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4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4
  • 성불의 증명과 알림
  • 성불의 증명과 알림
메뉴닫기 메뉴열기

성불의 증명과 알림


[성불의 증명과 알림]
彈王如來묻 주001)
묻:
묻되. 묻-[問](ㄷ불규칙)+(객체높임 선어말어미)+오/우(양보의 연결어미).
功德 주002)
공덕(功德):
좋은 일을 쌓은 공과 불도를 수행한 덕. 복덕.
주003)
뉘:
누가. 누[誰]+이/ㅣ(주격조사). ‘·뉘(거성)’은 주격조사 결합형, :뉘(상성)는 관형격조사 가 붙은 것임.
본고 주004)
본고:
증거이냐? 증명하느냐? 본[本證]+고(설명의 의문법 종결어미).
如來 주005)
여래(如來):
여래가. 如來+∅(영형태 주격조사).
 치시니 주006)
치시니:
가리키시니. 치-[指]+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니(·의 연결어미).
즉자히 六種震動

월인석보 4:44ㄴ

고 堅窂 地神소사나아 주007)
소사나아:
솟아나. 솟아나서. 솟-[湧]+아/어(보조적 연결어미)#나-[出]’+아/어(보조적 연결어미). ‘솟나-’와 같은 뜻으로 쓰인 통사적 구성임.
닐오 주008)
닐오:
이르되. 이르기를. 니-/닐-[云]+오/우(양보의 연결어미).
본즈로라 주009)
본즈로라:
증거이도다. 본[本證]+이(서술격조사)+도/로(감탄법 선어말어미)+다(설명법 종결어미).
더라 주010)
더라:
했다. -+더(과거시상 선어말어미)+다/라(설명법 종결어미).
如來 成佛 주011)
성불(成佛):
석존이 붓다가야에서 깨달음을 얻어 부처가 됨.
야시 주012)
야시:
하시거늘. -+아/어/야+시+. 연결어미 ‘-아’는 모음조화에 따라 ‘-아/어’로 변하지만 ‘-’ 뒤에서만은 ‘야’로 변동됨.
햇 주013)
햇:
땅에의. 땅의. [地](ㅎ종성체언)+애/에(처소의 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
神靈 주014)
신령(神靈):
신의 영혼.
虛空ㄱ 神靈 주015)
허공(虛空)ㄱ 신령(神靈):
허공의 신령께. 虛空+ㄱ(관형격조사)#神靈+(존칭의 부사격조사). ‘’는 ‘ㅅ’과 ‘긔’로 분석될 수 있는데 ‘ㅅ’는 유정 존칭 체언에 사용되는 존칭 관형격 ‘ㅅ’이고 ‘긔’는 낙차점 처소의 부사격조사 ‘’는 존칭으로 쓰임.
알외며 虛空ㄱ 神靈이 하 神靈 주016)
하신령(神靈):
하늘의 신령께. 하[天]+ㆆ(관형격조사, 사잇소리)#神靈+(존칭의 부사격조사). ‘하’의 ‘ㆆ’은 ‘ㅎ종성체언’의 ‘ㅎ’이 아니라 체언 끝소리 ‘ㄹ’에 결합된 관형격조사(사잇소리)임. 당시에 ‘ㆆ’은 관형사형 어미 ‘-ㄹ’과 함께 쓰이는 것으로 뒤에 오는 낱말이 무성음일 때 한하여 사용되었으나, 드물게 ‘ㄹ’ 끝소리 명사와 다른 명사가 연결될 때 사용되기도 함. 듣 (塵垢)(월석 서문:8ㄴ). 당시 ‘하 神靈’의 일반적인 표기는 ‘하 神靈’임.
알외야 주017)
알외야:
알리어. 알외-[告]+아/어. ‘아/어’가 모음 ‘ㅣ’ 뒤에서 ‘야/여’로 변동된 것임.
노 주018)
노:
높은. 높-[高]+(/으)ㄴ(관형사형 어미).
하 우희 주019)
우희:
위에. 웋(ㅎ종성체언)+의(특이 처소의 부사격조사).
니르리 주020)
니르리:
이르끼까지. 니를-[至]+이(부사 파생접미사).
뎐톄로 주021)
뎐톄로:
차례로 번갈아. 뎐톄로(평-거-거, 부사). → 25쪽 ‘33) 뎐톄로’.
알외더라 주022)
알외더라:
알렸다. 알외-[告]+더(과거시상 선어말어미)+다/라(설명법 종결어미).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저경 미상]
〔저경〕 〔역자 주〕* 저경 미상

[성불의 증명과 알림]
탄왕여래께 묻되, “너의 공덕은 누가 증명하느냐?” 여래가 땅을 가리키시니 즉시 여섯 가지로 땅이 움직이고 견로지신이 솟아나와 이르되, “내가 증명이다(증명한다).” 했다. 여래 성불하시거늘(하였는데), 땅의 신령이 허공의 신령께 알리며, 허공의 신령이 하늘의 신령께 알려서 또 높은 하늘 위에 이르기까지 차례로 번갈아 알렸다.
Ⓒ 역자 | 김영배 / 2010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묻:묻되. 묻-[問](ㄷ불규칙)+(객체높임 선어말어미)+오/우(양보의 연결어미).
주002)
공덕(功德):좋은 일을 쌓은 공과 불도를 수행한 덕. 복덕.
주003)
뉘:누가. 누[誰]+이/ㅣ(주격조사). ‘·뉘(거성)’은 주격조사 결합형, :뉘(상성)는 관형격조사 가 붙은 것임.
주004)
본고:증거이냐? 증명하느냐? 본[本證]+고(설명의 의문법 종결어미).
주005)
여래(如來):여래가. 如來+∅(영형태 주격조사).
주006)
치시니:가리키시니. 치-[指]+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니(·의 연결어미).
주007)
소사나아:솟아나. 솟아나서. 솟-[湧]+아/어(보조적 연결어미)#나-[出]’+아/어(보조적 연결어미). ‘솟나-’와 같은 뜻으로 쓰인 통사적 구성임.
주008)
닐오:이르되. 이르기를. 니-/닐-[云]+오/우(양보의 연결어미).
주009)
본즈로라:증거이도다. 본[本證]+이(서술격조사)+도/로(감탄법 선어말어미)+다(설명법 종결어미).
주010)
더라:했다. -+더(과거시상 선어말어미)+다/라(설명법 종결어미).
주011)
성불(成佛):석존이 붓다가야에서 깨달음을 얻어 부처가 됨.
주012)
야시:하시거늘. -+아/어/야+시+. 연결어미 ‘-아’는 모음조화에 따라 ‘-아/어’로 변하지만 ‘-’ 뒤에서만은 ‘야’로 변동됨.
주013)
햇:땅에의. 땅의. [地](ㅎ종성체언)+애/에(처소의 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
주014)
신령(神靈):신의 영혼.
주015)
허공(虛空)ㄱ 신령(神靈):허공의 신령께. 虛空+ㄱ(관형격조사)#神靈+(존칭의 부사격조사). ‘’는 ‘ㅅ’과 ‘긔’로 분석될 수 있는데 ‘ㅅ’는 유정 존칭 체언에 사용되는 존칭 관형격 ‘ㅅ’이고 ‘긔’는 낙차점 처소의 부사격조사 ‘’는 존칭으로 쓰임.
주016)
하신령(神靈):하늘의 신령께. 하[天]+ㆆ(관형격조사, 사잇소리)#神靈+(존칭의 부사격조사). ‘하’의 ‘ㆆ’은 ‘ㅎ종성체언’의 ‘ㅎ’이 아니라 체언 끝소리 ‘ㄹ’에 결합된 관형격조사(사잇소리)임. 당시에 ‘ㆆ’은 관형사형 어미 ‘-ㄹ’과 함께 쓰이는 것으로 뒤에 오는 낱말이 무성음일 때 한하여 사용되었으나, 드물게 ‘ㄹ’ 끝소리 명사와 다른 명사가 연결될 때 사용되기도 함. 듣 (塵垢)(월석 서문:8ㄴ). 당시 ‘하 神靈’의 일반적인 표기는 ‘하 神靈’임.
주017)
알외야:알리어. 알외-[告]+아/어. ‘아/어’가 모음 ‘ㅣ’ 뒤에서 ‘야/여’로 변동된 것임.
주018)
노:높은. 높-[高]+(/으)ㄴ(관형사형 어미).
주019)
우희:위에. 웋(ㅎ종성체언)+의(특이 처소의 부사격조사).
주020)
니르리:이르끼까지. 니를-[至]+이(부사 파생접미사).
주021)
뎐톄로:차례로 번갈아. 뎐톄로(평-거-거, 부사). → 25쪽 ‘33) 뎐톄로’.
주022)
알외더라:알렸다. 알외-[告]+더(과거시상 선어말어미)+다/라(설명법 종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