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4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4
  • 월인천강지곡 기67~기74(8곡)
  • 월인천강지곡 기69
메뉴닫기 메뉴열기

월인천강지곡 기69


월인석보 4:2ㄱ

其 六十九
白毫 주001)
백호(白毫):
32상호의 하나. 부처님 눈썹 사이에 있는 희고 빛나는 가는 터럭.
견지시니 주002)
견지시니:
겨누시니. 견지-[擬]+(/으)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니(이유·설명의 연결어미).
각시 주003)
각시:
어린 계집. 젊은 계집. ¶ 각시 노라  고 여 드라〈월인 상:18ㄱ〉.
더러 주004)
더러:
더러운. 더럽-[汚](ㅂ불규칙 형용사)+(/으)ㄴ(관형사형 어미) ⟶ 기68 ‘며’.
아래 린 주005)
린:
가린. 리-[蔽]+(/으)ㄴ(관형사형 어미).
거시 업게 주006)
업게:
없게. 없어지게. 없-[無]+게(보조적 연결어미). 일종의 8종성법 표기. ‘없-’이 여기서는 ‘없어지-’란 자동사로 쓰였음.
외니 주007)
외니:
되니. 되었다. 외-[爲]+니(설명법 종결어미, 반말).
一毫도 아니 뮈시니 주008)
뮈시니:
움직이시니. 뮈-[動]+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니(부정칭 연결어미).
鬼兵 주009)
귀병(鬼兵):
귀신들의 군사.
모딘 주010)
모딘:
모진. 모딜-[惡]+(/으)ㄴ(관형사형 어미). 어미 ‘ㄴ’ 앞에서 어간의 ‘ㄹ’ 탈락.
잠개 주011)
잠개:
무기. 병기(兵器). 잠개[武器].
나 주012)
나:
나아가. 낫-[進](ㅅ불규칙)+아. ‘-’은 ‘낫-’의 이형태임. 이 ‘낫-[進]’의 종성 ‘ㅅ’은 자음어미 앞에서는 ‘낫게, 낫고, 낫디…’와 같이 활용하여 변동이 없으나, 모음어미나 매개모음을 취하는 ‘-ㄴ, -ㄹ, -며, -시’ 등 어미 앞에서 ‘ㅅ’은 ‘ㅿ’으로 변동된다. 이와 같은 교체 현상은 모든 어간에 규칙적으로 나타나지 않는데, 이 현상을 설명하는 방법은 두 가지이다. 첫째 ‘ㅅ’ 종성으로 나타나는 경우를 기본형으로 보고, ‘ㅿ’으로 나타나는 경우를 불규칙활용으로 보는 것이며, 둘째는 ‘ㅿ’으로 나타나는 경우를 기본형으로 보고, ‘ㅅ’으로 나타나는 경우를 음절 끝소리 규칙으로 보는 것이다. 여기서는 전자를 취하기로 하여 ㅅ불규칙으로 설명함.
드디 주013)
드디:
들지. 들-[入]+디(부정 대상의 연결어미). 여기서 어간 ‘ㄹ’은 자음 어미 ‘ㄴ, ㄷ, ㅿ’ 앞에서 탈락됨.
몯게 주014)
몯게:
못하게. 몯-(조동사)+게(보조적 연결어미). 어간말 ‘’는 무성폐쇄자음 사이에서 수의적으로 탈락함.
외〔니〕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기 육십구
〈태자가〉 백호로 〈젊은 계집들을〉 겨누시니, 계집들의 더러운 아랫도리의 가린 것이 없어지게 되니.
〈태자가〉 일호도 움직이지 아니하시니, 귀병들의 모진 무기가 〈태자께〉 나아와 〈대〉들지 못하게 되니.
Ⓒ 역자 | 김영배 / 2010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백호(白毫):32상호의 하나. 부처님 눈썹 사이에 있는 희고 빛나는 가는 터럭.
주002)
견지시니:겨누시니. 견지-[擬]+(/으)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니(이유·설명의 연결어미).
주003)
각시:어린 계집. 젊은 계집. ¶ 각시 노라  고 여 드라〈월인 상:18ㄱ〉.
주004)
더러:더러운. 더럽-[汚](ㅂ불규칙 형용사)+(/으)ㄴ(관형사형 어미) ⟶ 기68 ‘며’.
주005)
린:가린. 리-[蔽]+(/으)ㄴ(관형사형 어미).
주006)
업게:없게. 없어지게. 없-[無]+게(보조적 연결어미). 일종의 8종성법 표기. ‘없-’이 여기서는 ‘없어지-’란 자동사로 쓰였음.
주007)
외니:되니. 되었다. 외-[爲]+니(설명법 종결어미, 반말).
주008)
뮈시니:움직이시니. 뮈-[動]+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니(부정칭 연결어미).
주009)
귀병(鬼兵):귀신들의 군사.
주010)
모딘:모진. 모딜-[惡]+(/으)ㄴ(관형사형 어미). 어미 ‘ㄴ’ 앞에서 어간의 ‘ㄹ’ 탈락.
주011)
잠개:무기. 병기(兵器). 잠개[武器].
주012)
나:나아가. 낫-[進](ㅅ불규칙)+아. ‘-’은 ‘낫-’의 이형태임. 이 ‘낫-[進]’의 종성 ‘ㅅ’은 자음어미 앞에서는 ‘낫게, 낫고, 낫디…’와 같이 활용하여 변동이 없으나, 모음어미나 매개모음을 취하는 ‘-ㄴ, -ㄹ, -며, -시’ 등 어미 앞에서 ‘ㅅ’은 ‘ㅿ’으로 변동된다. 이와 같은 교체 현상은 모든 어간에 규칙적으로 나타나지 않는데, 이 현상을 설명하는 방법은 두 가지이다. 첫째 ‘ㅅ’ 종성으로 나타나는 경우를 기본형으로 보고, ‘ㅿ’으로 나타나는 경우를 불규칙활용으로 보는 것이며, 둘째는 ‘ㅿ’으로 나타나는 경우를 기본형으로 보고, ‘ㅅ’으로 나타나는 경우를 음절 끝소리 규칙으로 보는 것이다. 여기서는 전자를 취하기로 하여 ㅅ불규칙으로 설명함.
주013)
드디:들지. 들-[入]+디(부정 대상의 연결어미). 여기서 어간 ‘ㄹ’은 자음 어미 ‘ㄴ, ㄷ, ㅿ’ 앞에서 탈락됨.
주014)
몯게:못하게. 몯-(조동사)+게(보조적 연결어미). 어간말 ‘’는 무성폐쇄자음 사이에서 수의적으로 탈락함.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