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4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4
  • 월인천강지곡 기75~기78(4곡)
  • 월인천강지곡 기77
메뉴닫기 메뉴열기

월인천강지곡 기77


其 七十七
바리 주001)
바리:
바리때. 스님들의 공양 그릇. 바리[鉢](평-평). ¶ 바리와 錫杖과〈석상 23:12ㄴ〉.
리 주002)
리:
부수는. 깨뜨리는. 리-[破]+(현재시상 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 어미).
주003)
:
소가. 쇼[牛]+ㅣ(주격조사). → 33쪽 ‘양자(樣子)ㅣ’.
거츨언마 주004)
거츨언마:
허망하건만. 거츨-[虛妄](상-평, 형용사)+거+ㄴ마. 선어말어미 ‘-거-’의 ‘ㄱ’이 ‘ㄹ’ 뒤에서 약화된 유성후두마찰음 [ɦ]인 ‘ㅇ’으로 나타남. 이는 ‘거츨-[荒](평-거, 형용사)’과는 구별됨.
慈悲心로 구지돔 주005)
구지돔:
꾸짖음. 꾸지람. 구짇-[叱]+옴/움(명사형 어미). ‘구짖-/구짇-[叱]’은 초기문헌에 두 가지 이형태를 보이는바, 그 쓰임으로 보아서 ‘구짖-’이 대체로 많이 쓰였으며, 이것이 현대어에(꾸짖-) 이어진 것으로 보며, ‘구짇-’은 그렇지 못한 것으로 보아서, 후자는 방언의 반영이 아닌가 함.
모시니
수플에 주006)
수플에:
수풀에. 수플[林](평-거). 이는 ‘숳[叢]+플[草]’의 합성어임. ¶ 叢林 모다 난 수히오〈월석 10:69ㄱ〉. ‘수프레’로 연철되지 않고 분철되어 나타난 예임.
나 주007)
나:
나오는. 나-[出]+(현재시상 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 어미).
부톄 거츨언마 恭敬心로 期約 니니 주008)
니니:
잊으니. 닞-[忘]+(/으)니. ¶ 天下 蒼生 니즈시리가〈용가 21〉.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기 칠십칠
바리때를 부수는 소가 허망하건만 자비심으로 꾸짖음을 모르시니.
수풀에서 나오는 부처가 허망하건만 공경심으로 기약을 잊으니.
Ⓒ 역자 | 김영배 / 2010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바리:바리때. 스님들의 공양 그릇. 바리[鉢](평-평). ¶ 바리와 錫杖과〈석상 23:12ㄴ〉.
주002)
리:부수는. 깨뜨리는. 리-[破]+(현재시상 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 어미).
주003)
:소가. 쇼[牛]+ㅣ(주격조사). → 33쪽 ‘양자(樣子)ㅣ’.
주004)
거츨언마:허망하건만. 거츨-[虛妄](상-평, 형용사)+거+ㄴ마. 선어말어미 ‘-거-’의 ‘ㄱ’이 ‘ㄹ’ 뒤에서 약화된 유성후두마찰음 [ɦ]인 ‘ㅇ’으로 나타남. 이는 ‘거츨-[荒](평-거, 형용사)’과는 구별됨.
주005)
구지돔:꾸짖음. 꾸지람. 구짇-[叱]+옴/움(명사형 어미). ‘구짖-/구짇-[叱]’은 초기문헌에 두 가지 이형태를 보이는바, 그 쓰임으로 보아서 ‘구짖-’이 대체로 많이 쓰였으며, 이것이 현대어에(꾸짖-) 이어진 것으로 보며, ‘구짇-’은 그렇지 못한 것으로 보아서, 후자는 방언의 반영이 아닌가 함.
주006)
수플에:수풀에. 수플[林](평-거). 이는 ‘숳[叢]+플[草]’의 합성어임. ¶ 叢林 모다 난 수히오〈월석 10:69ㄱ〉. ‘수프레’로 연철되지 않고 분철되어 나타난 예임.
주007)
나:나오는. 나-[出]+(현재시상 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 어미).
주008)
니니:잊으니. 닞-[忘]+(/으)니. ¶ 天下 蒼生 니즈시리가〈용가 21〉.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