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상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상권
  • 제1 오법전의(悟法傳衣)
  • 오법전의 48
메뉴닫기 메뉴열기

오법전의 48


師ㅣ 復曰샤 今於大梵寺애 說此頓敎노니 普願法界衆生이 言下애 見性成佛이어다 時예 韋史君이 與官僚道俗과 聞師의 所說고 無不省悟야 一時作禮고 皆嘆善哉

육조법보단경언해 상:83ㄱ

라 何期嶺南애 有佛出世리오

師ㅣ  니샤 이제 大梵寺애 이 頓敎 니노니 주001)
니노니:
이르느니. 설(說)하느니. 니-[說]++오+니.
너비 願 주002)
원(願):
원하는 것은.
法界 주003)
법계(法界):
일체 모든 법의 체성(體性)이 되는 것[眞如], 또는 불법의 세계(범위).
衆生이 言下애 見性야 부텨 주004)
부텨:
부처.
외욜디어다 주005)
외욜디어다:
될 지어다. 될 것이다. 외-[成]+요+ㄹ디어다.
그 주006)
그:
그때에.
韋史君이 官僚와 道俗과 師의 니샤 주007)
니샤:
이르심을.
듣고 주008)
듣고:
듣고. 듣-[聞]++고.
라 주009)
라:
깨달아. -[省悟]+아.
아디 주010)
아디:
알지.
아니니 주011)
아니니:
아니한 이가. 아니-+ㄴ+이(의존명사)+∅.
업서 주012)
업서:
없어. 없-[無]+어.
 주013)
:
함께.
禮數 주014)
예수(禮數):
공경하는 뜻을 몸으로 표현하는 형식. 합장하여 머리를 숙이고 경건하게 절하는 것을 이른다.
고 주015)
-고:
-하고.
다 嗟

육조법보단경언해 상:83ㄴ

嘆야 됴실셔 주016)
됴실셔:
좋으십니다. 둏-[善]+시+ㄹ셔(감탄형종결어미).
엇뎨 嶺南애 부톄 世예 나샤 주017)
나샤:
나오심을. 나오실 것을. 나-[出]+샤+옴+.
期約리오

대사께서 또 이르셨다. “이제 대범사(大梵寺)에서 이 돈교(頓敎)를 설하느니, 널리 원하는 것은 법계(法界)의 중생이 언하(言下)에 견성(見性)하여 부처가 될지어다.” 그때에 위사군(韋史君)이 관료(官僚)와 도속(道俗) 등과 대사의 이르심[說法]을 듣고, 깨달아 알지 아니하는 이가 없어 함께 절하고 다 차탄(嗟嘆)하였다. “좋으십니다. 어찌 영남에서 부처님이 세상에 나오실 것을 생각[期約]이나 했으리오?”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니노니:이르느니. 설(說)하느니. 니-[說]++오+니.
주002)
원(願):원하는 것은.
주003)
법계(法界):일체 모든 법의 체성(體性)이 되는 것[眞如], 또는 불법의 세계(범위).
주004)
부텨:부처.
주005)
외욜디어다:될 지어다. 될 것이다. 외-[成]+요+ㄹ디어다.
주006)
그:그때에.
주007)
니샤:이르심을.
주008)
듣고:듣고. 듣-[聞]++고.
주009)
라:깨달아. -[省悟]+아.
주010)
아디:알지.
주011)
아니니:아니한 이가. 아니-+ㄴ+이(의존명사)+∅.
주012)
업서:없어. 없-[無]+어.
주013)
:함께.
주014)
예수(禮數):공경하는 뜻을 몸으로 표현하는 형식. 합장하여 머리를 숙이고 경건하게 절하는 것을 이른다.
주015)
-고:-하고.
주016)
됴실셔:좋으십니다. 둏-[善]+시+ㄹ셔(감탄형종결어미).
주017)
나샤:나오심을. 나오실 것을. 나-[出]+샤+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