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하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하권
  • 제10 부촉유통(付囑流通)
  • 부록2
메뉴닫기 메뉴열기

부록2


[부록2]* 주001)
* 위의 [부록2]는 덕이본(德異本)인 백운산(白雲山) 병풍암본(屛風庵本)에 실려 있던 후기(後記)를 언해한 것이다.
宋太祖ㅣ 開國之初애 王師ㅣ 平南海제 劉氏殘兵이 作梗야 師之塔廟ㅣ 鞠爲煨燼이로 而眞身은 爲守塔僧의 保護야 一無所損

육조법보단경언해 하:89ㄱ

이리[*러]라 尋有制興修야 功未竟이러니 會/ 宋太宗이 卽位샤 留心禪門샤 詔新斯塔七層시고 加諡 大鑑眞空禪師ㅣ라 시고 太平興國之塔이라시다/ 宋仁宗天聖十年에 具安輿샤 迎師眞身과 及衣鉢샤 入大內샤 供養시고 加諡 大鑑眞空普覺禪師ㅣ라 시다/ 宋神宗이 加諡 大鑑眞空普覺圓明禪師

육조법보단경언해 하:89ㄴ

ㅣ라 시다 本州復興梵刹事蹟은 元獻公晏殊의 所作碑記예 具載니라 六朝禪師ㅣ 自唐開元元年癸丑歲예 示寂시니 至/太元至元二十七年庚寅歲야 已得五百七十八年矣로다
*成化十五年己亥五月日白雲山屛風庵開板

宋太祖ㅣ 開國실 처믜 주002)
처믜:
처음에. 처[初]+의(처소부사격조사). ‘처[初]’은 특이처격어.
나랏 주003)
나랏:
나라의.
兵師ㅣ 南海 平올 제 주004)
평(平)올 제:
평정(平定)시킬 때에. ‘-올’은 ‘-+ㅣ오(사동접미사)+ㄹ(관형사형어미)’로 분석된다.
劉氏의 殘兵이 作梗

육조법보단경언해 하:90ㄱ

주005)
작경(作梗)야:
작경(作梗)하여. 항거(抗拒)하여.
師ㅅ 塔廟ㅣ 장야 주006)
장야:
마음대로 하여.자의(恣意)로 하여. -[恣]+야.
듀 주007)
듀:
없어지되. 떨어지되. 디-[煨燼]+오/우.
眞身은 塔 딕흰 주008)
딕흰:
지킨. 딕희-[守]+ㄴ(관형사형어미).
즁의 保護ㅣ 외야 주009)
외야:
되어. 외-[爲]+야.
나토 주010)
나토:
하나도. 나ㅎ[一]+도(보조사).
損 주011)
손(損):
손상(損傷) 당한 데가. ‘-’는 ‘-+ㄴ(관형사형어미)++∅(주격조사).
업더라 주012)
업더라:
없었다. 없-[無]+더+라.
이고 주013)
이고:
이윽고. 이고[尋](부사).
고티게 주014)
고티게:
고치게. 고티-[修]+게(보조적 연결어미).
샨 주015)
샨:
하신. -+샤+오/우+ㄴ(관형사형어미).
法이 이셔 功을 몯 찻더니 주016)
찻더니:
마치었는데. 마치었더니. -[竟]+아#잇-[有]+더+니.
마초아 주017)
마초아:
마침. 마초아[會](부사).
/ 宋太宗이 卽位샤 禪門에 留心샤 詔書샤 이 塔 七層을 새로 시고 諡 大

육조법보단경언해 하:90ㄴ

鑑眞空禪師ㅣ라 더시고 주018)
더시고:
더하시고. 더-[加]+시+고.
太平興國塔이라 시다 주019)
시다:
하시다. 하셨다.
/ 宋 仁宗 天聖十年에 安輿 초샤 주020)
초샤:
갖추시어. 초-[具]+샤+아.
師ㅅ 眞身과  衣鉢을 맏오샤 주021)
맏오샤:
맞으시어. 모시어. 맏-[迎]+샤+아.
大內예 주022)
대내(大內)예:
대전(大殿)에.
드리샤 주023)
드리샤:
들이시어. 들게 하시어. 드리-[使入]+샤+아.
供養시고/ 諡 大覺[鑑]眞空普覺禪師ㅣ라 더시다 주024)
더시다:
더하셨다.
/

육조법보단경언해 하:91ㄱ

宋 神宗이 諡 大鑑眞空普覺圓明禪師ㅣ라 더시다 本州ㅣ 梵刹을 復興욘 주025)
부흥(復興)욘:
부흥(復興)시킨.
事蹟은 元獻公 晏殊의 주026)
안수(晏殊)의:
안수(晏殊)가. 관형절 주어이므로 주격 자리에 관형격 표지가 왔다.
지 주027)
지:
지은. -[作]+오/우+ㄴ(관형사형어미).
碑記예 주028)
비기(碑記)예:
비문(碑文)의 기록(記錄)에.
초 주029)
초:
갖추어. 초[具].
시러 주030)
시러:
실어. 실려. 싣-[載]+어.
잇니라 주031)
잇니라:
있느니라. 있다. 잇-[有]+(직설법 선어말어미)+니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六朝禪師ㅣ 唐 開元 元年 癸丑歲예 示寂 주032)
시적(示寂):
고승(高僧)의 죽음을 부처의 입멸(入滅)에 견주어 이르는 말이다.
시니/

육조법보단경언해 하:91ㄴ

大元 주033)
대원(大元):
원(元)나라.
至元 주034)
지원(至元):
원(元)나라 세조(世祖)의 연호.
二十七年 庚寅歲 주035)
지원(至元) 이십칠년(二十七年) 경인세(庚寅歲):
서기 1290년.
예 니르러 마 五百七十八年이로다

송나라 태조께서 개국하실 처음에 나라의 병사(兵師)가 남해(南海)를 평정시킬 때, 유씨(劉氏)의 잔병(殘兵)이 작경(作梗 : 항거)하는 중에 조사(祖師)의 탑묘(塔廟)가 마음대로 하여 〈불타〉 없어졌다. (그러나) 진신(眞身)은 탑을 지킨 중의 보호(保護)가 되어 하나도 손상 당한 데가 없었다. 이윽고 고치게 하는 법(法)이 생겨셔(있어서) 공(功)을 못 마치었는데, 마침/ 송의 태조가 즉위하여 선문(禪門)에 뜻을 두[留心]어 조서(詔書)해서 이 탑 칠층(七層)을 새로 하셨다. 시호(諡號)를 ‘대감진공선사(大鑑眞空禪師)’라 더하고, 〈탑을〉 태평흥국탑(太平興國塔)이라 하셨다./ 송나라 인종(仁宗) 천성(天聖) 십 년에 안여(安輿)를 갖추어 조사(祖師)의 진신과 또 의발을 맞아(모셔서) 대전(大殿, 大內)에 들이어 공양하시고,/ 시호를 ‘대감진공보각선사(大鑑眞空普覺禪師)’라 더하셨다./ 송(宋) 신종(神宗)이 시호를 ‘대감진공보각원명선사(大鑑眞空普覺圓明禪師)’라 더하셨다. 본주(本州)의 범찰(梵刹)을 부흥(復興)시킨 사적(事蹟)은 원헌공(元獻公) 안수(晏殊)가 지은 비문의 기록[碑記]에 갖추어 실려 있다. 육조선사(六朝禪師)께서 당(唐) 개원(開元) 원년 계축세(癸丑歲 : AD.713)에 시적(示寂)하시니,/ 대원(大元) 지원(至元) 이십칠 년 경인세(庚寅歲 : AD.1290)에 이르러 이미 오백칠십팔 년이도다. 성화 주036)
성화(成化):
명(明)나라 헌종(憲宗)의 연호.
(成化 : 명나라 헌종의 연호) 십오년(十五年) 기해(己亥 : 1479) 주037)
성화(成化) 십오년(十五年) 기해(己亥):
서기 1479년(조선 성종 10년).
오월일(五月日) 백운산(白雲山) 병풍암(屛風庵) 개판(開板)

嘉靖 三十年 辛亥 暮春日 全州府地 淸〈凉〉山 圓岩寺 開板

가정 삼십년(1551년) 신해 모춘일 전주부지 청량산 원암사 개판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7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 위의 [부록2]는 덕이본(德異本)인 백운산(白雲山) 병풍암본(屛風庵本)에 실려 있던 후기(後記)를 언해한 것이다.
주002)
처믜:처음에. 처[初]+의(처소부사격조사). ‘처[初]’은 특이처격어.
주003)
나랏:나라의.
주004)
평(平)올 제:평정(平定)시킬 때에. ‘-올’은 ‘-+ㅣ오(사동접미사)+ㄹ(관형사형어미)’로 분석된다.
주005)
작경(作梗)야:작경(作梗)하여. 항거(抗拒)하여.
주006)
장야:마음대로 하여.자의(恣意)로 하여. -[恣]+야.
주007)
듀:없어지되. 떨어지되. 디-[煨燼]+오/우.
주008)
딕흰:지킨. 딕희-[守]+ㄴ(관형사형어미).
주009)
외야:되어. 외-[爲]+야.
주010)
나토:하나도. 나ㅎ[一]+도(보조사).
주011)
손(損):손상(損傷) 당한 데가. ‘-’는 ‘-+ㄴ(관형사형어미)++∅(주격조사).
주012)
업더라:없었다. 없-[無]+더+라.
주013)
이고:이윽고. 이고[尋](부사).
주014)
고티게:고치게. 고티-[修]+게(보조적 연결어미).
주015)
샨:하신. -+샤+오/우+ㄴ(관형사형어미).
주016)
찻더니:마치었는데. 마치었더니. -[竟]+아#잇-[有]+더+니.
주017)
마초아:마침. 마초아[會](부사).
주018)
더시고:더하시고. 더-[加]+시+고.
주019)
시다:하시다. 하셨다.
주020)
초샤:갖추시어. 초-[具]+샤+아.
주021)
맏오샤:맞으시어. 모시어. 맏-[迎]+샤+아.
주022)
대내(大內)예:대전(大殿)에.
주023)
드리샤:들이시어. 들게 하시어. 드리-[使入]+샤+아.
주024)
더시다:더하셨다.
주025)
부흥(復興)욘:부흥(復興)시킨.
주026)
안수(晏殊)의:안수(晏殊)가. 관형절 주어이므로 주격 자리에 관형격 표지가 왔다.
주027)
지:지은. -[作]+오/우+ㄴ(관형사형어미).
주028)
비기(碑記)예:비문(碑文)의 기록(記錄)에.
주029)
초:갖추어. 초[具].
주030)
시러:실어. 실려. 싣-[載]+어.
주031)
잇니라:있느니라. 있다. 잇-[有]+(직설법 선어말어미)+니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주032)
시적(示寂):고승(高僧)의 죽음을 부처의 입멸(入滅)에 견주어 이르는 말이다.
주033)
대원(大元):원(元)나라.
주034)
지원(至元):원(元)나라 세조(世祖)의 연호.
주035)
지원(至元) 이십칠년(二十七年) 경인세(庚寅歲):서기 1290년.
주036)
성화(成化):명(明)나라 헌종(憲宗)의 연호.
주037)
성화(成化) 십오년(十五年) 기해(己亥):서기 1479년(조선 성종 10년).
책목차이전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