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상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상권
  • 제1 오법전의(悟法傳衣)
  • 오법전의 15
메뉴닫기 메뉴열기

오법전의 15


書此偈已니 徒衆이 總驚야 無不嗟訝야 各相謂言호 奇哉라 不得以貌로 取人이로다 何得多時 使他肉身菩薩이어뇨 祖ㅣ 見衆人이 驚怪시고 恐人이 損害샤 遂將鞋야 擦了偈코 云샤 亦未見性이로다 야시 衆人이 疑息니라 次日에 祖ㅣ 潛至碓坊샤 見能이 腰

육조법보단경언해 상:26ㄴ

石舂米시고 語曰샤 求道之人은 爲法忘軀ㅣ니 當如是乎아 卽問曰샤 米熟也未이 能이 曰호 米熟久矣로 猶欠篩在다 祖ㅣ 以杖으로 擊碓三下시고 而去커시

이 偈 스니 주001)
스니:
쓰니. 스-[書]+니.
徒衆 주002)
도중(徒衆):
사람의 무리.
이 다 놀라 嗟嘆 주003)
차탄(嗟嘆):
몹시 놀라고 탄식함.
야 疑心 아니리 주004)
아니리:
아니하는 이. 아니-[不]+ㄹ(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
업서 各各 서르 주005)
서르:
서로.
닐오 奇特다 로 주006)
-로:
-로써. -으로써.
사 取티 주007)
취(取)티:
취(取)하지. 취(取)-+디.
몯리로다 주008)
몯리로다:
못할 것이로구나. 못하리로다. 몯-+ㄹ+이+로다.
엇뎨 주009)
엇뎨:
어찌.
여러 時

육조법보단경언해 상:27ㄱ

주010)
뎌:
저[他].
肉身 菩薩 주011)
육신보살(肉身菩薩):
부모가 낳은 몸으로 보살(菩薩)의 지위에 이른 사람을 말한다.
브려뇨 주012)
브려뇨:
부렸던가. 브리-[使]+어+뇨(‘라체’의 설명의문형어미).
祖ㅣ 주013)
조(祖)ㅣ:
조사(祖師)께서. ‘ㅣ’는 주격조사.
衆人이 놀라 히 너기 주014)
너기:
여기는 것을.
보시고 사미 害가 저흐샤 주015)
저흐샤:
두려워하시어. 젛-[恐]+으샤+아.
곧 신을 가져 주016)
가져:
가져다가. 가지고. 가지-[將]+어.
偈 처 주017)
처:
문질러. 비벼. -[擦]+어.
리고 주018)
리고:
버리고.
니샤  주019)
성(性):
사람이 본디부터 갖추고 있는 불변(不變)의 본질로서의 법성(法性)이나 불성(佛性)을 이르는 말.
을 보디 몯도다 주020)
몯도다:
못하는구나.
야시 주021)
야시:
하시니. 하시거늘.
衆人 주022)
중인(衆人):
뭇사람. 또는 대중(大衆).
이 疑心 그치니라 주023)
그치니라:
끊으니라. 끊은 것이다. 그치니라. 그치-[息]+니라.
. 버근 주024)
버근:
다음. 벅-[次]+은.
나래 주025)
나래:
날에. 날[日]+애.
祖ㅣ 마니 주026)
마니:
가만히. 마니[潛].
하애 주027)
방하애:
방아에. 방앗간에. 방하-[碓坊]+애.
가샤 주028)
가샤:
가시어. 이르시어.
能이 허리예 주029)
허리예:
허리에. 허리[腰]+예.
돌 지고 주030)
:
쌀을.
딘 주031)
딘:
찧는 것을. 딯-[舂]++ㄴ++ㄹ(목적격조사).
보시고 니샤 道

육조법보단경언해 상:27ㄴ

주032)
구(求):
구하는.
사 주033)
사:
사람은.
주034)
법(法):
물(物), 심(心), 선(善), 악(惡)의 모든 사상.
을 爲고 모 주035)
모:
몸을. 몸[軀]+.
닛니 주036)
닛니:
잊느니. 닛-[忘]++니.
반기 주037)
이:
이와.
녀 주038)
녀:
같으냐. -[如]+녀(‘라체’ 의문형어미).
무러 주039)
무러:
물어. 묻-[問]+어.
니샤 리 주040)
리:
쌀이. [米]+이(주격조사).
니그녀. 주041)
니그녀:
익었느냐. 닉-[熟]+으녀(‘라체’ 의문형어미).
몯녀 주042)
몯녀:
아니냐. 못하냐.
能이 오  니고미 주043)
니고미:
익음이. 닉-[熟]+옴+이.
오라 주044)
오라:
오래지만. 오래되었으되. 오라-[久]+오.
오히려 리 주045)
리:
가릴 것이. 체질이. -[篩]+ㄹ+이.
업세다 주046)
업세다:
없습니다.
祖ㅣ 막대로 하 세 번 티시고 주047)
티시고:
치시고. 티-[擊]+시+고.
니거시 주048)
니거시:
가시거늘. 가셨다.

이 게송을 쓰니 도중(徒衆)이 다 놀라서 차탄(嗟嘆)하고, 의심을 아니하는 사람이 없었다. 각각 서로 이르되, “기특하다. 겉모양[樣姿] 주049)
양자(樣姿):
겉모양. 모습.
으로 사람을 취(取)하지 못할 것이로구나. 어찌 여러 시(時)를 저 육신보살(肉身菩薩)을 부렸던가?” 조사께서 중인(衆人)이 놀라 황당히 여기는 것을 보시고 사람들이 해칠까 두려워하시어 곧 신을 가져다가 게송을 문질러 버리고 이르셨다. “또 성(性)을 보지 못하는구나.” 하시니, 대중이 의심을 끊으니라. 다음 날에 조사께서 가만히 방앗간에 이르시어 내가 허리에 돌을 지고 쌀 찧는 것을 보시고 이르시되, “도(道)를 구하는 사람은 법(法)을 위하고 몸을 잊느니 반드시 이와 같으냐?”(하시고), 곧 (다시) 물어 이르시되, “쌀이 익었느냐? 아니냐?” 내가 사뢰되, “쌀 익음이 오래지만 오히려 가릴 것이 없습니다(체질을 못하였습니다).” 조사께서 막대로 방아를 세 번 치시고 가셨다.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스니:쓰니. 스-[書]+니.
주002)
도중(徒衆):사람의 무리.
주003)
차탄(嗟嘆):몹시 놀라고 탄식함.
주004)
아니리:아니하는 이. 아니-[不]+ㄹ(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
주005)
서르:서로.
주006)
-로:-로써. -으로써.
주007)
취(取)티:취(取)하지. 취(取)-+디.
주008)
몯리로다:못할 것이로구나. 못하리로다. 몯-+ㄹ+이+로다.
주009)
엇뎨:어찌.
주010)
뎌:저[他].
주011)
육신보살(肉身菩薩):부모가 낳은 몸으로 보살(菩薩)의 지위에 이른 사람을 말한다.
주012)
브려뇨:부렸던가. 브리-[使]+어+뇨(‘라체’의 설명의문형어미).
주013)
조(祖)ㅣ:조사(祖師)께서. ‘ㅣ’는 주격조사.
주014)
너기:여기는 것을.
주015)
저흐샤:두려워하시어. 젛-[恐]+으샤+아.
주016)
가져:가져다가. 가지고. 가지-[將]+어.
주017)
처:문질러. 비벼. -[擦]+어.
주018)
리고:버리고.
주019)
성(性):사람이 본디부터 갖추고 있는 불변(不變)의 본질로서의 법성(法性)이나 불성(佛性)을 이르는 말.
주020)
몯도다:못하는구나.
주021)
야시:하시니. 하시거늘.
주022)
중인(衆人):뭇사람. 또는 대중(大衆).
주023)
그치니라:끊으니라. 끊은 것이다. 그치니라. 그치-[息]+니라.
주024)
버근:다음. 벅-[次]+은.
주025)
나래:날에. 날[日]+애.
주026)
마니:가만히. 마니[潛].
주027)
방하애:방아에. 방앗간에. 방하-[碓坊]+애.
주028)
가샤:가시어. 이르시어.
주029)
허리예:허리에. 허리[腰]+예.
주030)
:쌀을.
주031)
딘:찧는 것을. 딯-[舂]++ㄴ++ㄹ(목적격조사).
주032)
구(求):구하는.
주033)
사:사람은.
주034)
법(法):물(物), 심(心), 선(善), 악(惡)의 모든 사상.
주035)
모:몸을. 몸[軀]+.
주036)
닛니:잊느니. 닛-[忘]++니.
주037)
이:이와.
주038)
녀:같으냐. -[如]+녀(‘라체’ 의문형어미).
주039)
무러:물어. 묻-[問]+어.
주040)
리:쌀이. [米]+이(주격조사).
주041)
니그녀:익었느냐. 닉-[熟]+으녀(‘라체’ 의문형어미).
주042)
몯녀:아니냐. 못하냐.
주043)
니고미:익음이. 닉-[熟]+옴+이.
주044)
오라:오래지만. 오래되었으되. 오라-[久]+오.
주045)
리:가릴 것이. 체질이. -[篩]+ㄹ+이.
주046)
업세다:없습니다.
주047)
티시고:치시고. 티-[擊]+시+고.
주048)
니거시:가시거늘. 가셨다.
주049)
양자(樣姿):겉모양. 모습.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