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하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하권
  • 제10 부촉유통(付囑流通)
  • 부촉유통 8
메뉴닫기 메뉴열기

부촉유통 8


육조법보단경언해 하:64ㄴ

大師ㅣ 七月八日에 忽謂門人曰샤 吾ㅣ 欲歸新州노니 汝等이 速理舟檝라 大衆이 哀留甚堅커 師曰샤 諸佛出現샤 猶示涅槃시니 有來면 必去ㅣ 理亦常然이니라 吾此形骸 歸必有所니라 衆曰호 師從此去샤 早晩애 可回시리고 師曰샤디 葉落歸根면 來時無口ㅣ니라 又問曰호 正法眼藏은 傳付何人이고 師曰샤 有道者ㅣ得이오 無心者

육조법보단경언해 하:65ㄱ

ㅣ通이니라

大師ㅣ 七月 八日에 믄득 주001)
믄득:
문득. 홀연. 믄득[忽](부사).
門人려 주002)
문인(門人)려:
문인(門人)더러. 문인(門人)에게. ‘려’는 여격조사.
니샤 주003)
내:
내가. 나-[吾]+ㅣ(주격조사). ‘·내[吾]’는 거성임.
新州ㅣ 주004)
신주ㅣ:
신주(新州)에.
가고져 주005)
가고져:
가고자. 돌아가고자. 가-[歸]+고져(의도형어미).
노니 주006)
노니:
하느니. -+(직설법 선어말어미)+오/우(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너희히 주007)
너희히:
너희들이.
리 주008)
리:
빨리. -[速]+이(부사파생접미사).
 주009)
:
배를. [舟檝]+(목적격조사).
고티라 주010)
고티라:
고쳐라. 고치라. 고티-[理]+라(‘라’체의 명령형 종결어미).
大衆이 슬허 주011)
슬허:
슬퍼하여. 슳-[哀]+어.
머믈오 주012)
머믈오:
머무름을. 머물 것을. 머믈-[留]+옴/움(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甚히 주013)
심(甚)히:
심(甚)히. 깊이.
구티거 주014)
구티거:
굳히거늘. 굳히므로. 굳-[堅]+히(사동접미사)+거(이유를 나타내는 연결어미).
師ㅣ 니샤 諸佛이 주015)
제불(諸佛)이:
모든 부처님이.
出現샤 주016)
출현(出現)샤:
출현(出現)하시어. 출현(出現)하셨다가. ‘-샤’는 ‘-+샤+아(연결어미).
오히려 涅槃 주017)
열반(涅槃):
일체의 번뇌에서 해탈(解脫)한 불생 불멸(不生不滅)의 높은 경지. 특히 부처나 고승(高僧)의 입적(入寂)을 이르는 말. 해탈(解脫).
뵈시니 주018)
뵈시니:
보이시느니. 보-[示]+ㅣ(사동접미사)+시+(직설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오미 주019)
오미:
옴이. 오는 일이. 오-[來]+옴/움+이(주격조사). ‘·오-(거성)’에 명사형어미 ‘옴/움’이 통합되면 ‘-오/우-’는 나타나지 않고 성조만 상성[:옴]으로 바뀐다.
이시면 주020)
이시면:
있으면. 이시-[有]+면.
반기 주021)
반기:
반드시. 마땅히.
가미 주022)
가미:
감이. 가는 일이. 가-[去]+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가-[去](평성)’에 명사형어미 ‘옴/움’이 통합되어 ‘-오/우-’는 보이지 않고 ‘:감’의 성조만 상성으로 바뀌었다.
理ㅣ 주023)
이(理)ㅣ:
이치(理致)가. ‘ㅣ’는 주격조사.
주024)
:
또한. [亦](부사).

육조법보단경언해 하:65ㄴ

덛니라
주025)
덛덛니라:
떳떳하니라. 떳떳한 것이다. 덛덛-[常然]+니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주026)
내:
나의. 나[吾]+ㅣ(관형격조사). ‘내[吾]’는 평성.
주027)
이:
이. 이[此](관형사).
얼굴 주028)
얼굴:
형체(形體). 몸. 얼굴[形].
 주029)
:
뼈는. [骸]+(보조사).
도라가미 주030)
도라가미:
돌아감이. 돌아감에. 돌-[回]+아#가-[歸]+옴/움(명사형어미)+이.
반기 주031)
반기:
반드시. 반기[必](부사).
고디 주032)
고디:
곳이. 장소가. 곧[所]+이(주격조사).
잇니라 주033)
잇니라:
있느니라. 있다. 잇-[有]+(직설법 선어말어미)+니라(평서형 종결어미).
衆이 주034)
중(衆)이:
대중(大衆)이.
오 주035)
오:
사뢰되. 여쭙되. -[曰]+오/우(설명형 연결어미).
師ㅣ 주036)
사(師)ㅣ:
조사(祖師)께서.
이 브터 주037)
이 브터:
이로부터. 이[此]+#븥-[從]+어. ‘-로부터’는 ‘ 브터’가 재구조화한 것임.
가샤 주038)
가샤:
가시어. 가셔서. 가-[去]+샤(주어 높임의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어느 주039)
어느:
어느. 어느[何](관형사).
주040)
제:
때에. 제[時]+∅(처소부사격조사).
도라오시리고 주041)
도라오시리고:
돌아오시겠습니까. 돌아오시는 것입니까. 돌-[回]+아#오-[來]+시+리(추측법 선어말어미)+(청자 높임의 선어말어미)+ㅅ(청자 확인의 선어말어미)+고(의문형어미). ‘-고’는 ‘쇼셔’체의 설명 의문형어미.
師ㅣ 니샤 주042)
니샤:
이르시되. 말씀하시되. 니-[曰]+샤+오/우.
니피 주043)
니피:
잎이. 닢[葉]+이(주격조사).
디여 주044)
디여:
떨어져. 디-[落]+어(연결어미).
불휘예 주045)
불휘예:
뿌리에. 불휘[根]+예(처소부사격조사).
가면 주046)
가면:
가면. 돌아가면. 가-[歸]+면.
오미 주047)
오미:
옴이. 오는 일이.
업스니라 주048)
업스니라:
없느니라. 없-[無]+으니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묻오 주049)
묻오:
묻되. 여쭙되. 묻-[問]+(겸양법 선어말어미)+오/우(설명형어미).
正法 眼藏 주050)
정법 안장(正法眼藏):
선가(禪家)에서 교외별전(敎外別傳)의 심인(心印)으로 삼는 것, 곧 청정 법안(淸淨法眼)을 이른다.
은 어느 사게 주051)
사게:
사람에게. 사[人]+게(여격조사).
傳야 주052)
전(傳)야:
전(傳)하여.
맛디시리고 주053)
맛디시리고:
맡기시겠습니까. 부치시겠습니까. -[付]+이(사동접미사)+시+리++ㅅ+고. ‘-고’는 ‘쇼셔’체의 설명의문형어미.
師ㅣ 니샤 주054)
도(道):
종교상으로 근본(根本)이 되는 뜻, 또는 깊이 깨달은 지경.
잇니 주055)
잇니:
있는 이가. 잇-[有]+#이[者]+∅(주격조사).
得고 주056)
득(得)고:
득(得)하고. 얻고.
 주057)
:
마음.
업스니 주058)
업스니:
없는 이가. 없-[無]+은(관형사형어미)#이[者]+∅(주격조사).
通니라 주059)
통(通)니라:
통(通)하니라. 통(通)한다.

대사(大師)께서 칠월 팔일에 문득 문인(門人)에게 말씀하셨다. “나는 신주(新州)에 가고자 하니 너희들이 빨리 배를 고쳐라.” 〈이에〉 대중(大衆)이 슬퍼하여 머물 것을 심히 굳히므로 대사께서 말씀하셨다. “제불(諸佛)이 출현(出現)하시어(출현하셨다가) 오히려 열반(涅槃)을 보이시느니, 옴이 있으면 마땅히 가는 것이 이치(理致)가 또한 떳떳한 것이다. 나의 이 이 얼굴[몸] 뼈는 돌아감에 반드시 곳이 있느니라.” 대중(大衆)이 여쭈었다. “대사께서 이로부터 가셔서 어느 때에 돌아오시겠습니까?” 대사께서 말씀하셨다. “잎이 떨어져 뿌리에 가면 옴이 없느니라.” 또 여쭈었다. “정법안장(正法眼藏)은 어느 사람에게 전(傳)하여 맡기시겠습니까?” 대사께서 말씀하셨다. “도(道) 있는 이가 얻고, 마음 없는 이가 통(通)하니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믄득:문득. 홀연. 믄득[忽](부사).
주002)
문인(門人)려:문인(門人)더러. 문인(門人)에게. ‘려’는 여격조사.
주003)
내:내가. 나-[吾]+ㅣ(주격조사). ‘·내[吾]’는 거성임.
주004)
신주ㅣ:신주(新州)에.
주005)
가고져:가고자. 돌아가고자. 가-[歸]+고져(의도형어미).
주006)
노니:하느니. -+(직설법 선어말어미)+오/우(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주007)
너희히:너희들이.
주008)
리:빨리. -[速]+이(부사파생접미사).
주009)
:배를. [舟檝]+(목적격조사).
주010)
고티라:고쳐라. 고치라. 고티-[理]+라(‘라’체의 명령형 종결어미).
주011)
슬허:슬퍼하여. 슳-[哀]+어.
주012)
머믈오:머무름을. 머물 것을. 머믈-[留]+옴/움(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주013)
심(甚)히:심(甚)히. 깊이.
주014)
구티거:굳히거늘. 굳히므로. 굳-[堅]+히(사동접미사)+거(이유를 나타내는 연결어미).
주015)
제불(諸佛)이:모든 부처님이.
주016)
출현(出現)샤:출현(出現)하시어. 출현(出現)하셨다가. ‘-샤’는 ‘-+샤+아(연결어미).
주017)
열반(涅槃):일체의 번뇌에서 해탈(解脫)한 불생 불멸(不生不滅)의 높은 경지. 특히 부처나 고승(高僧)의 입적(入寂)을 이르는 말. 해탈(解脫).
주018)
뵈시니:보이시느니. 보-[示]+ㅣ(사동접미사)+시+(직설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주019)
오미:옴이. 오는 일이. 오-[來]+옴/움+이(주격조사). ‘·오-(거성)’에 명사형어미 ‘옴/움’이 통합되면 ‘-오/우-’는 나타나지 않고 성조만 상성[:옴]으로 바뀐다.
주020)
이시면:있으면. 이시-[有]+면.
주021)
반기:반드시. 마땅히.
주022)
가미:감이. 가는 일이. 가-[去]+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가-[去](평성)’에 명사형어미 ‘옴/움’이 통합되어 ‘-오/우-’는 보이지 않고 ‘:감’의 성조만 상성으로 바뀌었다.
주023)
이(理)ㅣ:이치(理致)가. ‘ㅣ’는 주격조사.
주024)
:또한. [亦](부사).
주025)
덛덛니라:떳떳하니라. 떳떳한 것이다. 덛덛-[常然]+니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주026)
내:나의. 나[吾]+ㅣ(관형격조사). ‘내[吾]’는 평성.
주027)
이:이. 이[此](관형사).
주028)
얼굴:형체(形體). 몸. 얼굴[形].
주029)
:뼈는. [骸]+(보조사).
주030)
도라가미:돌아감이. 돌아감에. 돌-[回]+아#가-[歸]+옴/움(명사형어미)+이.
주031)
반기:반드시. 반기[必](부사).
주032)
고디:곳이. 장소가. 곧[所]+이(주격조사).
주033)
잇니라:있느니라. 있다. 잇-[有]+(직설법 선어말어미)+니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34)
중(衆)이:대중(大衆)이.
주035)
오:사뢰되. 여쭙되. -[曰]+오/우(설명형 연결어미).
주036)
사(師)ㅣ:조사(祖師)께서.
주037)
이 브터:이로부터. 이[此]+#븥-[從]+어. ‘-로부터’는 ‘ 브터’가 재구조화한 것임.
주038)
가샤:가시어. 가셔서. 가-[去]+샤(주어 높임의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주039)
어느:어느. 어느[何](관형사).
주040)
제:때에. 제[時]+∅(처소부사격조사).
주041)
도라오시리고:돌아오시겠습니까. 돌아오시는 것입니까. 돌-[回]+아#오-[來]+시+리(추측법 선어말어미)+(청자 높임의 선어말어미)+ㅅ(청자 확인의 선어말어미)+고(의문형어미). ‘-고’는 ‘쇼셔’체의 설명 의문형어미.
주042)
니샤:이르시되. 말씀하시되. 니-[曰]+샤+오/우.
주043)
니피:잎이. 닢[葉]+이(주격조사).
주044)
디여:떨어져. 디-[落]+어(연결어미).
주045)
불휘예:뿌리에. 불휘[根]+예(처소부사격조사).
주046)
가면:가면. 돌아가면. 가-[歸]+면.
주047)
오미:옴이. 오는 일이.
주048)
업스니라:없느니라. 없-[無]+으니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주049)
묻오:묻되. 여쭙되. 묻-[問]+(겸양법 선어말어미)+오/우(설명형어미).
주050)
정법 안장(正法眼藏):선가(禪家)에서 교외별전(敎外別傳)의 심인(心印)으로 삼는 것, 곧 청정 법안(淸淨法眼)을 이른다.
주051)
사게:사람에게. 사[人]+게(여격조사).
주052)
전(傳)야:전(傳)하여.
주053)
맛디시리고:맡기시겠습니까. 부치시겠습니까. -[付]+이(사동접미사)+시+리++ㅅ+고. ‘-고’는 ‘쇼셔’체의 설명의문형어미.
주054)
도(道):종교상으로 근본(根本)이 되는 뜻, 또는 깊이 깨달은 지경.
주055)
잇니:있는 이가. 잇-[有]+#이[者]+∅(주격조사).
주056)
득(得)고:득(得)하고. 얻고.
주057)
:마음.
주058)
업스니:없는 이가. 없-[無]+은(관형사형어미)#이[者]+∅(주격조사).
주059)
통(通)니라:통(通)하니라. 통(通)한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