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상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상권
  • 제1 오법전의(悟法傳衣)
  • 오법전의 4
메뉴닫기 메뉴열기

오법전의 4


祖ㅣ 言샤 汝是嶺南人이오 又是獦獠ㅣ어시니 若爲堪作佛이리오 能이 曰호 人이 雖有南北이나 佛性은 本無南北며 獦獠身이 與和尙과

육조법보단경언해 상:7ㄱ

不同나 佛性은 有何差別이리고 祖ㅣ 更欲與語시다가 且見徒衆이 總在左右시고 乃令隨衆作務야시 予ㅣ 曰호 惠能은 啓和尙노니 弟子 自心이 常生智慧야 不離自性호미 卽是福田이어시니 未審케다 和尙은 敎作何務ㅣ고 祖ㅣ 云샤 這獦獠ㅣ 根性이 大利로다 汝更勿言고 著槽廠去라

祖ㅣ 니샤 주001)
네:
너는. 네가. 너[汝]+ㅣ(주격조사).
이 嶺南ㅅ 사

육조법보단경언해 상:7ㄴ

미오
주002)
사미오:
사람이고. 사[人]+이+고. ‘-오’는 서술격조사 다음에서 /ㄱ/ 약화 표기.
 이 獦獠 주003)
갈료(獦獠):
오랑캐.
ㅣ어시니 주004)
-ㅣ어시니:
-이시거니. -이니.
엇뎨 부텨 외얌 주005)
외얌:
됨. 외-[爲]+야+옴.
직리오 주006)
직리오:
직하리오. 직할 것인가. 직-+리+오(‘라체’의 1·3인칭 설명의문형어미).
【갈료 워 주007)
워:
개의 종류. 요동개.
라】
能이 닐오 주008)
닐오:
이르되. 니-[曰]+오.
사미 비록 南北 이시나 佛性은 本來 南北 업스며 獦獠 주009)
-:
-의(관형격조사).
모미 和尙과 디 주010)
디:
같지. -[同]+디.
아니나 주011)
아니나:
아니하나.
佛性은 엇뎨 주012)
엇뎨:
어찌[何].
달오미 주013)
달오미:
다름이. 다-[差別]+옴+이.
이시리고 주014)
이시리고:
있을 것입니까. 있겠습니까. 이시-[有]+리++ㅅ+고.
祖ㅣ 다시 말고져 시다가  徒衆이 다 左右에 잇 주015)
잇:
있는 것을. 잇-[有]++ㄴ(관형사형어미)++ㄹ(목적격조사).
보시고 衆

육조법보단경언해 상:8ㄱ

조차 주016)
조차:
좇아. 따라. 좇-[隨]+아.
일게 주017)
일게:
일하게. 일[務]-+게.
야시 닐오 惠能은 和尙 주018)
-:
-께. ‘ㅅ+긔’의 통합형.
엳노니 주019)
엳노니:
여쭙느니. 여쭈니. 엳-[啓]++오+니.
弟子 주020)
제:
제. 스스로의. 자기의. 저[自]+ㅣ(관형격조사).
미 녜 智慧 내야 주021)
내야:
내어. 내-[生]+야.
제 性을 여희디 아니호미 곧 이 福田 주022)
복전(福田):
여래나 비구 등 공양을 받을 만한 법력(法力)이 있는 이에게 공양하면 복(福)이 되는 것이, 마치 농부가 밭에 씨를 뿌려 다음에 수확하는 것과 같다고 하여 이를 복전(福田)이라고 한다.
이어시니 아디 주023)
아디:
알지. 알-[知]+디.
몯게다 주024)
몯게다:
못하겠습니다.
和尙은 ‘므슷 주025)
므슷:
무슨(관형사).
이 주026)
이:
일을.
라 시니고 주027)
시니고:
하시는 것입니까. 하십니까.
祖ㅣ 니샤 이 獦獠ㅣ 根性 주028)
근성(根性):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있는 근본적인 성질.
주029)
키:
크게. 크-[大]+이(부사파생접미사).
캅도다 주030)
캅도다:
날카롭구나. 캅-[利]+도+다.
주031)
네:
네가. 너는. 너[汝]+ㅣ(주격조사).
다시 말 마오 槽廠의 가시라 주032)
가시라:
가 있어라. 가-[去]+아+이시-[有]+라(명령형어미).
야

육조법보단경언해 상:8ㄴ

시
주033)
야시:
하시거늘.
【廠은  주034)
:
바람이.
업슨 주035)
업슨:
없는.
지비니 주036)
지비니:
집이니.
槽廠은 일 주037)
일:
일하는.
虛ㅅ지비라】

오조(五祖)께서 이르시되, “너는 이 영남(嶺南)의 사람이고, 또 이 갈료(獦獠)이니 어찌 부처가 되겠느냐?”【갈료는 요동개이다.】 , 내가 이르되, “사람은 비록 남북이 있으나, 불성(佛性)은 본래 남북이 없으며, 갈료(獦獠, 여기서는 오랑캐)의 몸이 화상(和尙)과 같지 아니하나 불성(佛性)은 어찌 다름이 있을 것입니까?”, 오조께서 다시 말씀하고자 하시다가 또 대중(大衆)이 다 좌우에 있는 것을 보시고 대중을 좇아 일하게 하시기에 (내가) 이르되, “혜능(惠能)은 화상께 여쭙겠습니다. 제자의 스스로의 마음이 언제나 지혜(智慧)를 내어 스스로의 성(性)을 떠나지 않는 것이 곧 이것이 복전(福田)이시거니, 알지 못하겠습니다. 화상은 무슨 일을 하라고 하시는 것입니까?” 오조께서 이르시되, “이 갈료(오랑캐)의 근성(根性)이 크게 날카롭구나. 너는 다시 말을 말고, 조창(槽廠)에 가 있어라.”(고) 하셨다【창(廠)은 바람이 없는 집이니 조창은 일하는 헛집이다.】 .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5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네:너는. 네가. 너[汝]+ㅣ(주격조사).
주002)
사미오:사람이고. 사[人]+이+고. ‘-오’는 서술격조사 다음에서 /ㄱ/ 약화 표기.
주003)
갈료(獦獠):오랑캐.
주004)
-ㅣ어시니:-이시거니. -이니.
주005)
외얌:됨. 외-[爲]+야+옴.
주006)
직리오:직하리오. 직할 것인가. 직-+리+오(‘라체’의 1·3인칭 설명의문형어미).
주007)
워:개의 종류. 요동개.
주008)
닐오:이르되. 니-[曰]+오.
주009)
-:-의(관형격조사).
주010)
디:같지. -[同]+디.
주011)
아니나:아니하나.
주012)
엇뎨:어찌[何].
주013)
달오미:다름이. 다-[差別]+옴+이.
주014)
이시리고:있을 것입니까. 있겠습니까. 이시-[有]+리++ㅅ+고.
주015)
잇:있는 것을. 잇-[有]++ㄴ(관형사형어미)++ㄹ(목적격조사).
주016)
조차:좇아. 따라. 좇-[隨]+아.
주017)
일게:일하게. 일[務]-+게.
주018)
-:-께. ‘ㅅ+긔’의 통합형.
주019)
엳노니:여쭙느니. 여쭈니. 엳-[啓]++오+니.
주020)
제:제. 스스로의. 자기의. 저[自]+ㅣ(관형격조사).
주021)
내야:내어. 내-[生]+야.
주022)
복전(福田):여래나 비구 등 공양을 받을 만한 법력(法力)이 있는 이에게 공양하면 복(福)이 되는 것이, 마치 농부가 밭에 씨를 뿌려 다음에 수확하는 것과 같다고 하여 이를 복전(福田)이라고 한다.
주023)
아디:알지. 알-[知]+디.
주024)
몯게다:못하겠습니다.
주025)
므슷:무슨(관형사).
주026)
이:일을.
주027)
시니고:하시는 것입니까. 하십니까.
주028)
근성(根性):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있는 근본적인 성질.
주029)
키:크게. 크-[大]+이(부사파생접미사).
주030)
캅도다:날카롭구나. 캅-[利]+도+다.
주031)
네:네가. 너는. 너[汝]+ㅣ(주격조사).
주032)
가시라:가 있어라. 가-[去]+아+이시-[有]+라(명령형어미).
주033)
야시:하시거늘.
주034)
:바람이.
주035)
업슨:없는.
주036)
지비니:집이니.
주037)
일:일하는.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