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4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4
  • 월인천강지곡 기67~기74(8곡)
  • 월인천강지곡 기73
메뉴닫기 메뉴열기

월인천강지곡 기73


其 七十三
寶冠 바사 주001)
바사:
벗어. 밧-[脫]+아/어. 중세국어에서는 ‘脫’의 의미로 ‘밧다’와 ‘벗다’ 형태가 존재하는데 ‘밧다’는 옷이나 모자와 같이 구체적인 물건을 벗을 때 사용되고 ‘벗다’는 고통이나 괴로움 같이 추상적인 상태에서 벗어날 때 사용됨. 여기 ‘밧-’은 구체동사로 쓰인 것임.
견져 地獄 잠개 뫼화 주002)
뫼화:
모아. 뫼호-[會]+아/어.
瞿曇이 모 주003)
모:
반드시. 모[必](상-거, 부사). ¶ 굿븐  모 이시니(維伏之雉 必令驚飛)〈용가 88〉.
자라 주004)
자라:
잡으려. 잡-[捕]+(/으)라(의도, 목적의 연결어미).
터니 주005)
터니:
하더니. -+더(과거시상 선어말어미)+니. 여기서 ‘터니’는 어간과 선어말어미가 축약된 것임.

월인석보 4:4ㄱ

白毫 드러 견지샤 地獄이 믈이 주006)
믈이:
물이. 믈[水]+이. ‘믈[水]’ : ‘물[群]’은 대립되었음. 순음 아래 ‘ㅡ’ 모음의 원순모음동화는 17세기 말에 이루진 것으로 봄.
외야 罪人히 다 人間애 나니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기 칠십삼
보관을 벗어 견주어 지옥의 무기를 모아 구담을 반드시 잡으려 하더니.
구담이〉 백호를 들어 겨누시어 지옥이 물이 되어서 〈지옥의〉 죄인들이 다 인간 세상에 태어나니.
Ⓒ 역자 | 김영배 / 2010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바사:벗어. 밧-[脫]+아/어. 중세국어에서는 ‘脫’의 의미로 ‘밧다’와 ‘벗다’ 형태가 존재하는데 ‘밧다’는 옷이나 모자와 같이 구체적인 물건을 벗을 때 사용되고 ‘벗다’는 고통이나 괴로움 같이 추상적인 상태에서 벗어날 때 사용됨. 여기 ‘밧-’은 구체동사로 쓰인 것임.
주002)
뫼화:모아. 뫼호-[會]+아/어.
주003)
모:반드시. 모[必](상-거, 부사). ¶ 굿븐  모 이시니(維伏之雉 必令驚飛)〈용가 88〉.
주004)
자라:잡으려. 잡-[捕]+(/으)라(의도, 목적의 연결어미).
주005)
터니:하더니. -+더(과거시상 선어말어미)+니. 여기서 ‘터니’는 어간과 선어말어미가 축약된 것임.
주006)
믈이:물이. 믈[水]+이. ‘믈[水]’ : ‘물[群]’은 대립되었음. 순음 아래 ‘ㅡ’ 모음의 원순모음동화는 17세기 말에 이루진 것으로 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