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4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4
  • 수하항마
  • 수하항마 7
메뉴닫기 메뉴열기

수하항마 7


[수하항마 7]
菩薩이 眉間앳 주001)
:
흰. -[白]+(/으)ㄴ(관형사형 어미).
터리 주002)
터리:
털을. 터리[毛](평-거)+. 이는 〈월곡 상:33ㄱ·ㄴ〉의 앞뒤에 ‘터리’와 ‘터러글’이 쓰인 것을 보면 ‘터리’와 ‘터럭’은 쌍형으로 쓰였으며, 이는 ‘터리’〈석상 6:27ㄱ〉과 ‘ 터럭’〈석상 11:9ㄱ〉의 쓰임을 보아도 알 수 있음.
기 주003)
기:
천천히. 조용히. 기(평-평-평-평-평, 부사). 기 거러 모  니거늘〈석상 6:30ㄱ〉.
드르샤 주004)
드르샤:
드시어. 들-[擧]+(/으)시+아/어. 어간 ‘ㄹ’은 종성 자음 ‘ㄴ, ㅅ, ㅈ’ 등 앞에서 줆이 대체적인 표기이나, 이 경우 ‘ㄹ’은 어미에 매개모음이 개입되면서 그대로 쓰인 점이 현대어와 다름.
阿鼻地獄견지시니 주005)
견지시니:
겨누시니. 견지-[擬]+시+니.
터리예셔 주006)
터리예셔:
털에서. 터리+에셔. ‘ㅣ’모음 뒤에서 ‘에’가 ‘예’로 변하여 나타남. ‘-에셔(거-거, 조사)’는 ‘시발’의 기능과 ‘비교’의 기능이 같이 씌었음.
주007)
큰:
큰. 크-[大](거성)+ㄴ(관형사형 어미).
므리 주008)
므리:
물이. 믈[水]+이(주격조사). 당시에는 ‘믈[水]’과 ‘물[群]’이 최소대립어로 구별되었음.
브 주009)
브:
부어. 븟-[注](ㅅ불규칙)+아/어.
주010)
한:
큰. 하-[多/大](거성, 형용사)+(/으)ㄴ(관형사형 어미). ¶ 한비 사리로[大雨三日]〈용가 67〉.
브리 간 주011)
간:
잠깐. 조금. ‘간’(상-평, 부사). 이는 아무래도 한자어 ‘暫間’의 당시 발음을 나타낸 것으로 보임. 〈월석 9: 29ㄴ〉에도 나타남.
디거늘 주012)
디거늘:
꺼지거늘. 디-[滅]+거늘(설명·이유·원인의 연결어미).
罪人히 주013)
죄인(罪人)히:
죄인들이.
보고 주014)
보고:
보고. 보-[見]++고.
제여곰 주015)
제여곰:
제각각. 제각기. 제여곰(평-평-거, 부사). 이는 동음어로 명사로도 쓰였음. ¶ 各各 제여곰일〈석상 13:39ㄱ〉.

월인석보 4:13ㄱ

지 주016)
지:
지은. 짓-[作]+오/우(의도법 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 어미).
罪 아라 미 주017)
미:
마음이. [心]+이.
환야 주018)
환야:
시원하여. 환-[淸涼]+아/어. ‘싀훤-’의 모음교체형으로 보임. ¶ 暢 싀훤씨라〈석상 24:20ㄴ〉. → 12쪽 ‘6) 환다’.
南無佛 주019)
나무불(南無佛):
namo buddhāya. 삼귀의(三歸依)의 하나. 중생이 부처님께 진심으로 귀의 경순(敬順)함.
일니 주020)
일니:
일컬으니. 일-[稱](ㄷ불규칙)++(/으)니.
【南無는 歸命다 혼 디니 歸命은 내 命을 부텨 가져 갈 씨라】 그 因緣으로 人間애 다 나니 魔王이 이런 相 보고 시름야 주021)
시름야:
걱정하여. 시름[憂]+-+아/어.
도라가니라 주022)
도라가니라:
돌아간 것이다. 돌아갔다. 도라가-[還]+니+라.
菩薩ㅅ  터리 바 주023)
바:
바로. 곧게. 바[正](평-평, 부사). 이는 형용사 ‘바-’의 어간이 영변화로 파생된 부사로 봄.
六天에 가아 주024)
가아:
가. 가-[去]+아/어.
그테 주025)
그테:
끝에. 긑[末]+에(처소의 부사격조사).
여러 蓮ㅅ 고

월인석보 4:13ㄴ

지 나니 그 蓮ㅅ 고재 주026)
연(蓮)ㅅ 고재:
연꽃에. 蓮+ㅅ(관형격조사)#곶(華)+애(처소의 부사격조사).
닐굽 부톄 주027)
부톄:
부처가. 부텨+ㅣ(주격조사).
안자 주028)
안자:
앉아. 앉고. 앉-[坐]+아/어.
겨시며 주029)
겨시며:
있으며. 겨시-[在]+며. 이 ‘겨시-’의 ‘겨’는 본시 이두에서 쓰이던 것이 이미 15세기 중엽에는 ‘-시-’의 결합으로 재구조화된 동사 어간으로 쓰였음.
닐굽 부텨毗婆尸佛 주030)
비바시불(毗婆尸佛):
Vipaśyin. 과거 7불의 첫째 부처님.
尸棄佛 주031)
시기불(尸棄佛):
Śikhi. 과거 7불의 둘째 부처님.
毗舍浮佛 주032)
비사부불(毗舍浮佛):
Viśvabhū. 과거 7불의 셋째 부처님.
拘留孫佛 주033)
구류손불(拘留孫佛):
Krakucchanda. 과거 7불의 넷째 부처님.
拘那含牟尼佛 주034)
구나함모니불(拘那含牟尼佛):
Kanakamuni. 과거 7불의 다섯째 부처님.
迦葉波佛 주035)
가섭파불(迦葉波佛):
Kāśyapa. 과거 7불의 여섯째 부처님.
釋迦文佛 주036)
석가문불(釋迦文佛):
Śākyamuni. 석가모니. 석가. 불교의 교조.
왜시니라
주037)
석가문불(釋迦文佛)왜시니라:
석가문불이신 것이다. 釋迦文佛+와(공동격조사)+ㅣ(서술격조사)+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니+라.
그  터리 無色界 주038)
무색계(無色界):
삼계의 하나. 색계(色界) 위에 있어 물질을 여읜 정신적 존재인 세계. → 42쪽 ‘삼계(三界)’.
니르리 주039)
니르리:
이르기까지. 니를-[至]+이(부사 파생접미사).
가아 주040)
다:
다. 모두. 다[皆](상성, 부사).
비취시니 주041)
비취시니:
비추시니. 비치시니. 비취-[照]+시+니. 이 동사는 자·타동으로 같이 쓰였음.
고 주042)
고:
고른. 평평한. 고-[均]+ㄴ(관형사형 어미).
玻瓈鏡이 주043)
파려경(玻瓈鏡)이:
파려경이. 玻瓈鏡+이(주격조사). ‘이(주격조사)’는 ‘-,’ 등 앞에서 비교의 기능으로 쓰였음. 이 ‘파려’는 ‘파리(玻璃, 頗梨)’로도 쓰며, 수정(水精)을 이름.
신대 주044)
신대:
같으시니. -[如]+(/으)시+ㄴ대.
【鏡은 거우뤼라 주045)
거우뤼라:
거울이다. 거우루[鏡]+ㅣ(서술격조사)+라.
八萬 四千 天女

월인석보 4:14ㄱ

히 魔王 보니 블누른 주046)
블누른:
불에 누른. 블눋-[焦]+(/으)ㄴ(관형사형 어미). 중세문헌에서 찾아볼 수 없고 여기 처음 나오는 것으로 보임. → 12쪽 ‘7) 블눋다’.
나모 고 오직 菩薩ㅅ 白毫相光 울워 주047)
울워:
우러러. 울월-[仰]++아/어.
【白毫相 터릿 주048)
터릿:
털의. 터리+ㅅ(관형격조사).
라 주049)
라:
모습이다. [樣子/樣姿]+ㅣ(서술격조사)+라.
無數 天子와 天女히 다 無上 菩提道 주050)
무상보리도(無上菩提道):
최고의 깨달음에 이르는 가르침. 더없는 깨달음의 길.
애 發心니라 魔王이 다시 兵馬 니와다 주051)
니와다:
일으켜. 니왇-[起]+아/어.
려와 주052)
려와:
내려 와. 리-[下]+아/어#오-[來]+아/어.
주053)
제:
제가. ‘제(상성)’가 여기서는 주격으로 쓰임. 당시 대명사의 주격형과 관형격은 다음과 같이 성조로 구별되었음. 주격은 ·내(거성) :네(상성) :제(상성) ·뉘(거성), 관형격은 내(평성), 네(평성), 제(평성) :뉘(상성)임.
나 주054)
나:
나아가. 낫-[進](ㅅ불규칙)+아/어.
菩薩

월인석보 4:14ㄴ


주055)
드:
들어가. 들-[入]++아/어.
주056)
말 겻구더니:
말로 겨루더니. 겻구-[競]++더+니. 저경에는 ‘相難’으로 되어 있음. → 21쪽 ‘24) 겻구다’.
菩薩이 智慧力으로  누르시니 주057)
누르시니:
누르시니. 누르-[壓]+시+니.
【力은 히미라】 즉자히 地動니 魔王이며 주058)
마왕(魔王)이며:
마왕이며. 魔王+이며(접속조사).
주059)
제:
제. ‘제(평성)’. 여기서는 관형격으로 쓰임.
귓것히 다갓고로디니라 주060)
갓고로디니라:
거꾸러졌다. 갓고로디-[顚]+니+라. → 22쪽 ‘25) 갓고로디다’.
菩薩이 魔王 降服시고 주061)
항복(降服)시고:
항복하게 하고야. 降服-+ㅣ(사동접미사)+시+고+(강세의 보조사).
正覺 일우시니라 주062)
일우시니라:
이루신 것이다. 일우-[成]+시+니+라.
【魔王 降服샤미 주063)
항복(降服)샤미:
항복시킴이. 降服-+ㅣ+시+옴/움+이(주격조사). 선어말어미 ‘-시-’는 ‘-오/우-’와 결합할 때 ‘샤’로 변동됨.
長者 주064)
장자(長者):
인도에서 좋은 집안에서 나서 많은 재산을 가지고 덕을 갖춘 사람을 이름.
 주065)
:
딸의. 딸이. [女]+(관형격조사). 이 문맥에서 ‘/의’는 주어적 관형격으로 사용되었음. 주어적 관형격이란 내포문 안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내포문 서술어의 의미상 주어가 주격조사와 결합하기보다는 관형격조사 ‘/의’, ‘ㅅ’과 결합하는 현상을 이름. 여기 ‘長者  粥 받…’의 일은 〈월석 25:38ㄱ〉협주에 선생촌주(善生村主)의 두 딸로, 이름은 난타(難陁)와 바라(婆羅)라고 나옴.
받 주066)
받:
바친. 드린. 받-[奉]+(객체높임 선어말어미)+(/으)ㄴ(관형사형 어미). ‘’은 목적어 명사가 주어 명사보다 화자 또는 설화자(說話者)에게 높다고 인식될 때 쓰임. → 38쪽 ‘내니’.
 라 주067)
 라:
한 해이다. 같은 해이다. (평성, 관형사)#[年]+∅(영형태 서술격조사)+다/라. 이 해는 부처님 성도(成道)하신 해로, 연대에 대해서 이설도 있으나 WFB(World Fellowship of Buddhists: 세계불교도협회)에 따라 B.C. 589년으로 봄(‘부처님 일생 연표’ 「부처님의 생애」 424쪽).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저경〕 是時菩薩徐舉眉間毫擬阿鼻地獄 令罪人見白毫流水 注如車軸大火暫滅 自憶前世所作諸罪 心得清涼稱南無佛 以是因緣受罪畢訖直生人中 魔見是相 憔悴愁惱忽然還宮 白毫直至六天 見白毫孔諸寶蓮華 過去七佛在其華上 如是白毫上至無色 遍照一切如玻瓈鏡 八萬四千天女視波旬身狀如焦木 但瞻菩薩白毫相光 無數天子天女皆發無上菩提道意 時魔王自前與佛相難 菩薩以智慧力 伸手按地應時地動 魔與官屬顛倒而墮 已降魔怨成正真覺 >(석가보 석가강생석종성불연보 제4의 3 〈대정신수대장경 제50, 32쪽 상〉)

[수하항마 7]
보살이 미간의 흰 털을 천천히 드시어 아비지옥을 겨누시니, 털에서 큰물이 흘러나와 큰 불이 잠깐 〈동안에〉 꺼지거늘, 죄인들이 보고 각각 지은 죄를 알아 마음이 시원하여 나무불을 일컬으니【‘나무’는 귀명하다 하는 뜻이니 ‘귀명’은 내 명을 부처님께 가져가는 것이다.】 그 인연으로 인간에 다 태어나니, 마왕이 이런 모양을 보고 시름하여 돌아갔다. 보살의 흰 털이 바로 육천에 가서 그 끝에서 여러 연꽃이 나니, 그 연꽃에 일곱 부처가 앉아 계시며일곱 부처비바시불시기불비사부불구류손불구나함모니불가섭파불석가문불이시다.】 그 흰 털이 무색계에 이르기까지 가서 다 비치시니, 고른 파려의 거울과 같으신데,【‘경’은 거울이다.】 팔만사천의 천녀들이 마왕을 보니, 불에 탄 나무 같고, 오직 보살의 백호상광을 우러러【‘백호상’은 흰 털의 모습이다.】 무수한 천자와 천녀들이 다 무상의 보리도에 발심하였다. 마왕이 다시 병마 일으켜 내려와 스스로 나아가 보살께 가서 말로 겨루더니, 보살이 지혜력으로 땅을 누르시니【‘력’은 힘이다.】 즉시 땅이 흔들리더니, 마왕이며 그들의 귀신들이 다 거꾸러졌다. 보살이 마왕을 항복시키시고서야 정각을 이루셨다.【마왕 항복시키신 것이 장자의 딸이 죽을 바친 해와 한(=같은) 해이다.
Ⓒ 역자 | 김영배 / 2010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5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흰. -[白]+(/으)ㄴ(관형사형 어미).
주002)
터리:털을. 터리[毛](평-거)+. 이는 〈월곡 상:33ㄱ·ㄴ〉의 앞뒤에 ‘터리’와 ‘터러글’이 쓰인 것을 보면 ‘터리’와 ‘터럭’은 쌍형으로 쓰였으며, 이는 ‘터리’〈석상 6:27ㄱ〉과 ‘ 터럭’〈석상 11:9ㄱ〉의 쓰임을 보아도 알 수 있음.
주003)
기:천천히. 조용히. 기(평-평-평-평-평, 부사). 기 거러 모  니거늘〈석상 6:30ㄱ〉.
주004)
드르샤:드시어. 들-[擧]+(/으)시+아/어. 어간 ‘ㄹ’은 종성 자음 ‘ㄴ, ㅅ, ㅈ’ 등 앞에서 줆이 대체적인 표기이나, 이 경우 ‘ㄹ’은 어미에 매개모음이 개입되면서 그대로 쓰인 점이 현대어와 다름.
주005)
견지시니:겨누시니. 견지-[擬]+시+니.
주006)
터리예셔:털에서. 터리+에셔. ‘ㅣ’모음 뒤에서 ‘에’가 ‘예’로 변하여 나타남. ‘-에셔(거-거, 조사)’는 ‘시발’의 기능과 ‘비교’의 기능이 같이 씌었음.
주007)
큰:큰. 크-[大](거성)+ㄴ(관형사형 어미).
주008)
므리:물이. 믈[水]+이(주격조사). 당시에는 ‘믈[水]’과 ‘물[群]’이 최소대립어로 구별되었음.
주009)
브:부어. 븟-[注](ㅅ불규칙)+아/어.
주010)
한:큰. 하-[多/大](거성, 형용사)+(/으)ㄴ(관형사형 어미). ¶ 한비 사리로[大雨三日]〈용가 67〉.
주011)
간:잠깐. 조금. ‘간’(상-평, 부사). 이는 아무래도 한자어 ‘暫間’의 당시 발음을 나타낸 것으로 보임. 〈월석 9: 29ㄴ〉에도 나타남.
주012)
디거늘:꺼지거늘. 디-[滅]+거늘(설명·이유·원인의 연결어미).
주013)
죄인(罪人)히:죄인들이.
주014)
보고:보고. 보-[見]++고.
주015)
제여곰:제각각. 제각기. 제여곰(평-평-거, 부사). 이는 동음어로 명사로도 쓰였음. ¶ 各各 제여곰일〈석상 13:39ㄱ〉.
주016)
지:지은. 짓-[作]+오/우(의도법 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 어미).
주017)
미:마음이. [心]+이.
주018)
환야:시원하여. 환-[淸涼]+아/어. ‘싀훤-’의 모음교체형으로 보임. ¶ 暢 싀훤씨라〈석상 24:20ㄴ〉. → 12쪽 ‘6) 환다’.
주019)
나무불(南無佛):namo buddhāya. 삼귀의(三歸依)의 하나. 중생이 부처님께 진심으로 귀의 경순(敬順)함.
주020)
일니:일컬으니. 일-[稱](ㄷ불규칙)++(/으)니.
주021)
시름야:걱정하여. 시름[憂]+-+아/어.
주022)
도라가니라:돌아간 것이다. 돌아갔다. 도라가-[還]+니+라.
주023)
바:바로. 곧게. 바[正](평-평, 부사). 이는 형용사 ‘바-’의 어간이 영변화로 파생된 부사로 봄.
주024)
가아:가. 가-[去]+아/어.
주025)
그테:끝에. 긑[末]+에(처소의 부사격조사).
주026)
연(蓮)ㅅ 고재:연꽃에. 蓮+ㅅ(관형격조사)#곶(華)+애(처소의 부사격조사).
주027)
부톄:부처가. 부텨+ㅣ(주격조사).
주028)
안자:앉아. 앉고. 앉-[坐]+아/어.
주029)
겨시며:있으며. 겨시-[在]+며. 이 ‘겨시-’의 ‘겨’는 본시 이두에서 쓰이던 것이 이미 15세기 중엽에는 ‘-시-’의 결합으로 재구조화된 동사 어간으로 쓰였음.
주030)
비바시불(毗婆尸佛):Vipaśyin. 과거 7불의 첫째 부처님.
주031)
시기불(尸棄佛):Śikhi. 과거 7불의 둘째 부처님.
주032)
비사부불(毗舍浮佛):Viśvabhū. 과거 7불의 셋째 부처님.
주033)
구류손불(拘留孫佛):Krakucchanda. 과거 7불의 넷째 부처님.
주034)
구나함모니불(拘那含牟尼佛):Kanakamuni. 과거 7불의 다섯째 부처님.
주035)
가섭파불(迦葉波佛):Kāśyapa. 과거 7불의 여섯째 부처님.
주036)
석가문불(釋迦文佛):Śākyamuni. 석가모니. 석가. 불교의 교조.
주037)
석가문불(釋迦文佛)왜시니라:석가문불이신 것이다. 釋迦文佛+와(공동격조사)+ㅣ(서술격조사)+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니+라.
주038)
무색계(無色界):삼계의 하나. 색계(色界) 위에 있어 물질을 여읜 정신적 존재인 세계. → 42쪽 ‘삼계(三界)’.
주039)
니르리:이르기까지. 니를-[至]+이(부사 파생접미사).
주040)
다:다. 모두. 다[皆](상성, 부사).
주041)
비취시니:비추시니. 비치시니. 비취-[照]+시+니. 이 동사는 자·타동으로 같이 쓰였음.
주042)
고:고른. 평평한. 고-[均]+ㄴ(관형사형 어미).
주043)
파려경(玻瓈鏡)이:파려경이. 玻瓈鏡+이(주격조사). ‘이(주격조사)’는 ‘-,’ 등 앞에서 비교의 기능으로 쓰였음. 이 ‘파려’는 ‘파리(玻璃, 頗梨)’로도 쓰며, 수정(水精)을 이름.
주044)
신대:같으시니. -[如]+(/으)시+ㄴ대.
주045)
거우뤼라:거울이다. 거우루[鏡]+ㅣ(서술격조사)+라.
주046)
블누른:불에 누른. 블눋-[焦]+(/으)ㄴ(관형사형 어미). 중세문헌에서 찾아볼 수 없고 여기 처음 나오는 것으로 보임. → 12쪽 ‘7) 블눋다’.
주047)
울워:우러러. 울월-[仰]++아/어.
주048)
터릿:털의. 터리+ㅅ(관형격조사).
주049)
라:모습이다. [樣子/樣姿]+ㅣ(서술격조사)+라.
주050)
무상보리도(無上菩提道):최고의 깨달음에 이르는 가르침. 더없는 깨달음의 길.
주051)
니와다:일으켜. 니왇-[起]+아/어.
주052)
려와:내려 와. 리-[下]+아/어#오-[來]+아/어.
주053)
제:제가. ‘제(상성)’가 여기서는 주격으로 쓰임. 당시 대명사의 주격형과 관형격은 다음과 같이 성조로 구별되었음. 주격은 ·내(거성) :네(상성) :제(상성) ·뉘(거성), 관형격은 내(평성), 네(평성), 제(평성) :뉘(상성)임.
주054)
나:나아가. 낫-[進](ㅅ불규칙)+아/어.
주055)
드:들어가. 들-[入]++아/어.
주056)
말 겻구더니:말로 겨루더니. 겻구-[競]++더+니. 저경에는 ‘相難’으로 되어 있음. → 21쪽 ‘24) 겻구다’.
주057)
누르시니:누르시니. 누르-[壓]+시+니.
주058)
마왕(魔王)이며:마왕이며. 魔王+이며(접속조사).
주059)
제:제. ‘제(평성)’. 여기서는 관형격으로 쓰임.
주060)
갓고로디니라:거꾸러졌다. 갓고로디-[顚]+니+라. → 22쪽 ‘25) 갓고로디다’.
주061)
항복(降服)시고:항복하게 하고야. 降服-+ㅣ(사동접미사)+시+고+(강세의 보조사).
주062)
일우시니라:이루신 것이다. 일우-[成]+시+니+라.
주063)
항복(降服)샤미:항복시킴이. 降服-+ㅣ+시+옴/움+이(주격조사). 선어말어미 ‘-시-’는 ‘-오/우-’와 결합할 때 ‘샤’로 변동됨.
주064)
장자(長者):인도에서 좋은 집안에서 나서 많은 재산을 가지고 덕을 갖춘 사람을 이름.
주065)
:딸의. 딸이. [女]+(관형격조사). 이 문맥에서 ‘/의’는 주어적 관형격으로 사용되었음. 주어적 관형격이란 내포문 안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내포문 서술어의 의미상 주어가 주격조사와 결합하기보다는 관형격조사 ‘/의’, ‘ㅅ’과 결합하는 현상을 이름. 여기 ‘長者  粥 받…’의 일은 〈월석 25:38ㄱ〉협주에 선생촌주(善生村主)의 두 딸로, 이름은 난타(難陁)와 바라(婆羅)라고 나옴.
주066)
받:바친. 드린. 받-[奉]+(객체높임 선어말어미)+(/으)ㄴ(관형사형 어미). ‘’은 목적어 명사가 주어 명사보다 화자 또는 설화자(說話者)에게 높다고 인식될 때 쓰임. → 38쪽 ‘내니’.
주067)
 라:한 해이다. 같은 해이다. (평성, 관형사)#[年]+∅(영형태 서술격조사)+다/라. 이 해는 부처님 성도(成道)하신 해로, 연대에 대해서 이설도 있으나 WFB(World Fellowship of Buddhists: 세계불교도협회)에 따라 B.C. 589년으로 봄(‘부처님 일생 연표’ 「부처님의 생애」 424쪽).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