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상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상권
  • 제1 오법전의(悟法傳衣)
  • 오법전의 5
메뉴닫기 메뉴열기

오법전의 5


能이 退至後院호니 有一行者ㅣ 差能야 破柴踏碓라 야 經八餘月호니 祖ㅣ 一日엔 見能曰샤 吾ㅣ 思汝之見이 可用호 恐有惡人이 害汝야 遂不與汝言노니 知之否이 能이 曰호 弟子도 亦知師意야 不敢行至堂前노다 令人으로 不覺시고 祖ㅣ 一日엔 喚諸門人야 總來라 吾ㅣ 向汝야 說호리라 世人이 生死

육조법보단경언해 상:9ㄱ

事大니 汝等이 終日只求福田고 不求出離生死苦海니 自性을 若迷면 福何可救ㅣ리오 汝等이 各去야 自看智慧야 取自本心般若之性야 各作一偈야 來呈吾看라 若悟大意면 付汝衣法야 爲第六代祖호리니 火急速去야 不得遲滯라 思量면 卽不中用이니라 見性之人은 言下애 須見호리니 若如此者 輪刀上陣에도 亦得見之리라 〇【古德이 云호 譬如輪刀上陣야 不

육조법보단경언해 상:9ㄴ

問如何若何ㅣ라니 此 喩得底人은 見機而作이라 不在言句也ㅣ니라】

能이 믈러 주001)
믈러:
물러나. 므르-[退]+어.
後院에 가니  行者 주002)
행자(行者):
수행자. 출가 하였으나 아직 계(戒)를 받지 않은 이.
ㅣ 能을 시겨 주003)
시겨:
시켜. 시기-[差]+어.
주004)
섭:
섶나무. 땔나무를. 섭[柴].
리며 주005)
리며:
때리며. 쪼개며. 리-[破]+며.
하 주006)
방하:
방아. 방아를. 방하[碓].
드듸라 주007)
드듸라:
디뎌라. 디디라고. 드듸-[踏]+라(명령형어미).
야 여듧  디내요니 祖ㅣ  주008)
:
하루는. [一日]+.
能을 보고 니샤 주009)
내:
내가. 나[吾]+ㅣ(주격조사).
주010)
네:
너의 너[汝]+ㅣ(관형격조사).
주011)
견(見):
견해. 의견. 주장 등을 이른다.
이 어루  주012)
:
쓸 만한 것을. 쓸 만한 것으로. -[用]+ㄹ(관형사형어미)++ㄹ(목적격조사).
호 주013)
호:
생각했으되. 생각했으나. -[思]+오(양보를 나타내는 연결어미).
모딘 주014)
모딘:
모진. 나쁜. 사나운. 모딜-[惡]+ㄴ(관형사형어미).
사미 이셔 너를 害가 주015)
해(害)가:
해칠까.
저허 주016)
저허:
두려워하여. 젛-[恐]+어.
너려 주017)
너려:
너더러. 너에게. 너[汝]+려(부사격조사).
말 아니노니 아다 주018)
아다:
아느냐. 알-[知]+ㄴ+다. ‘-ㄴ다’는 ‘라체’의 2인칭 의문형어미.
모다 주019)
모다:
모르느냐. 모-[否]++ㄴ+다. ‘-ㄴ다’는 의문형어미.
能이 오 弟子도 

육조법보단경언해 상:10ㄱ

師ㅅ 들 아라 간도 堂前 주020)
당전(堂前):
방 앞, 또는 집 앞.
가디 주021)
가디:
가지. 가-[行]+디.
아니노다 주022)
아니노다:
아니한 것입니다. 아니하였습니다.
사로 아디 몯게 주023)
몯게:
못하게. 몯+-+게. 무성자음 /ㄷ/ 다음에서 ‘--’ 탈락.
시고 祖ㅣ  모 門人을 블러 주024)
블러:
불러. 브르-[喚]+어.
오라 주025)
오라:
오너라. 오-[來]+라(명령형어미).
내 너 向야 닐오리라 世間 사미 살며 죽 이리 크니 너희히 져므록 주026)
져므록:
져믈-[終日]+록(한도를 나타내는 연결어미).
오직 福田을 求고 生死苦海 주027)
-예:
-에서.
여희여 나 주028)
여희여 나:
벗어남을.
求티 아니니 주029)
제:
제. 자기의. 저[自]+ㅣ(관형격조사).
性을 다가 주030)
다가:
만약.
모면 福

육조법보단경언해 상:10ㄴ

이 엇뎨 어루 救리오# 주031)
구(求)리오:
구할 것인가. 여기서는 ‘구해지겠는가, 구해지겠느냐’로 옮기는 것이 좋을 듯하다.
. 너희히 各各 가 네 智慧 보아 주032)
보아:
보아서. 살펴서. 보-[看]+아.
주033)
네:
너의. 자기의.
本心 주034)
본심(本心):
꾸밈이나 거짓이 없는 참 마음.
주035)
-엣:
-에, 있는. -의.
般若 주036)
반야(般若):
모든 사물의 본질을 이해하고 불법의 참다운 이치를 깨닫는 최상의 지혜.
ㅅ 性을 取야 各各  주037)
게(偈):
부처의 공덕을 찬양하거나 교리를 나타낸 운문. 게송(偈頌).
지 주038)
지:
지어. -[作]+어.
와 呈야 주039)
날:
나를. 나에게. 나[吾]+ㄹ(목적격조사).
뵈라 주040)
뵈라:
보이어라. 보여라. 보-[看]+ㅣ(사동접미사)+라(명령형어미).
다가 大意 알면 주041)
알면:
깨달았으면. 깨쳤으면. 알-[悟]+면.
네게 주042)
네게:
너희에게. 너희들에게.
衣法 주043)
법의(法衣):
비구(比丘), 비구니(比丘尼)가 입는 옷. 곧, 법복(法服)을 이른다.
맛뎌 주044)
맛뎌:
맡기어. -[付]+이(사동접미사)+어.
第六代祖 사모리니 주045)
사모리니:
삼으리니. 삼을 것이니. 삼-[爲]+오+리+니.
火急히 리 주046)
리:
빨리. -[速]+이(부사파생접미사).
머믈츠디 주047)
머믈츠디:
머무적거리지. 머믈츠-[遲滯]+디.
말라 주048)
말라:
말아라.
혜아리면 주049)
혜아리면:
헤아리면. 혜아리-[思量]+면.
매 주050)
매:
씀에. -[用]+움+애.
맛디 주051)
맛디:
맞지. 맞-[中]+디.
몯니라 性 본 사

육조법보단경언해 상:11ㄱ

言下 주052)
언하(言下):
말 떨어지자마자 바로.
모로매 주053)
모로매:
모름지기. 반드시.
보리니 주054)
보리니:
보리니. 볼 것이니.
다가 주055)
이:
이와.
닌 주056)
닌:
같은 이는. 갇-[如]+ㄴ(관형사형어미)+이+ㄴ(보조사).
輪刀 우희 주057)
우희:
위에. 우ㅎ[上]+의(처소부사격조사).
陣호미라도 주058)
진(陣)호미라도:
진(陣)을 쳐도. 싸움터에서라도. ‘-호미라도’는 ‘-+옴+이라도(보조사)’로 분석된다.
시러 주059)
시러:
능히. 싣-[得]+어.
보리라古德 주060)
고덕(古德):
덕행(德行)이 높은 옛 승려.
이 닐오 가비건댄 주061)
가비건댄:
비유하면. 가비-[譬]+건댄.
輪刀 우희 陣 야 엇뎨 주062)
엇뎨:
어찌.
료 주063)
료:
하리오. 할 것인가. ‘-료’는 ‘라체’의 설명의문형어미이다.
호 주064)
호:
함을.
묻디 주065)
묻디:
묻지. 묻-[問]+디.
말라 주066)
말라:
말아라. 말-[不]+라(‘라체’의 명령형어미).
니 이 得 사 주067)
기(機):
종교의 대상인 교법에 대한 주체(중생)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 보고 지 言句 주068)
언구(言句):
말의 구절. 곧, 어구(語句)를 이른다.
잇디 주069)
잇디:
있지. 잇-[在]+디.
아니호 가비니라 주070)
가비니라:
비유한 것이다. 비유하니라.

내가 물러나 후원(後院)에 가니 한 행자(行者)가 나를(에게) 시켜 나무를 쪼개고 방아를 디디라고 하였다. 여덟 달을 지내니 오조께서 하루는 나를 보고 이르셨다. “내가 너의 견해(見解)가 가히 쓸만한 것으로 생각했으나, 나쁜 사람이 있어서 너를 해칠까 두려워하여 너더러 말을 아니하는 것이니 아느냐? 모르느냐?” 내가 사뢰되, “제자도 또 스승의 뜻을 알아서 잠깐도 당전(堂前)에 가지 아니한 것입니다.” 다른 사람으로 (하여금) 알지 못하게 하셨다. 조사(祖師)께서 하루는 모든 문인(門人)을 불러, “다 오너라, 내가 너희를 향하여 말할 것이다. 세간(世間)의 사람은 살고 죽는 일이 크니 너희들이 저물도록 오직 복전(福田)을 구하고 생사(生死)의 고해(苦海)에서 벗어남을 구하지 아니하느니, 자기의 성(性)을 만약 모르면 복(福)이 어찌 가히 구해지겠느냐? 너희들이 각각 가서 자기의 지혜(智慧)를 살펴 자기 본심(本心)에 있는 반야(般若)의 성(性)을 취하고, 각각 하나씩의 게송(偈頌)을 지어 와서 바치어 나에게 보여라. 만약 대의(大意)를 깨쳤으면 너희에게 법의(法衣)와 법(法)을 맡겨 제육대(第六代) 조사(祖師)를 삼을 것이니 화급(火急)히 빨리 가서 머무적거리지 말아라. 헤아리면 곧 씀에 맞지 않느니라. 성(性)을 본 사람은 언하(言下)에 모름지기 볼 것이니 만약 이와 같은 이는 휘두르는 칼[輪刀] 위에 진(陣)을 쳐도 또 능히 볼 것이다.”【고덕(古德)이 이르되, “비유하면 윤도(輪刀) 위에 진(陣)하듯(여기서는 ‘칼을 휘두르는 싸움터’를 이른다.) 하여 어찌 할 것인가?(라고) 함을 묻지 말아라.” 하니, 이는 득(得)한 사람은 기(機)를 보고 지어서 언구(言句)에 있지 아니함을 비유한 것이다.】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6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믈러:물러나. 므르-[退]+어.
주002)
행자(行者):수행자. 출가 하였으나 아직 계(戒)를 받지 않은 이.
주003)
시겨:시켜. 시기-[差]+어.
주004)
섭:섶나무. 땔나무를. 섭[柴].
주005)
리며:때리며. 쪼개며. 리-[破]+며.
주006)
방하:방아. 방아를. 방하[碓].
주007)
드듸라:디뎌라. 디디라고. 드듸-[踏]+라(명령형어미).
주008)
:하루는. [一日]+.
주009)
내:내가. 나[吾]+ㅣ(주격조사).
주010)
네:너의 너[汝]+ㅣ(관형격조사).
주011)
견(見):견해. 의견. 주장 등을 이른다.
주012)
:쓸 만한 것을. 쓸 만한 것으로. -[用]+ㄹ(관형사형어미)++ㄹ(목적격조사).
주013)
호:생각했으되. 생각했으나. -[思]+오(양보를 나타내는 연결어미).
주014)
모딘:모진. 나쁜. 사나운. 모딜-[惡]+ㄴ(관형사형어미).
주015)
해(害)가:해칠까.
주016)
저허:두려워하여. 젛-[恐]+어.
주017)
너려:너더러. 너에게. 너[汝]+려(부사격조사).
주018)
아다:아느냐. 알-[知]+ㄴ+다. ‘-ㄴ다’는 ‘라체’의 2인칭 의문형어미.
주019)
모다:모르느냐. 모-[否]++ㄴ+다. ‘-ㄴ다’는 의문형어미.
주020)
당전(堂前):방 앞, 또는 집 앞.
주021)
가디:가지. 가-[行]+디.
주022)
아니노다:아니한 것입니다. 아니하였습니다.
주023)
몯게:못하게. 몯+-+게. 무성자음 /ㄷ/ 다음에서 ‘--’ 탈락.
주024)
블러:불러. 브르-[喚]+어.
주025)
오라:오너라. 오-[來]+라(명령형어미).
주026)
져므록:져믈-[終日]+록(한도를 나타내는 연결어미).
주027)
-예:-에서.
주028)
여희여 나:벗어남을.
주029)
제:제. 자기의. 저[自]+ㅣ(관형격조사).
주030)
다가:만약.
주031)
구(求)리오:구할 것인가. 여기서는 ‘구해지겠는가, 구해지겠느냐’로 옮기는 것이 좋을 듯하다.
주032)
보아:보아서. 살펴서. 보-[看]+아.
주033)
네:너의. 자기의.
주034)
본심(本心):꾸밈이나 거짓이 없는 참 마음.
주035)
-엣:-에, 있는. -의.
주036)
반야(般若):모든 사물의 본질을 이해하고 불법의 참다운 이치를 깨닫는 최상의 지혜.
주037)
게(偈):부처의 공덕을 찬양하거나 교리를 나타낸 운문. 게송(偈頌).
주038)
지:지어. -[作]+어.
주039)
날:나를. 나에게. 나[吾]+ㄹ(목적격조사).
주040)
뵈라:보이어라. 보여라. 보-[看]+ㅣ(사동접미사)+라(명령형어미).
주041)
알면:깨달았으면. 깨쳤으면. 알-[悟]+면.
주042)
네게:너희에게. 너희들에게.
주043)
법의(法衣):비구(比丘), 비구니(比丘尼)가 입는 옷. 곧, 법복(法服)을 이른다.
주044)
맛뎌:맡기어. -[付]+이(사동접미사)+어.
주045)
사모리니:삼으리니. 삼을 것이니. 삼-[爲]+오+리+니.
주046)
리:빨리. -[速]+이(부사파생접미사).
주047)
머믈츠디:머무적거리지. 머믈츠-[遲滯]+디.
주048)
말라:말아라.
주049)
혜아리면:헤아리면. 혜아리-[思量]+면.
주050)
매:씀에. -[用]+움+애.
주051)
맛디:맞지. 맞-[中]+디.
주052)
언하(言下):말 떨어지자마자 바로.
주053)
모로매:모름지기. 반드시.
주054)
보리니:보리니. 볼 것이니.
주055)
이:이와.
주056)
닌:같은 이는. 갇-[如]+ㄴ(관형사형어미)+이+ㄴ(보조사).
주057)
우희:위에. 우ㅎ[上]+의(처소부사격조사).
주058)
진(陣)호미라도:진(陣)을 쳐도. 싸움터에서라도. ‘-호미라도’는 ‘-+옴+이라도(보조사)’로 분석된다.
주059)
시러:능히. 싣-[得]+어.
주060)
고덕(古德):덕행(德行)이 높은 옛 승려.
주061)
가비건댄:비유하면. 가비-[譬]+건댄.
주062)
엇뎨:어찌.
주063)
료:하리오. 할 것인가. ‘-료’는 ‘라체’의 설명의문형어미이다.
주064)
호:함을.
주065)
묻디:묻지. 묻-[問]+디.
주066)
말라:말아라. 말-[不]+라(‘라체’의 명령형어미).
주067)
기(機):종교의 대상인 교법에 대한 주체(중생)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주068)
언구(言句):말의 구절. 곧, 어구(語句)를 이른다.
주069)
잇디:있지. 잇-[在]+디.
주070)
가비니라:비유한 것이다. 비유하니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