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4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4
  • 수하항마
  • 수하항마 1
메뉴닫기 메뉴열기

수하항마 1


[수하항마 1]
〔역자 주〕* 이하, 원문 부분이 훼손되어 보이지 않는 곳은 글자 수만큼 ‘□’로 나타내고 현대역에서도 ‘□’로 나타내기로 함. 또 원문 내용의 저경을 찾아 밝히되 점선 네모틀 안에 넣어 비교토록 하였음.
菩薩 주001)
보살(菩薩):
보리살타(菩提薩埵). Bodisattva. 불과(佛果)를 얻으려고 수행하는 이.
〔이〕 菩提樹 주002)
보제수(菩提樹):
보리수. 불교용어로는 ‘보리수’로 읽음.
아래 안자 겨샤 주003)
겨샤:
계시어. 겨-[在]+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아/어.
혜여 주004)
혜여:
헤아려. 혜-[量]+아/어. ‘혜-[量]’의 ‘ㅣ’모음에 의한 순행동화를 입어 ‘-어’가 ‘-여’로 변동됨.
너기샤 주005)
너기샤:
여기시되. 너기-[念]+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오/우(의도법 선어말어미)+(양보의 연결어미). ‘-’는 반드시 의도법 선어말어미를 취하는데 ‘-샤-’는 ‘-시-’의 의도법 선어말어미 연결형임.
이제 無上正覺 주006)
무상정각(無上正覺):
위가 없는 진정한 깨달음. 부처님의 깨달음.
일우오리니 주007)
일우오리니:
이룰 것이니. 일우-[成]+오/우(의도법 선어말어미)+리(미래시상 선어말어미)+니(종결어미). 의도법 선어말어미 ‘-오/우-’와 사동접미사 ‘-오/우-’의 경우 모음조화가 지켜지지 않은 예임.
魔王 波旬 주008)
:
가장. [最](거성, 부사). 명사, 관형사의 ‘’은 평성으로 구별됨.
尊고 모디니 波旬은 魔王ㅅ 일후미니  모디다 주009)
모디다:
모질다. 모딜-[惡]+다(설명법 종결어미). ‘ㄹ’탈락. ‘모딜-’의 ‘ㄹ’은 자음 어미 ‘ㄴ, ㄷ, ㅿ’ 등의 앞에서 탈락됨.
논 주010)
논:
하는. -[爲]+(현재시상 선어말어미)+오/우(의도법 선어말어미)+(/으)ㄴ(관형사형 어미).
디라 주011)
디라:
뜻이다. [意]+이(서술격조사)+다/라(설명법 종결어미). ‘-다’는 ‘--, -거-, -시-, --, -도-, -ㅅ-, --’등 선어말어미와 용언 어간 뒤에 쓰이고, ‘-라’는 ‘-오/우-, -니-, -리-, -더-, -지-’ 등 선어말어미와 서술격조사 뒤에 쓰여 상보적 분포가 됨.
부톄 주012)
부톄:
부처님이. 부텨[佛]+ㅣ(주격조사). 2음절의 평성 ‘텨’에 거성의 주격조사 ‘-이/-ㅣ’가 통합되면 상성의 ‘:톄’로 변동됨. ‘-이’는 자음으로 끝난 체언 아래, ‘-ㅣ’는 ‘ㅣ’ 이외의 모음으로 끝난 체언 아래, 이중모음의 부음 ‘-ㅣ’로 끝나면 Ø(영형태)로 드러나지 않음.
衆生 便安케 호려

월인석보 4:5ㄱ

커시든 거티며 주013)
거티며:
가로 넘어뜨리며. 방해하며. [橫]+거티-[礙]+며(나열의 연결어미). 문맥 의미로는 ‘가로 거리끼다’의 뜻으로 쓰이는 경상도 방언의 ‘갈거치다/걸거치다’(방해하다, 불편을 주다)와 더 가까움. → 10쪽 ‘1) 로거티다’.
쥬 부텻 法을 호거든 주014)
호거든:
배우거든. 배호-[學]+(객체높임 선어말어미)+거든(조건의 연결어미).
아례나 주015)
아례나:
아무튼. 어떻든. 아례나(평-거-평-거, 부사). ‘아례(평-평-거)〈석상 6:46ㄱ〉’도 부사로 쓰였음.
어즈려 주016)
어즈려:
어지럽게 하여. ‘어즈리-[亂]+아/어(보조적 연결어미).
罪  클 주017)
클:
크므로. 크-[大]+ㄹ(원인·이유의 연결어미).
모디다 니라 주018)
니라:
한 것이다. -[爲]+니(확인의 선어말어미)+라(설명법 종결어미).
뎌를 주019)
뎌를:
저(마왕)를. 뎌[彼]+를(목적격조사).
오게 야 몬져 주020)
몬져:
먼저. 몬져[先](평-평, 부사). 동음어로 명사로도 쓰였음.
降服오 주021)
항복(降服)오:
항복하게 하여야. 항복(降服)-+ㅣ(사동접미사)+고(연결어미)+(강조의 연결어미).
三界 주022)
삼계(三界):
Trayo-dhātavaḥ. 생사 유전(流轉)이 쉴 새 없는 미계(迷界)를 셋으로 나눈 것으로 ①욕계(欲界): 탐욕 특히 식욕·음욕·수면욕이 치성한 세계. ②색계(色界): 욕계와 탐욕은 없으나, 미묘한 형체가 있는 세계. ③무색계(無色界): 색계와 같은 미묘한 몸도 없는 정신적 존재의 세계를 이름.
衆生 주023)
중생(衆生):
살타(薩埵, sattva)의 번역. 식정(識情)이 있는 생물로, 당나라 현장(玄奘) 이전의 번역, 이후에는 유정(有情)이라 옮김.
濟渡호리라 주024)
제도(濟渡)호리라:
제도(濟渡=濟度)하리라. 濟渡-+오/우(의도법 선어말어미)+리(미래시상 선어말어미)+다/라(설명법 종결어미). ‘제도’는 미혹(迷惑)한 세계에서 생사만을 되풀이하는 중생을 건져내어 생사가 없는 열반의 저 언덕[彼岸]에 이르게 함.
시고 셜흔 주025)
셜흔:
서른. 삼십. 셜흔[三十](평-거, 수사).
여래 주026)
여래:
여드레를. 팔일을. 여래[八日](평-거-평, 명사)+(목적격조사) → 32쪽 ‘을’.
菩提樹 보시며 道理 시니 주027)
시니:
생각하시니. 랑-[思]+시+니.
天地 드러치더니 주028)
드러치더니:
진동(震動)하더니. 드러치-[震動]+더(과거시상 선어말어미)+니(이유·설명의 연결어미).
큰 〔光明〕을 펴샤 주029)
펴샤:
펴시어. 펴-[展]+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아/어(연결어미).
魔王宮을 〔리신〕

월인석보 4:5ㄴ

주030)
리신대:
가리시니까. 릿기-[蔽]+시+ㄴ대(조건의 연결어미). 어간의 셋째음절 즉 각자병서 ‘ㅺ’의 ‘ㅅ’이 둘째 음절의 종성으로 올려 쓰인 형태로 ‘릿기-[蔽]’로 나타나기도 함.
魔王 波旬〔믈〕 주031)
믈:
꿈을. [夢]+을(목적격조사). → 32쪽 ‘을’.
□□□ 지비 어듭고 주032)
어듭고:
어둡고. 어두워지고. 어듭-[暗](ㅂ불규칙 형용사)+고(나열의 연결어미).
모시 여위오 주033)
여위오:
마르고. 여위-[渴]+고(나열의 연결어미). ‘ㅣ’모음 뒤에서 ‘ㄱ’이 약화된 [ɦ] 표기임.
풍륫〔가시 주034)
륫가시:
악기가. 풍물이. 류+ㅅ(관형격조사)#갓[物]+이(주격조사).
〕야디〔고 주035)
야차(夜叉):
Yakṣa. 팔부중의 하나. 비사문천왕의 권속으로 북방을 수호함.야디고:해어지고. 야디-[壞]+고. ‘야디-[壞]’에서 둘째 음절의 부모음 [y]를 음절 경계에서 어떻게 다루는가에 따라 ‘hʌj$a-’와 ‘hʌ$ja-’의 두 가지 표기가 있게 되는데, 여기서는 부모음 [y]를 이중으로 표기에 반영한 것(‘hʌy$ya-’)으로 볼 수 있음.
夜〕叉 주036)
구반다(鳩槃茶):
구반다의. 鳩槃茶+/의(관형격조사).
鳩槃茶 주037)
머릿바기:
머리빡이. 머릿박[頭]+이(주격조사).
머릿바기 주038)
헤:
뜰에. [庭](ㅎ종성체언)+에(처소의 부사격조사). → 37쪽 ‘히’.
헤 주039)
듣고:
떨어지고. 듣-[落]+고(나열의 연결어미).
듣고 주040)
제천(諸天):
천상 세계에 살며 불법을 수호하는 신들.
諸天 주041)
제:
저(마왕)의. 저[彼]+/의/ㅣ(관형격조사). 제(상성, 주격). 제(평성, 관형격). 성조로 주격과 관형격이 구별됨.
주042)
종(從)티:
따르지. 從-+디(부정 대상의 연결어미). 어간의 ‘-’와 어미 ‘-디’의 축약으로 ‘-티’가 된 것임.
從티 주043)
배반(背叛)거늘:
배반하거늘. 背叛-+거늘(설명·이유·원인의 연결어미).
아니야 背叛거늘 주044)
라:
깨달아. -[覺](ㄷ불규칙 동사)+아/어(보조적 연결어미).
라 주045)
두리여:
두려워하여. 두리-[懼]+아/어. ‘두리-[懼]’의 ‘ㅣ’모음에 의한 순행동화로 ‘-어’가 ‘-여’로 변동됨.
두리여 주046)
신하(臣下)ㅣ며:
신하이며. 신하와. 臣下+ㅣ(서술격조사)+며(접속조사).
臣下 주047)
모도아:
모아. 모도-[合]+아(연결어미).
ㅣ며 兵馬ㅣ며 모도아 주048)
니고:
이르고. 니-[謂]+고.
니고 주049)
의논(議論)호:
의논하되. 議論-+오/우+. ‘-’는 반드시 삽입모음을 취하여 ‘오/우/샤’로 나타남.
議論호 주050)
엇뎨야:
어찌하여야. 엇뎨-+아/어(연결어미)+(강세 첨사). ‘-’ 뒤의 ‘-아/어’는 ‘-야’로 나타남.

월인석보 4:6ㄱ

엇뎨야 주051)
항복(降服)려뇨:
항복시킬 것인가? 항복(降服)-+ㅣ(사동접미사)+려(리+어)+니오/뇨(의문 종결어미). ‘려’는 ‘리(미래시상 선어말어미)+거/어(과거시상 선어말어미)’가 결합한 것임. 중세국어 의문법은 종결어미로 ‘-고/오’가 오는 설명 의문문과 종결어미로 ‘-가/아’가 오는 판정의문문으로 나뉘는데 여기서는 의문사 ‘엇뎨’가 있으므로 종결어미로 ‘-고/오’가 결합된 것임.
瞿曇이 가 降服려뇨 주052)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저경〕 (觀佛三昧經云) …(줄임)… 菩薩坐已 計魔波旬最為豪尊 今吾當成無上正覺 當感令到而降伏爾 乃發起三界衆生 (受胎經云) 坐閻浮樹下四十八日 觀樹思惟感動天地 六反震動演大光明 覆蔽魔宮 爾時波旬臥寐 夢中見三十二變 宮殿闇冥 (宮殿污泥 入於邪徑) 池水枯竭 樂器破壞 閱叉厭鬼頭皆墮地 諸天捨去不從其教 從夢而起恐怖毛竪 召會大臣及諸兵衆 說夢所見 以何方便而往伏之 >(석가보 석가강생석종성불연보 제4의3〈대정신수대장경 제50, 31쪽 중~하〉)

[수하항마 1]
보살이 보리수 아래 앉아 계시며 헤아려 여기시되
(=여기시기를)
, ‘이제 무상정각을 이룰 것이니, 마왕 파순이 매우 높고 모지니,【‘파순’은 마왕의 이름이니, 자못 모질다는 뜻이다. 부처님이 중생을 편안하게 하려 하시면 가로 넘어뜨리며(방해하며), 중이 부처님의 법을 배우면 어찌 해서든 어지럽게 하여 죄가 매우 크므로 모질다고 한 것이다.】 저 마왕을 오게 하여, 먼저 항복하게 하고서 삼계의 중생을 제도하리라.’ 하시고, 서른 여드레를 보리수를 보시며 도리를 생각하시니, 천지가 진동하더니, 큰 광명을 펴시어서 마왕궁을 가리시니까 마왕 파순이 꿈을 □□□ 집이 어둡고(어두워지고) 못이 마르고, 악기가
(=풍물이)
부서지고, 그 야차와 구반다의 머리빡이 뜰에 떨어지고, 제천이 제
(=마왕의)
말을 따르지 않고 배반하거늘, 〈마왕이〉 깨닫고 두려워하여, 신하와 병마들을 모두 모아 〈제〉 꿈 〈이야기를〉 이르고, 의논하기를, “어떻게 하여야 저 구담(보살)을 〈우리가〉 가서 항복시킬 것인가?”〈라고 하였다.〉
Ⓒ 역자 | 김영배 / 2010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보살(菩薩):보리살타(菩提薩埵). Bodisattva. 불과(佛果)를 얻으려고 수행하는 이.
주002)
보제수(菩提樹):보리수. 불교용어로는 ‘보리수’로 읽음.
주003)
겨샤:계시어. 겨-[在]+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아/어.
주004)
혜여:헤아려. 혜-[量]+아/어. ‘혜-[量]’의 ‘ㅣ’모음에 의한 순행동화를 입어 ‘-어’가 ‘-여’로 변동됨.
주005)
너기샤:여기시되. 너기-[念]+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오/우(의도법 선어말어미)+(양보의 연결어미). ‘-’는 반드시 의도법 선어말어미를 취하는데 ‘-샤-’는 ‘-시-’의 의도법 선어말어미 연결형임.
주006)
무상정각(無上正覺):위가 없는 진정한 깨달음. 부처님의 깨달음.
주007)
일우오리니:이룰 것이니. 일우-[成]+오/우(의도법 선어말어미)+리(미래시상 선어말어미)+니(종결어미). 의도법 선어말어미 ‘-오/우-’와 사동접미사 ‘-오/우-’의 경우 모음조화가 지켜지지 않은 예임.
주008)
:가장. [最](거성, 부사). 명사, 관형사의 ‘’은 평성으로 구별됨.
주009)
모디다:모질다. 모딜-[惡]+다(설명법 종결어미). ‘ㄹ’탈락. ‘모딜-’의 ‘ㄹ’은 자음 어미 ‘ㄴ, ㄷ, ㅿ’ 등의 앞에서 탈락됨.
주010)
논:하는. -[爲]+(현재시상 선어말어미)+오/우(의도법 선어말어미)+(/으)ㄴ(관형사형 어미).
주011)
디라:뜻이다. [意]+이(서술격조사)+다/라(설명법 종결어미). ‘-다’는 ‘--, -거-, -시-, --, -도-, -ㅅ-, --’등 선어말어미와 용언 어간 뒤에 쓰이고, ‘-라’는 ‘-오/우-, -니-, -리-, -더-, -지-’ 등 선어말어미와 서술격조사 뒤에 쓰여 상보적 분포가 됨.
주012)
부톄:부처님이. 부텨[佛]+ㅣ(주격조사). 2음절의 평성 ‘텨’에 거성의 주격조사 ‘-이/-ㅣ’가 통합되면 상성의 ‘:톄’로 변동됨. ‘-이’는 자음으로 끝난 체언 아래, ‘-ㅣ’는 ‘ㅣ’ 이외의 모음으로 끝난 체언 아래, 이중모음의 부음 ‘-ㅣ’로 끝나면 Ø(영형태)로 드러나지 않음.
주013)
거티며:가로 넘어뜨리며. 방해하며. [橫]+거티-[礙]+며(나열의 연결어미). 문맥 의미로는 ‘가로 거리끼다’의 뜻으로 쓰이는 경상도 방언의 ‘갈거치다/걸거치다’(방해하다, 불편을 주다)와 더 가까움. → 10쪽 ‘1) 로거티다’.
주014)
호거든:배우거든. 배호-[學]+(객체높임 선어말어미)+거든(조건의 연결어미).
주015)
아례나:아무튼. 어떻든. 아례나(평-거-평-거, 부사). ‘아례(평-평-거)〈석상 6:46ㄱ〉’도 부사로 쓰였음.
주016)
어즈려:어지럽게 하여. ‘어즈리-[亂]+아/어(보조적 연결어미).
주017)
클:크므로. 크-[大]+ㄹ(원인·이유의 연결어미).
주018)
니라:한 것이다. -[爲]+니(확인의 선어말어미)+라(설명법 종결어미).
주019)
뎌를:저(마왕)를. 뎌[彼]+를(목적격조사).
주020)
몬져:먼저. 몬져[先](평-평, 부사). 동음어로 명사로도 쓰였음.
주021)
항복(降服)오:항복하게 하여야. 항복(降服)-+ㅣ(사동접미사)+고(연결어미)+(강조의 연결어미).
주022)
삼계(三界):Trayo-dhātavaḥ. 생사 유전(流轉)이 쉴 새 없는 미계(迷界)를 셋으로 나눈 것으로 ①욕계(欲界): 탐욕 특히 식욕·음욕·수면욕이 치성한 세계. ②색계(色界): 욕계와 탐욕은 없으나, 미묘한 형체가 있는 세계. ③무색계(無色界): 색계와 같은 미묘한 몸도 없는 정신적 존재의 세계를 이름.
주023)
중생(衆生):살타(薩埵, sattva)의 번역. 식정(識情)이 있는 생물로, 당나라 현장(玄奘) 이전의 번역, 이후에는 유정(有情)이라 옮김.
주024)
제도(濟渡)호리라:제도(濟渡=濟度)하리라. 濟渡-+오/우(의도법 선어말어미)+리(미래시상 선어말어미)+다/라(설명법 종결어미). ‘제도’는 미혹(迷惑)한 세계에서 생사만을 되풀이하는 중생을 건져내어 생사가 없는 열반의 저 언덕[彼岸]에 이르게 함.
주025)
셜흔:서른. 삼십. 셜흔[三十](평-거, 수사).
주026)
여래:여드레를. 팔일을. 여래[八日](평-거-평, 명사)+(목적격조사) → 32쪽 ‘을’.
주027)
시니:생각하시니. 랑-[思]+시+니.
주028)
드러치더니:진동(震動)하더니. 드러치-[震動]+더(과거시상 선어말어미)+니(이유·설명의 연결어미).
주029)
펴샤:펴시어. 펴-[展]+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아/어(연결어미).
주030)
리신대:가리시니까. 릿기-[蔽]+시+ㄴ대(조건의 연결어미). 어간의 셋째음절 즉 각자병서 ‘ㅺ’의 ‘ㅅ’이 둘째 음절의 종성으로 올려 쓰인 형태로 ‘릿기-[蔽]’로 나타나기도 함.
주031)
믈:꿈을. [夢]+을(목적격조사). → 32쪽 ‘을’.
주032)
어듭고:어둡고. 어두워지고. 어듭-[暗](ㅂ불규칙 형용사)+고(나열의 연결어미).
주033)
여위오:마르고. 여위-[渴]+고(나열의 연결어미). ‘ㅣ’모음 뒤에서 ‘ㄱ’이 약화된 [ɦ] 표기임.
주034)
륫가시:악기가. 풍물이. 류+ㅅ(관형격조사)#갓[物]+이(주격조사).
주035)
야디고:해어지고. 야디-[壞]+고. ‘야디-[壞]’에서 둘째 음절의 부모음 [y]를 음절 경계에서 어떻게 다루는가에 따라 ‘hʌj$a-’와 ‘hʌ$ja-’의 두 가지 표기가 있게 되는데, 여기서는 부모음 [y]를 이중으로 표기에 반영한 것(‘hʌy$ya-’)으로 볼 수 있음.
주036)
야차(夜叉):Yakṣa. 팔부중의 하나. 비사문천왕의 권속으로 북방을 수호함.
주037)
구반다(鳩槃茶):구반다의. 鳩槃茶+/의(관형격조사).
주038)
머릿바기:머리빡이. 머릿박[頭]+이(주격조사).
주039)
헤:뜰에. [庭](ㅎ종성체언)+에(처소의 부사격조사). → 37쪽 ‘히’.
주040)
듣고:떨어지고. 듣-[落]+고(나열의 연결어미).
주041)
제천(諸天):천상 세계에 살며 불법을 수호하는 신들.
주042)
제:저(마왕)의. 저[彼]+/의/ㅣ(관형격조사). 제(상성, 주격). 제(평성, 관형격). 성조로 주격과 관형격이 구별됨.
주043)
종(從)티:따르지. 從-+디(부정 대상의 연결어미). 어간의 ‘-’와 어미 ‘-디’의 축약으로 ‘-티’가 된 것임.
주044)
배반(背叛)거늘:배반하거늘. 背叛-+거늘(설명·이유·원인의 연결어미).
주045)
라:깨달아. -[覺](ㄷ불규칙 동사)+아/어(보조적 연결어미).
주046)
두리여:두려워하여. 두리-[懼]+아/어. ‘두리-[懼]’의 ‘ㅣ’모음에 의한 순행동화로 ‘-어’가 ‘-여’로 변동됨.
주047)
신하(臣下)ㅣ며:신하이며. 신하와. 臣下+ㅣ(서술격조사)+며(접속조사).
주048)
모도아:모아. 모도-[合]+아(연결어미).
주049)
니고:이르고. 니-[謂]+고.
주050)
의논(議論)호:의논하되. 議論-+오/우+. ‘-’는 반드시 삽입모음을 취하여 ‘오/우/샤’로 나타남.
주051)
엇뎨야:어찌하여야. 엇뎨-+아/어(연결어미)+(강세 첨사). ‘-’ 뒤의 ‘-아/어’는 ‘-야’로 나타남.
주052)
항복(降服)려뇨:항복시킬 것인가? 항복(降服)-+ㅣ(사동접미사)+려(리+어)+니오/뇨(의문 종결어미). ‘려’는 ‘리(미래시상 선어말어미)+거/어(과거시상 선어말어미)’가 결합한 것임. 중세국어 의문법은 종결어미로 ‘-고/오’가 오는 설명 의문문과 종결어미로 ‘-가/아’가 오는 판정의문문으로 나뉘는데 여기서는 의문사 ‘엇뎨’가 있으므로 종결어미로 ‘-고/오’가 결합된 것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