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4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4
  • 월인천강지곡 기75~기78(4곡)
  • 월인천강지곡 기76
메뉴닫기 메뉴열기

월인천강지곡 기76


其 七十六
龍 주001)
용(龍):
용을. 龍+(목적격조사).
지 주002)
지:
지어. 짓-[作](ㅅ불규칙)+아/어. → 34쪽 ‘나’.
世尊몸애 주003)
몸애:
몸에. 몸[身]+애/에(처소의 부사격조사).
감아 주004)
감아:
감거늘. 감으매. 감으므로. 감는데도. 감-[繞]+거/아(이유·원인의 연결어미).
慈悲心로 말 아니시니
花鬘 주005)
화만(花鬘):
kusumālā. 인도의 풍속에서 꽃을 묶은 다발로 목이나 몸에 장식하는 것.
라 주006)
라:
만들어. -[造]+아/어.
尊者머리예 주007)
머리예:
머리에. 머리+애/에(처소의 부사격 조사). ‘ㅣ’모음 뒤에서 순행동화로 ‘에’가 ‘예’로 나타남.
연자 주008)
연자:
얹거늘. 얹으므로. 얹었는데도. 엱-[置]+거/아. 어간 ‘엱-’은 자음어미 위에서 ‘-’으로 쓰임. ¶ 尼師檀 왼녁 엇게예 고〈석상 6:30ㄱ〉. ‘거’은 기원적으로 선어말어미 ‘-거-’와 연결어미 ‘-’로 분석될 수 있으나 이 시기에는 ‘-거’이 하나의 형태로 고정됨. 이미 일어난 사실을 주관적으로 확신하여 강조하는 선어말어미 ‘-거-’는 어말 말음이 ‘ㅣ’나 ‘ㄹ’, 계사 뒤에서 ‘-어-’(반드시 분철)로 나타남. 이런 음운론적인 교체 외에도 형태론적 교체를 보이기도 하는데 ‘-거/어-’는 자동사와 결합하고 ‘-아/어-’는 타동사와 결합하며 자동사 ‘오-[來]’ 뒤에서는 ‘-나-’로 교체됨.
神通力 주009)
신통력(神通力):
우리 마음으로 헤아리기 어렵고 생각할 수 없이 신기하게 통달한 능력.
으로

월인석보 4:16ㄱ

주010)
모:
목을. 목[頸]+(목적격조사).
구디 주011)
구디:
굳이. 굳게. 단단하게. 구디[堅](평-거, 부사).
니 주012)
니:
매니. 묶으니. -[結]+니. ¶ 사 보니마다 야 티고〈석상 24:13ㄴ〉.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기 칠십육
큰 용을 만들어 세존의 몸에 감거늘(감는데도) 〈세존께서〉 자비심으로 말을 아니하시니.
꽃장식을 만들어 존자
(세존)
의 머리에 얹거늘(얹었는데도) 〈세존께서〉 신통력으로 목을 단단하게 매니.
Ⓒ 역자 | 김영배 / 2010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용(龍):용을. 龍+(목적격조사).
주002)
지:지어. 짓-[作](ㅅ불규칙)+아/어. → 34쪽 ‘나’.
주003)
몸애:몸에. 몸[身]+애/에(처소의 부사격조사).
주004)
감아:감거늘. 감으매. 감으므로. 감는데도. 감-[繞]+거/아(이유·원인의 연결어미).
주005)
화만(花鬘):kusumālā. 인도의 풍속에서 꽃을 묶은 다발로 목이나 몸에 장식하는 것.
주006)
라:만들어. -[造]+아/어.
주007)
머리예:머리에. 머리+애/에(처소의 부사격 조사). ‘ㅣ’모음 뒤에서 순행동화로 ‘에’가 ‘예’로 나타남.
주008)
연자:얹거늘. 얹으므로. 얹었는데도. 엱-[置]+거/아. 어간 ‘엱-’은 자음어미 위에서 ‘-’으로 쓰임. ¶ 尼師檀 왼녁 엇게예 고〈석상 6:30ㄱ〉. ‘거’은 기원적으로 선어말어미 ‘-거-’와 연결어미 ‘-’로 분석될 수 있으나 이 시기에는 ‘-거’이 하나의 형태로 고정됨. 이미 일어난 사실을 주관적으로 확신하여 강조하는 선어말어미 ‘-거-’는 어말 말음이 ‘ㅣ’나 ‘ㄹ’, 계사 뒤에서 ‘-어-’(반드시 분철)로 나타남. 이런 음운론적인 교체 외에도 형태론적 교체를 보이기도 하는데 ‘-거/어-’는 자동사와 결합하고 ‘-아/어-’는 타동사와 결합하며 자동사 ‘오-[來]’ 뒤에서는 ‘-나-’로 교체됨.
주009)
신통력(神通力):우리 마음으로 헤아리기 어렵고 생각할 수 없이 신기하게 통달한 능력.
주010)
모:목을. 목[頸]+(목적격조사).
주011)
구디:굳이. 굳게. 단단하게. 구디[堅](평-거, 부사).
주012)
니:매니. 묶으니. -[結]+니. ¶ 사 보니마다 야 티고〈석상 24:13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