고 해서 그렇게 부른다.
이 며 一一 法門에 無量妙義 며 一一 妙義 주123)
묘의(妙義):
불법의 묘한 뜻.
예 諸佛 無量 妙理 주124)
묘리(妙理):
불법(佛法)이 말이나 이론, 생각 등으로 짐작할 수 없고, 절대적이며 불가사의하되, 일체에 응하는 도리라고 하여 그렇게 이른다.
 펴니 곧

육조법보단경언해:서7ㄱ

彌勒 樓閣 주125)
미륵누각(彌勒樓閣):
화엄회상(華嚴會上)에서 선재동자(善財童子)가 선지식을 찾아 미륵에 이르러, 누각의 문을 열어 주기를 청하니 미륵이 손가락을 퉁겨 문을 열었다. 선재동자가 들어가자 문이 닫혔는데, 이에 선재동자는 미륵의 누각이 한량없이 넓어서 허공과 같음을 보게된 것이다.
中이며 곧 普賢 毛孔 주126)
보현모공(普賢毛孔):
선재동자가 문수사리(文殊師利)의 처소에서 삼매(三昧)를 얻은 뒤, 쉰세 번째로 보현보살(普賢菩薩)을 친견(親見)하기 위해 일심으로 정진한 결과, 사자좌(獅子座)에 앉아 있는 보현보살의 털구멍에서 광명의 구름이 피어나는 것을 보았다. 선재동자가 그 구름을 보고 크게 기뻐하므로 보현보살이 그 이마를 만져 법을 설하니 선재동자는 한량없는 삼매를 얻게 되었다.
中이라 이대 주127)
이대:
잘. 좋게. 이대[善].
드닌 주128)
드닌:
든 이는. 드는 이는. 들-[入]+이(의존명사)+ㄴ(보조사).
곧 善財와 가지라 一念 예 주129)
예:
사이에. [間]+예.
功德이 圓滿야 普賢과 며 주130)
며:
같으며.
諸佛와 리니 주131)
리니:
같으리니. 같을 것이니.
앗가올셔 주132)
앗가올셔:
아깝구나. 앗-[惜]+셔.
壇經이 後人의 節略 주133)
절략(節畧):
줄이고 추림.
이 너무 주134)
하:
커서. 많아서. 하-[多]+아.
六祖ㅅ 큰 오 주135)
오:
온전한. 오-[全]+ㄴ.
들 보디 몯뎌 주136)
몯뎌:
못하는구나. 몯-[不]++ㄴ뎌.
德異 주137)
덕이(德異):
원나라 승려. 남악 이십일세로 환산정응(皖山正凝) 선사의 법을 이었다.
져머신 주138)
져머신:
젊었을. 졈-[幼]+어+이시-[有]+ㄴ.
주139)
제:
제에. 때에. 제[年]+∅.
일즉 주140)
일즉:
일찍. 일찍이.
주141)
녯:
옛.
本을 보

육조법보단경언해:서7ㄴ

後로브터 주142)
-로브터:
-로부터.
너비 求호 주143)
-호:
-함을. --+옴+.
셜흔 나 주144)
셜흔나:
서른 남짓. 서른 남짓한.
러니 주145)
러니:
해이더니. [載]+∅+더+니.
近에 通上人의 오 글 자 주146)
자:
찾아서. -[尋]+아.
니르로 주147)
니르로:
이르름을. 옴을. 도달함을. 니를-[到]+옴+.
得야 가 吳中 주148)
오중(吳中):
지금의 소주(蘇州).
休休禪庵 주149)
휴휴선암(休休禪庵):
몽산 덕이 화상이 거처했던 암자.
의 刻야 여러 주150)
여러:
여러[諸].
勝士 주151)
승사(勝士):
정계(淨戒)를 지키는 선비. 곧, 뛰어난 수행자를 이른다.
가지로 주152)
가지로:
함께.
受用노니 오직 願 卷을 펴 눈 드로매 주153)
드로매:
듦에. 들-[擧]+옴+애.
大圓覺海 주154)
대원각해(大圓覺海):
사람 개개의 본성 심지, 또는 크고 둥근 깨달음의 바다.
바 주155)
바:
바로. 바[直].
드러 佛祖 주156)
불조(佛祖):
제불(諸佛)과 조사(祖師).
慧命 주157)
혜명(慧命):
‘지혜’를 생명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니 주158)
니:
이어. -[續]+어.
다옴 주159)
다옴:
다함. 다-[窮]+옴.
업스면 내 뎃 주160)
뎃:
뜻의. [志]+에+ㅅ.
願이

육조법보단경언해:서8ㄱ

리라 주161)
리라:
찰 것이다. 차리라. -[滿]+리+라.
至元 二十七年 주162)
지원(至元) 이십칠년(二十七年):
원(元)나라 세조(世祖) 이십칠년, 서기 1290년이다.
庚寅歲 中春日에 敍노라

미묘(微妙)한 도(道)는 허(虛)하고 깊어서 가히 생각하여 의논(議論)하지 못할 것이니, 말[言]을 잊고 뜻을 얻어야 바로 가히 깨달아 밝힐 것이다. 그러므로 세존(世尊)이 다자탑(多子塔) 앞에서 (제자 가섭과) 자리를 나누시며, 영산회상(靈山會上)에서 꽃을 잡으시어 불[火]로 불을 주듯 (하여) 마음으로 마음을 새긴 것이다. (이로써) 서녘에서 사·칠에 전하고,【사·칠은 이십팔조(祖)이다.】 보리달마(菩提達磨)에 이르러 동(東)으로 이 땅에 오셔서 인심(人心)을 바로 가리켜 성(性)을 보아 부처가 되게 하셨다. 혜가대사(惠可大師)가 처음의 말씀에 알아 들어서 마지막[달마대사의 말년] 세 번의 절에 골수(骨髓)를 얻고, 옷을 받아 조사(祖師)를 이어서 바른 종지(宗旨)를 열어 밝히셨다. (혜가대사에서 다시) 세 번 전하여,【세 번 전함은 삼조(三祖)와 사조(四祖)와 오조(五祖)이다】 황매(黃梅)에 이르러【황매는 오조(五祖)의 도량이다.】 회중(會中)의 고승(高僧) 칠백에 오직 부용거사(負舂居士)가【부용(負舂)은 돌을 지고 방아를 찧는 것이다.】 한 게(偈)에 옷[法衣]를 전하여 (받아서) 육대 조사(祖師)가 되었다. 남녘에서 여남은 해를 숨어 있으시더니, 하루 아침에 바람과 번(幡)이 움직이지 아니하는 기연(機緣)으로 인종(印宗)의 바른 안목[正眼]을 다치어(건드려) 여셨다(열어 주셨다).【인종(印宗)은 법사(法師)의 이름이다.】 거사(居士)가 이로부터 머리를 깎아 단(壇)에 올라【단(壇)은 계(戒)를 이르는(말하는) 곳이다.】 발타라(跋陁羅)의 먼 예언[記]을(에) 응해서 동산(東山) 법문(法門)을 여셨다.【동산(東山)은 오조(五祖)가 계시던 산이다.】 위사군(韋史君)이 해선자(海禪者)에게 명하여 그 말씀을 기록하거늘 이름을 이르시되, ‘법보단경(法寶壇經)’이라고 하신 것이다. 대사(大師)가 *오양(五羊)에서 시작하여 마지막에 조계(曺溪)에 이르시기까지 삼십칠년을 설법(說法)하시니, (그 동안) 감로(甘露)의 맛에 젖어서 성인(聖人)의 지위에 들어 범부(凡夫)를 건너뛴 이는 그 수를 기록하지 못한다. 부처의 심종(心宗)을 알아서 행(行)과 해(解)가 서로 응하여 큰 지식이 된 이는 이름이 전등(傳燈)에 실려 있느니, (그 중) 오직 남악(南嶽)과 청원(靑原)의 모심이 가장 오래어 그릇의 손잡이 없음[無巴鼻]을 다 얻은 까닭으로, 마조(馬祖)와 석두(石頭)가 나와서 기지(機智)가 둥글게(온전히) 밝아【기(機)는 체(體)이고, 지(智)는 용(用)이다.】 현풍(玄風)을 크게 움직였다(떨쳤다). (이어) 임제(臨濟)와 위앙(潙仰)과 조동(曺洞)과 운문(雲門)과 법안(法眼)의 여러 공(公)이 외연(巍然)히 나왔다.【외연(巍然)은 높은 것이다.】 도덕이 무리에서 건너뛰며, 문정(門庭)이 험하고 높아서, 영특하고 신령스러운[英靈] 납자(衲子)를 열어 내고, 지(志)를 일으켜 관(關)에 다그쳐 일문(一門)에 깊이 드니 오파(五派)의 근원이 한가지이다. 노추(爐錘)를 널리 거치어【노(爐)는 풀무이고, 추(錘)는 망치이니, 선지식(善知識)을 이르니라.】 규모가 넓고 크니, 그 오가(五家)의 강요(綱要)를 근원(根源)할진대 다 단경(壇經)에서 나온 것이다. 단경(壇經)이 말[言]은 적고(간결하고) 뜻[義]은 풍부하며, 이(理)가 밝고 사(事)가 갖추어져 (있어서) 제불(諸佛)의 한량없는 법문(法門)이 (또한) 구비되어 있다. 하나하나의 법문에 한량없는 묘의(妙義)가 갖추어져 있으며, 하나하나의 묘의(妙義)에 제불의 한량없는 묘리(妙理)를 펴니, 곧 미륵(彌勒)의 누각(樓閣) 중이며, 곧 보현(普賢)의 모공(毛孔) 중이다. 잘 드는[入] 이는 곧 선재(善財)와 한가지여서 일념(一念) 사이에 공덕이 원만하여 보현(普賢)과 같으며, 제불과 같을 것이다. 아깝구나! 단경(壇經)이 후인(後人)의 절약(節略)이 너무 많아서 육조(六祖)의 크고 온전한 뜻을 보지 못하는구나. 나[德異]는 젊었을 때 일찍이 옛 본(本)을 보고 그 후로부터 널리 구함을(이) 서른 남짓한 해이더니, 근일(近日)에 통상인(通上人)이 온전한 글을 찾아 옴을 득하여 가 오중(吳中)의 휴휴선암(休休禪庵)에서 새겨 여러 승사(勝士)들과 함께 수용(受用)한 것이다. 오직 원하는 것은 권[經典]을 펴서 눈을 듦[擧]에 대원각해(大圓覺海)에 바로 들어가 불조(佛祖)의 혜명(慧命)을 이어 다함이 없으면 내 뜻의 원(願)이 찰 것이다.
지원(至元) 이십칠년(二十七年) 경인세(庚寅歲) 중춘일(中春日)에 쓰노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5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도(道):종교상으로 근본이 되는 뜻.
주002)
허(虛):막힘이 없이 통하고, 또한 방소(方所)가 없음을 이른다.
주003)
기퍼:깊어. 깊어서. 깊-[玄]+어.
주004)
어루:가히.
주005)
야:생각하여. -[思]+야.
주006)
-티:-하지. ‘-티’는 ‘-+디’의 축약형.
주007)
닛고:잊고. 닞-[忘]+고.
주008)
:뜻[旨].
주009)
-:-야. -야말로. ‘-’는 강세, 또는 단독의 보조사.
주010)
아라:알아. 깨달아. 알-[悟]+아.
주011)
기리라:밝히리라. 밝힐 것이다. -[明]+이(사동접미사)+리+라.
주012)
그럴:그러므로.
주013)
세존(世尊):석가모니 부처는 세상에서 가장 높고 존귀한 분이라는 뜻에서 그렇게 부른다.
주014)
다자탑(多子塔):중인도의 비야리성(毘耶離城) 서쪽에 있던 탑. 석가모니 부처가 이 탑 앞에서 가섭(迦葉)을 만나 자리를 나누어 앉음으로써 제자에게 법을 전한 곳으로 알려져 있다.
주015)
알:앞에. 앒-[前]+(처소부사격조사).
주016)
호시며:나누시며. 호-[分]+시+며.
주017)
영산회상(靈山會上):세존(世尊)이 영축산(靈鷲山)에 있으면서 설법하던 때의 모임.
주018)
고:꽃을. 곶[花]+.
주019)
고 자샤:석가모니 부처가 영축산에서 설법할 때에 대범천왕(大梵天王)이 올린 꽃을 들어 보이니 가섭이 빙긋이 웃은 것[拈花微笑]을 이른다.
주020)
블로:불로. 블[火]+로.
주021)
블로 블 주:스승과 제자 사이에 법을 전수(傳受)함을 비유한 말.
주022)
사칠(四七):석가모니 부처를 이은 제자 가섭(迦葉)으로부터 달마(達磨)에 이르는 인도의 28대 조사(祖師). 곧, 서전사칠(西傳四七)을 이른다.
주023)
보리달마(菩提達磨):중국 선종(禪宗)의 초조(初祖). 서천이십팔조(西天二十八祖) 중 제이십팔대조(第二十八代祖).
주024)
니르러:이르러. 니를-[至]+어.
주025)
쳐:가리켜. 치-[指]+어.
주026)
외에:되게. 외-[成]+게. 어미 ‘-에’는 음절부음 [j] 다음에서 /ㄱ/ 약화 표기.
주027)
혜가대사(惠可大師):달마대사의 법을 이은 중국 승려. 선종(禪宗)의 제이조(第二祖).
주028)
내:나중. 마지막.
주029)
오:옷을. 옷[衣]+.
주030)
바다:받아. 받-[受]+아.
주031)
오바다:불가에서 스승과 제자 사이에 법을 전수(傳受)한 증표로 법의(法衣), 곧 가사(袈裟)를 주고 받는 것.
주032)
니:이어. -[紹]+어.
주033)
황매(黃梅):선종의 오대조 홍인(弘忍)대사를 가리킨다.
주034)
부용거사(負舂居士):방아찧는 거사. 곧, 선종의 육대조사 혜능(惠能)을 이른다. 혜능이 계(戒)를 받기 전에 오조 홍인대사 아래서 방아찧는 일을 하였으므로 그렇게 불렀다.
주035)
방하:방아.
주036)
디흘시라:방아찧는 것이다. 딯-[舂]+을시라.
주037)
게(偈):게송(偈頌). 부처의 공덕과 교리를 운문형식으로 찬양한 글.
주038)
열나:여남은.
주039)
수멧더시니:숨어 있으시더니. 숨-[遯]+어+잇-[有]+더+시+니.
주040)
아:아침에. 아[旦]+(처소부사격조사).
주041)
번(幡):불·보살의 위엄을 표시하는 장엄 도구인 깃발을 이른다.
주042)
뮈디:움직이지. 뮈-[動]+디.
주043)
기(機):종교의 대상인 교법에 대하여 주체(중생)를 통틀어 이르는 말.
주044)
다텨:다치어. 건드려. 스쳐. 다티-[觸]+어.
주045)
일후미라:이름이라. 일훔[名]+이+라.
주046)
거사(居士):출가하지 않고 가정에 있으면서 불문(佛門)에 귀의한 남자.
주047)
일로브터:이로부터. 이것으로부터. 대명사 ‘이[是]’ 다음의 /ㄹ/은 첨가음.
주048)
갓가:깎아. -[祝]+아.
주049)
단(壇):신성한 장소에 경계를 두어 정화한 다음 흙이나 나무로 돋운 것.
주050)
계(戒):삼장(三藏) 중 율장(律藏)에서 말한 것으로 불교 도덕의 총칭이다.
주051)
히라:땅이다. ㅎ[地]+이+라.
주052)
발타라(跋陁羅):중인도 사람. 불교에 귀의하여 삼장(三藏)에 능통하였다. 송(宋)나라 원가 (元嘉) 12년(서기435)에 중국에 와서 「잡아함경(雜阿含經)」 등을 번역하였다. 육조 혜능이 계를 받은 법성사(法性寺) 계단(戒壇)을 창건하고 육신보살(肉身菩薩)이 수계할 것을 예언하였다. 갖은 이름은 구나발타라(求那跋陀羅)이다.
주053)
기(記):기별(記別). 수행하는 사람에 대하여 미래에 성불할 것을 낱낱이 구별하여 예언하는 것.
주054)
동산(東山):오조(五祖) 홍인(弘忍)이 머물던 황매(黃梅)의 동산을 이른다. 동산(東山)은 중국 호북성(湖北城) 황매현의 기주(蘄州) 쌍봉산(雙峯山)에 딸린 작은 산이다.
주055)
위사군(韋史君):소주(韶州)의 태수(太守)였던 위거(韋據)를 가리킨다.
주056)
해선자(海禪者):육조대사의 법을 이은 소주의 법해(法海) 선사를 이른다.
주057)
*오년(五年):지명(地名) 오양(五羊)을 잘못 쓴 듯하다. 오양(五羊)은 광주성(廣州城)에 있는 역명(驛名).
주058)
비르서:시작하여. 비릇-[始]+어.
주059)
매:마지막에. 마침내.
주060)
조계(曺溪):소주(韶州)에 있는 지명.
주061)
니르르샤:이르시어. 이르시기까지. 니를-[至]+으샤+아.
주062)
감로(甘露):한번 마시면 죽지 않는다는 천상(天上)의 물. 불법은 묘도(妙道)를 밝히는 법문이므로 법을 흔히 감로에 비유한다.
주063)
마새:맛에. 맛-[味]+애.
주064)
저저:젖어. 젖어서. 젖-[沾]+어.
주065)
드러:들어. 들-[入]+어.
주066)
건너닌:건너뛴 이는. 건너-[超]+ㄴ(어미)+이+ㄴ(보조사).
주067)
심종(心宗):불심종(佛心宗). 교학(敎)을 다루고 있는 근본 일물(一物)에 직접 투입하여 수행하고, 행(行)을 전개하는 것. 곧, 선종(禪宗)을 이른다.
주068)
행(行):행하는 것.
주069)
해(解):아는 것.
주070)
지식(智識):선지식(善知識). 부처가 설한 교법(敎法)을 말하여 다른 이로 하여금 고통의 세계를 벗어나 이상경(理想境)에 이르게 하는 이.
주071)
외닌:된 이는. 외-[爲]+ㄴ(어미)+이+ㄴ(보조사).
주072)
전등(傳燈):송(宋)나라 도원(道原)이 지은 「경덕전등록(景德傳登錄)」(1006년 간행)을 이른다. 과거 칠불(七佛)로부터 선종(禪宗)의 역대 조사 1712명이 올려져 있다.
주073)
시렛니:실려 있느니. 싣-[載]+어+잇-[有]++니.
주074)
남악(南嶽):육조대사 아래의 양대 산맥 중 하나인 남악회양(南嶽懷讓, 677-744)을 가리킨다.
주075)
청원(靑原):육조대사 아래의 양대 산맥 중 하나인 청원행사(靑原行思, ?-740)를 가리킨다.
주076)
뫼오미:모심이. 뫼-[侍]+옴+이.
주077)
:가장.
주078)
오라:오래어. 오라-[久]+아.
주079)
귿고:그릇의 손잡이. ‘귿[端]+고[鼻]’의 복합형.
주080)
업소:없음을. 없-[無]+옴+.
주081)
귿고 업솜:무파비(無巴鼻). 본성 활물(活物)이 현전하여 개념과 논리로는 파악할 수 없는 경지에 이른 것을 손잡이가 없어진 것으로 비유한 말이다. 곧, 모[方]가 없고 원만히 밝아서 손댈 수 없음을 이른 말이다.
주082)
다:모두. 다. 다-[盡]+아.
주083)
마조(馬祖):남악회양(南嶽懷讓)에게서 법을 받아 선풍(禪風)을 크게 드날린 도일(道一)을 이른다.
주084)
석두(石頭):청원행사(靑原行思)의 법을 이은 희천(希遷)을 이른다.
주085)
나:나와서. 나-[出]+아.
주086)
기지(機智):마음의 활발한 기틀과 지혜.
주087)
두려이:둥글게. 온전히 두-[圓]+이.
주088)
가:밝아. -[明]+아.
주089)
기(機):종교의 대상인 교법에 대한 주체(중생)를 통틀어 이르는 말.
주090)
체(體):만물의 한결같이 변하지 않는 본 모양. 곧, 본체.
주091)
지(智):모든 사상(事象)과 도리(道理)에 대하여 그 시비(是非), 사정(邪正)을 분별하고 판단하는 마음의 작용.
주092)
용(用):사물의 운용 및 활용, 즉 물건의 갖추어진 기능. 작용(作用).
주093)
현풍(玄風):그윽한 가풍.
주094)
:크게. 가장.
주095)
여러 공(公):선지식(善知識). 여기서는 중국 남종선(南宗禪)에서 분파한 임제(臨濟), 위앙(潙仰), 조동(曺洞), 운문(雲門), 법안(法眼) 등을 이른다. 곧, 선종의 5가(家)를 가리킨다.
주096)
외연(巍然):높게 솟아 있는 모양.
주097)
노시라:높은 것이다. 높-[巍]+시라.
주098)
무레:무리보다. 무리에서. 물[群]+에(비교부사격조사).
주099)
문정(門庭):집안. 살림. 문풍(門風).
주100)
영령(英靈):영특하고 신령스러움.
주101)
납자(衲子):누더기옷[衲衣]을 입은 자. 선종에서 출가한 이를 가리킨다. 납승(衲僧).
주102)
여러:열어. 열-[啓]+어.
주103)
내야:내어. 내고. 내-[迪]+야.
주104)
니르와다:일으켜. 니르왇-[奮]+아.
주105)
관(關):관문(關門). 조사가 되는 문. 곧, 조사관(祖師關)을 이른다.
주106)
다와다:다그쳐. 다왇-[衝]+아.
주107)
기피:깊이. 깊-[深]+이.
주108)
드니:드니. 들-[入]+니. /ㄹ/ 탈락.
주109)
가지라:한가지이다.
주110)
노추(爐錘):종사(宗師)가 납자(衲子)를 접득(接得)하는 것을 풀무질과 망치질에 비유한 것이다.
주111)
너비:널리. 넓게. 넙-[遍]+이.
주112)
디내야:지내어. 겪어. 거치어. 디내-[歷]+야.
주113)
붊기오:풀무이고. [爐]+ㅣ+고. 단독형 ‘불무’가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앞에서 ‘’으로 바뀐다. ‘-오’는 서술격조사 다음에서 /ㄱ/ 약화 표기.
주114)
마치니:망치이니. 마치[錘]+이+니.
주115)
니니라:이르니라. 이른다. 니-[謂]+니라.
주116)
오가(五家):달마 아래 임제(臨濟), 위앙(潙仰), 조동(曺洞), 운문(雲門), 법안(法眼) 등의 다섯 갈래 선문(禪門)을 가리킨다.
주117)
나니라:나온 것이다. 나왔다. 나-[出]+니라.
주118)
든:뜻은. [義]+은.
주119)
자:갖추어져. -[備]+아.
주120)
제불(諸佛):모든 부처.
주121)
무량(無量):한량 없는.
주122)
법문(法門):부처의 교법(敎法). 부처의 교법은 중생으로 하여금 나고 죽는 고통(苦痛)의 세계를 벗어나 이상경(理想境)인 열반에 들게 하는 문(門)이라고 해서 그렇게 부른다.
주123)
묘의(妙義):불법의 묘한 뜻.
주124)
묘리(妙理):불법(佛法)이 말이나 이론, 생각 등으로 짐작할 수 없고, 절대적이며 불가사의하되, 일체에 응하는 도리라고 하여 그렇게 이른다.
주125)
미륵누각(彌勒樓閣):화엄회상(華嚴會上)에서 선재동자(善財童子)가 선지식을 찾아 미륵에 이르러, 누각의 문을 열어 주기를 청하니 미륵이 손가락을 퉁겨 문을 열었다. 선재동자가 들어가자 문이 닫혔는데, 이에 선재동자는 미륵의 누각이 한량없이 넓어서 허공과 같음을 보게된 것이다.
주126)
보현모공(普賢毛孔):선재동자가 문수사리(文殊師利)의 처소에서 삼매(三昧)를 얻은 뒤, 쉰세 번째로 보현보살(普賢菩薩)을 친견(親見)하기 위해 일심으로 정진한 결과, 사자좌(獅子座)에 앉아 있는 보현보살의 털구멍에서 광명의 구름이 피어나는 것을 보았다. 선재동자가 그 구름을 보고 크게 기뻐하므로 보현보살이 그 이마를 만져 법을 설하니 선재동자는 한량없는 삼매를 얻게 되었다.
주127)
이대:잘. 좋게. 이대[善].
주128)
드닌:든 이는. 드는 이는. 들-[入]+이(의존명사)+ㄴ(보조사).
주129)
예:사이에. [間]+예.
주130)
며:같으며.
주131)
리니:같으리니. 같을 것이니.
주132)
앗가올셔:아깝구나. 앗-[惜]+셔.
주133)
절략(節畧):줄이고 추림.
주134)
하:커서. 많아서. 하-[多]+아.
주135)
오:온전한. 오-[全]+ㄴ.
주136)
몯뎌:못하는구나. 몯-[不]++ㄴ뎌.
주137)
덕이(德異):원나라 승려. 남악 이십일세로 환산정응(皖山正凝) 선사의 법을 이었다.
주138)
져머신:젊었을. 졈-[幼]+어+이시-[有]+ㄴ.
주139)
제:제에. 때에. 제[年]+∅.
주140)
일즉:일찍. 일찍이.
주141)
녯:옛.
주142)
-로브터:-로부터.
주143)
-호:-함을. --+옴+.
주144)
셜흔나:서른 남짓. 서른 남짓한.
주145)
러니:해이더니. [載]+∅+더+니.
주146)
자:찾아서. -[尋]+아.
주147)
니르로:이르름을. 옴을. 도달함을. 니를-[到]+옴+.
주148)
오중(吳中):지금의 소주(蘇州).
주149)
휴휴선암(休休禪庵):몽산 덕이 화상이 거처했던 암자.
주150)
여러:여러[諸].
주151)
승사(勝士):정계(淨戒)를 지키는 선비. 곧, 뛰어난 수행자를 이른다.
주152)
가지로:함께.
주153)
드로매:듦에. 들-[擧]+옴+애.
주154)
대원각해(大圓覺海):사람 개개의 본성 심지, 또는 크고 둥근 깨달음의 바다.
주155)
바:바로. 바[直].
주156)
불조(佛祖):제불(諸佛)과 조사(祖師).
주157)
혜명(慧命):‘지혜’를 생명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주158)
니:이어. -[續]+어.
주159)
다옴:다함. 다-[窮]+옴.
주160)
뎃:뜻의. [志]+에+ㅅ.
주161)
리라:찰 것이다. 차리라. -[滿]+리+라.
주162)
지원(至元) 이십칠년(二十七年):원(元)나라 세조(世祖) 이십칠년, 서기 1290년이다.
책목차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