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4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4
  • 월인천강지곡 기67~기74(8곡)
  • 월인천강지곡 기74
메뉴닫기 메뉴열기

월인천강지곡 기74


其 七十四
魔王〔이 말〕 재야 주001)
재야:
(행동이) 재빨라. (입이) 가벼워. 재-[敏]+아/어, ‘재-’의 ‘ㅣ’모음에 의한 순행동화를 입어 ‘-아’가 ‘-야’로 변동된 것임. ‘입이 재다’의 형용사 ‘재-’로서 참을성이 없어 입놀림이 가볍다는 뜻.
부텻 주002)
부텻긔:
부처님께. 부텨[佛]+ㅅ긔(부사격조사).
나 드니 주003)
나 드니:
나아가 대드니. 낫-+아/어(연결어미)#들-[入]+니(연결어미). ‘낫-’(ㅅ불규칙)+‘-아/어’(연결어미)가 ‘나’로 되고 ‘들-+니(연결어미)’에서 어간 ‘ㄹ’이 자음어미 ‘ㄴ, ㄷ, ㅿ’ 앞에서 탈락됨.
주004)
현:
몇. 현(거성, 관형사). ¶ 현 번을 딘(雖則屢蹶)〈용가 31〉.
날인 주005)
날인:
날인들. 날[日]+이(서술격조사)+ㄴ(조건 양보 부정의 연결어미).
〔迷〕惑 주006)
미혹(迷惑):
사리(事理)에 밝지 못하여 마음이 홀려서 정신을 차리지 못함.
어〔느 주007)
어느:
어찌. 어느[何](평-거, 부사). 이는 관형사, 대명사로 두로 쓰임.
플리 주008)
플리:
풀까? 풀 것입니까? 플-[解]+리(의문 종결어미).
부텻 智力 주009)
지력(智力):
지혜의 힘.
으로 魔〔王이 업〕

월인석보 4:4ㄴ

더디니
주010)
업더디니:
엎드러지니. 엎더디-[顚倒]+니(이유·설명의 연결어미).
二月ㅅ 주011)
이월(二月)ㅅ:
2월의. 二月+ㅅ(관형격조사).
八〔日에 正〕覺 일우시니 주012)
일우시니:
이루시니. 일우-[成]+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니(종결어미).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기 칠십사
마왕이 말이 재어(가벼워) 부처님께 나아가 대드니, 몇 날인들(오랜 세월이 지나도) 미혹을 어찌 풀리?
부처님의 지력으로 마왕이 엎드러지니, 〈보살이 바로〉 2월 8일에 정각을 이루시니.
Ⓒ 역자 | 김영배 / 2010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재야:(행동이) 재빨라. (입이) 가벼워. 재-[敏]+아/어, ‘재-’의 ‘ㅣ’모음에 의한 순행동화를 입어 ‘-아’가 ‘-야’로 변동된 것임. ‘입이 재다’의 형용사 ‘재-’로서 참을성이 없어 입놀림이 가볍다는 뜻.
주002)
부텻긔:부처님께. 부텨[佛]+ㅅ긔(부사격조사).
주003)
나 드니:나아가 대드니. 낫-+아/어(연결어미)#들-[入]+니(연결어미). ‘낫-’(ㅅ불규칙)+‘-아/어’(연결어미)가 ‘나’로 되고 ‘들-+니(연결어미)’에서 어간 ‘ㄹ’이 자음어미 ‘ㄴ, ㄷ, ㅿ’ 앞에서 탈락됨.
주004)
현:몇. 현(거성, 관형사). ¶ 현 번을 딘(雖則屢蹶)〈용가 31〉.
주005)
날인:날인들. 날[日]+이(서술격조사)+ㄴ(조건 양보 부정의 연결어미).
주006)
미혹(迷惑):사리(事理)에 밝지 못하여 마음이 홀려서 정신을 차리지 못함.
주007)
어느:어찌. 어느[何](평-거, 부사). 이는 관형사, 대명사로 두로 쓰임.
주008)
플리:풀까? 풀 것입니까? 플-[解]+리(의문 종결어미).
주009)
지력(智力):지혜의 힘.
주010)
업더디니:엎드러지니. 엎더디-[顚倒]+니(이유·설명의 연결어미).
주011)
이월(二月)ㅅ:2월의. 二月+ㅅ(관형격조사).
주012)
일우시니:이루시니. 일우-[成]+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니(종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