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상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상권
  • 제2 석공덕정토(釋功德淨土)
  • 석공덕정토 2
메뉴닫기 메뉴열기

석공덕정토 2


육조법보단경언해 상:86ㄴ

功德은 在法身中고 不在修福니라 師ㅣ 又曰샤 見性是功이오 平等是德이니 念念에 無滯야 見本性眞實妙用이 名爲功德이니라 內心謙下ㅣ 是功이오 外行於禮ㅣ 是德이며 自性이 建立萬法이 是功이오 心體ㅣ 離念이 是德이며 不離自性이 是功이오 應用無染이 是德이니 若覓功德法身인댄 但依此야 作면 是眞功德이니라

육조법보단경언해 상:87ㄱ

功德은 法身 주001)
법신(法身):
부처가 설한 정법(正法).
中에 잇고 福 닷고매 주002)
닷고매:
닦음에. -[修]+옴+애.
잇디 아니니라 師ㅣ  니샤 見性이 이 功이오 平等이 이 德이니 念마다 거리 주003)
거리:
걸림이. 거리-[滯]+옴.
업서 本性 주004)
본성(本性):
타고난 성품, 또는 본디의 성질.
眞實 妙用을 녜 보미 주005)
보미:
봄이. 보는 것이. 명사형어미가 통합된 ‘:봄’은 상성으로 성조 변동이 수반되었음.
일후미 功德이니라 주006)
안:
안의. 안[內].
 주007)
:
마음을.
謙讓야 호미 주008)
호미:
나직하게 함이. +[謙下]+옴+이.
이 功이오 밧긔 주009)
밧긔:
밖에. [外]+의(처소부사격조사).
禮 行호미 이 德이며 自性이 萬

육조법보단경언해 상:87ㄴ

셰요미 주010)
셰요미:
세움이. 셔-[建立]+ㅣ(사동접미사)+욤+이.
功이오 心體 주011)
심체(心體):
마음의 본 바탕.
ㅣ 念 여희요미 주012)
여희요미:
떠남이. 떠나는 것이. 여희-[離]+욤+이.
이 德이며 自性 여희디 아니호미 주013)
아니호미:
아니함이. 아니하는 것이.
이 功이오 應用애 믈드룸 주014)
믈드룸:
물듦. 믈들-[染]+움.
업소미 이 德이니 다가 功德 法身中을 求홀딘댄 주015)
-홀딘댄:
-할진댄. -할 것인즉.
오직 이 브터 주016)
브터:
의지하여. 븥-[依]+어.
지면 주017)
지면:
지으면. -[作]+으면.
이 眞實ㅅ 功德이니라

공덕(功德)은 법신(法身)의 가운데에 있고 복(福)을 닦음에 있지 아니하니라.” 대사께서 또 이르셨다. “견성(見性)이 이것이 공(功)이고, 평등(平等)이 이것이 덕(德)이니 생각마다 걸림이 없어 본성(本性)의 진실하고 묘한 작용[眞實 妙用]을 언제나 보는 것이 이름이 공덕이니라. 안의 마음을 겸양하여 나직하게 함이 이것이 공(功)이고, 밖에 예(禮)를 행함이 이것이 덕(德)이며, 자성(自性)이 만법(萬法)을 세움이 이것이 공(功)이고, 심체(心體)가 생각을 떠나는 것이 이것이 덕(德)이며, 자성(自性)을 떠나지 아니하는 것이 이것이 공(功)이고, 사물에 응해 써되[應用] 물듦 없음이 이것이 덕(德)이다. 만약 공덕(功德) 법신(法身)을 구할진댄 오직 이를 의지하여 지으면 이것이 진실의 공덕이니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법신(法身):부처가 설한 정법(正法).
주002)
닷고매:닦음에. -[修]+옴+애.
주003)
거리:걸림이. 거리-[滯]+옴.
주004)
본성(本性):타고난 성품, 또는 본디의 성질.
주005)
보미:봄이. 보는 것이. 명사형어미가 통합된 ‘:봄’은 상성으로 성조 변동이 수반되었음.
주006)
안:안의. 안[內].
주007)
:마음을.
주008)
호미:나직하게 함이. +[謙下]+옴+이.
주009)
밧긔:밖에. [外]+의(처소부사격조사).
주010)
셰요미:세움이. 셔-[建立]+ㅣ(사동접미사)+욤+이.
주011)
심체(心體):마음의 본 바탕.
주012)
여희요미:떠남이. 떠나는 것이. 여희-[離]+욤+이.
주013)
아니호미:아니함이. 아니하는 것이.
주014)
믈드룸:물듦. 믈들-[染]+움.
주015)
-홀딘댄:-할진댄. -할 것인즉.
주016)
브터:의지하여. 븥-[依]+어.
주017)
지면:지으면. -[作]+으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