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상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상권
  • 제1 오법전의(悟法傳衣)
  • 오법전의 27
메뉴닫기 메뉴열기

오법전의 27


印宗이 聞說고 歡喜合掌야 言호 某甲의 講經은 猶如瓦礫이오 仁者의 論義 猶如眞金다 於是예 爲能剃髮야 願事爲師니라 能

육조법보단경언해 상:46ㄱ

이 遂於菩提樹下애 開東山法門니 能이 於東山애 得法야 辛苦受盡야 命似懸絲더니 今日에 得與史君官僚僧尼道俗으로 同此一會니 莫非累劫之因이며 亦是過去生中에 供養諸佛야 同種善根야 方始得聞如上頓敎得法之因니 敎是先聖所傳이라 不是惠能의 自智니 願聞先聖敎者 各令淨心야 聞了고 各自除疑면 如先代聖人야 無別리라

육조법보단경언해 상:46ㄴ

印宗이 닐오 듣고 깃거 주001)
깃거:
기뻐하여. 기뻐해서. -[歡喜]+어.
合掌 주002)
합장(合掌):
두 손바닥을 합하여 마음이 한결같음을 나타내는 인도의 인사 방법 중 하나. 주로는 불·보살에게 절을 할 때 공경하는 마음으로 두 손바닥을 합치는 인사 방법.
야 닐오 某甲 주003)
모갑(某甲):
자신을 가리킴.
의 經講호 디새 주004)
디새:
기와. 디새[瓦].
역 주005)
역:
조약돌. 조각. 역[礫].
고 주006)
고:
같고.
仁者의 주007)
:
뜻을.
議論호 주008)
-호:
-함은. -하는 것은.
眞金이 주009)
진금(眞金)이:
진금(眞金)과.
도소다 주010)
도소다:
같습니다. -[如]+도+++다.
그제 주011)
그제:
그때에.
能을 爲야 머리 갓가 주012)
갓가:
깎아. -[削]+아.
願야 셤겨 주013)
섬겨:
섬기어. 섬기-[事]+어.
스 사니라 주014)
사니라:
삼으니라. 삼았다. 삼-[爲]+니라.
能이 菩提樹下애 東山 주015)
동산(東山):
여기서는 오조(五祖)를 가리킨다.
法門 주016)
법문(法門):
중생이 불법(佛法)으로 들어가는 문(門).
을 여니 能이 東山애 法 得야 受苦외

육조법보단경언해 상:47ㄱ

요
주017)
수고(受苦)외요:
수고로움을. 수고-+욤+.
다 受야 命이 드린 주018)
드린:
드리운. 드리-[縣]+ㄴ.
주019)
실:
실과.
더니 주020)
더니:
같더니.
오나래 주021)
오나래:
오늘날에. 오늘날.
史君과 官僚와 僧尼道俗과  주022)
:
함께.
모니 주023)
모니:
모이니. 몯-[會]+니.
여러 劫 주024)
겁(劫):
매우 길고 오랜 시간. 천지가 한번 개벽한 때부터 다음 번에 개벽할 때까지의 동안.
ㅅ 因이 아닔 주025)
아닔:
아님이. 아닐[非]+ㅅ. ‘ㄹ’은 여기서 동명사어미로 쓰임.
아니며  이 過去生中에 諸佛 供養 주026)
공양(供養):
불·보살에게 음식물 등을 바치는 일.
와 주027)
-와:
-하여.
善根 주028)
선근(善根):
좋은 과보(果報)를 낳게 하는 착한 일. 또는 온갖 선(善)을 낳는 근본이 되는 것.
가지로 주029)
가지로:
한가지로. 함께.
심거 주030)
심거:
심어. -[種]+어.
반기 우흿 주031)
우흿:
위의. 위에 있는. 우ㅎ[上]+읫.
頓敎法 得혼 因을 비르서 주032)
비르서:
비로소.
드르니 주033)
드르니:
들으니. 듣-[聞]+으니.
敎 이 先聖 주034)
선성(先聖):
옛(앞) 성인(聖人).
ㅅ 傳샨 고디

육조법보단경언해 상:47ㄴ

주035)
고디라:
것이다. 바이다. 곧[所]+이+라.
주036)
이:
이것은. 이[是]+∅.
惠能의 自智 아니니 先聖敎 주037)
선성교(先聖敎):
옛(앞) 성인의 가르침.
 듣고져 願 사 各各  주038)
:
마음을.
초와# 주039)
조와:
깨끗하게 하여. 맑게 하여. 조오-[令淨]+아.
듣고 各各 疑心을 덜면 주040)
덜면:
덜면. 덜어내면. 덜-[除]+면.
先代 聖人 야 주041)
야:
같아서.
달옴 주042)
달옴:
다름이. 다-[別]+옴.
업스리라 주043)
업스리라:
없으리라. 없을 것이다.

인종(印宗)이 (내가) 설하는 것을 듣고 기뻐해서 합장(合掌)하여 말했다. “제가 경(經)을 강의하는 것은 기와[瓦] 조각과 같고, 인자(仁者)께서 뜻을 의논(議論)하는 것은 진금(眞金)과 같습니다.” 그때에 나를 위하여 머리를 깎고, 섬기기를 원하여 (나를) 스승으로 삼았다. 내가 (드디어) 보리수 아래에서 동산(東山) 법문(法門)을 열었다. 내가 동산(東山)에서 법(法)을 얻고 수고로움을 다 받아 목숨이 드리운 실과 같더니, 오늘날 사군(史君)과 관료(官僚)와 승·니·도·속(僧尼道俗)들과 함께 모이니 여러 겁(劫)의 인연이 아님이 아닌 것이다. 또 이것은 과거의 생(生) 가운데 제불(諸佛)께 공양(供養)하고, 선근(善根)을 함께 심어서 반드시 위에서와 같은 돈교(頓敎)의 법(法)을 얻은 인연을 비로소 들은 것이다. 가르침[敎]은 이것이 앞 성인(聖人)들이 전하신 것이다. 이것은 나 스스로의 지혜가 아니니, 앞 성인들의 가르침[先聖敎]을 듣고자 원하는 사람은 각각 마음을 맑게 하여 듣고, 각각 의심을 덜어내면 선대(先代)의 성인과 같아 다름이 없을 것이다.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5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깃거:기뻐하여. 기뻐해서. -[歡喜]+어.
주002)
합장(合掌):두 손바닥을 합하여 마음이 한결같음을 나타내는 인도의 인사 방법 중 하나. 주로는 불·보살에게 절을 할 때 공경하는 마음으로 두 손바닥을 합치는 인사 방법.
주003)
모갑(某甲):자신을 가리킴.
주004)
디새:기와. 디새[瓦].
주005)
역:조약돌. 조각. 역[礫].
주006)
고:같고.
주007)
:뜻을.
주008)
-호:-함은. -하는 것은.
주009)
진금(眞金)이:진금(眞金)과.
주010)
도소다:같습니다. -[如]+도+++다.
주011)
그제:그때에.
주012)
갓가:깎아. -[削]+아.
주013)
섬겨:섬기어. 섬기-[事]+어.
주014)
사니라:삼으니라. 삼았다. 삼-[爲]+니라.
주015)
동산(東山):여기서는 오조(五祖)를 가리킨다.
주016)
법문(法門):중생이 불법(佛法)으로 들어가는 문(門).
주017)
수고(受苦)외요:수고로움을. 수고-+욤+.
주018)
드린:드리운. 드리-[縣]+ㄴ.
주019)
실:실과.
주020)
더니:같더니.
주021)
오나래:오늘날에. 오늘날.
주022)
:함께.
주023)
모니:모이니. 몯-[會]+니.
주024)
겁(劫):매우 길고 오랜 시간. 천지가 한번 개벽한 때부터 다음 번에 개벽할 때까지의 동안.
주025)
아닔:아님이. 아닐[非]+ㅅ. ‘ㄹ’은 여기서 동명사어미로 쓰임.
주026)
공양(供養):불·보살에게 음식물 등을 바치는 일.
주027)
-와:-하여.
주028)
선근(善根):좋은 과보(果報)를 낳게 하는 착한 일. 또는 온갖 선(善)을 낳는 근본이 되는 것.
주029)
가지로:한가지로. 함께.
주030)
심거:심어. -[種]+어.
주031)
우흿:위의. 위에 있는. 우ㅎ[上]+읫.
주032)
비르서:비로소.
주033)
드르니:들으니. 듣-[聞]+으니.
주034)
선성(先聖):옛(앞) 성인(聖人).
주035)
고디라:것이다. 바이다. 곧[所]+이+라.
주036)
이:이것은. 이[是]+∅.
주037)
선성교(先聖敎):옛(앞) 성인의 가르침.
주038)
:마음을.
주039)
조와:깨끗하게 하여. 맑게 하여. 조오-[令淨]+아.
주040)
덜면:덜면. 덜어내면. 덜-[除]+면.
주041)
야:같아서.
주042)
달옴:다름이. 다-[別]+옴.
주043)
업스리라:없으리라. 없을 것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