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4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4
  • 상인 교화
  • 상인 교화 5
메뉴닫기 메뉴열기

상인 교화 5


[상인 교화 5]

월인석보 4:58ㄴ

世尊이 그 바리로 麨酪蜜摶 주001)
초락밀단(麨酪蜜摶):
→ 147쪽 ‘초락밀단’.
 바다 좌시고 주002)
좌시고:
잡수시고, 자시고, 드시고. 좌시-[食]+고(나열의 연결어미).
바지려 주003)
바지려:
상인에게. 바지[商人]+려(부사격조사). ‘려(평거)’는 현대국어 ‘더러’로 연결되는 조사로 기원적으로는 ‘리-[率](평-거)’의 부사형이 문법화된 형태. ‘려’는 항상 ‘니-[謂]’, ‘묻-[問]’의 지배를 받음.
니샤 주004)
니샤:
이르시되. 니-[謂]+시+오/우(양보의 연결어미).
너희히 주005)
너희히:
너희들이. 너희[汝]+(복수접미사, ㅎ종성체언)+이(주격조사).
내손 주006)
내손:
내게. 나+손(여격조사). 여격조사는 일반적으로 관형격조사 ‘/의, ㅅ’과 ‘그, 거긔’ 및 ‘손’와의 결합으로 이루어짐. 원칙적으로 ‘손/의손’로 나타나야 하지만 ‘王손’처럼 ‘손’만으로도 여격을 나타내기도 함. 다음과 같이, ‘阿闍世王ㄱ손 가니〈석상 24:6ㄱ〉’ ‘-ㄱ손’로 쓰인 것도 있음.
佛法僧에 주007)
불법승(佛法僧)에:
불법승[三寶, 불보, 법보, 승보]에.
歸依홈과 주008)
귀의(歸依)홈과:
귀의함과. 歸依-+옴/움(명사형 어미)+과(접속조사).
다 가짓 주009)
다 가짓:
다섯 가지의. 다[五]#가지+ㅅ(관형격조사).
警戒 주010)
경계(警戒):
계율. 다섯 가지의 경계는 오계(五戒)를 말함. ‘경계(警戒)’를 한한사전에서는 ‘타일러 주의시킴’으로 풀이하고 있으나, 여기서는 문맥에 따라 ‘계율’의 뜻으로 봄.
호면 주011)
호면:
배우면. 호-[學]+면(조건의 연결어미).
【다 가짓 警戒 숨 주012)
숨:
숨을 받은. 생명이 있는. 숨-[生](상-거, 동사)+ㄴ(관형사형 어미).
주기디 주013)
주기디:
죽이지. 주기-[殺]+디(부정 대상의 연결어미).
말며 도 주014)
도:
도둑. 도둑질. 도[盜](평-평, 명사).
말며 婬亂 말며 거즛말 주015)
거즛말:
거짓말. 거즛말[妄語](상-평-상).
말며 수을 주016)
수을:
술. 수을[酒](평-평, 명사). 이 어형은 12세기 초 「계림유사」의 ‘酒曰酥孛’이 참고되며, 이는 ‘*수’ 정도로 추정하여 여기의 ‘수을’과 연결되는 것으로 봄.
고기 먹디 말 씨라 주017)
말 씨라:
하지 말라는 것이다. 말-[勿]+ㄹ(관형사형 어미)#(의존명사)+이(서술격조사)+다/라(설명법 종결어미).
亂 어즈러 주018)
어즈러:
어지러운. 난잡한. 어즈럽-[亂](ㅂ불규칙)+(/으)ㄹ(관형사형 어미).
씨라】
長夜애 주019)
장야(長夜)애:
긴 밤에. 長夜+애(시간 처소의 부사격조사).
便安코 주020)
편안(便安)코:
편안하고. 便安-+고(나열의 연결어미). ‘-+고’가 축약되어 ‘코’가 된 것임.
즐거 주021)
즐거:
즐거워. 즐겁-[喜](ㅂ불규칙)+아/어(보조적 연결어미).
【長夜

월인석보 4:59ㄱ

 긴 바미라】
됴 주022)
됴:
좋은. 둏-[好]+(/으)ㄴ(관형사형 어미).
이 어드리라 주023)
어드리라:
얻을 것이다. 얻-[得]+(/으)리(미래시상 선어말어미)+다/라(설명법 종결어미).
바지히 三歸依 주024)
삼귀의(三歸依):
부처님과 법과 스님의 삼보에 귀의하여 받듦.
受고 주025)
수(受)고:
받고. 受-+(객체높임 선어말어미)+고(나열의 연결어미).
【三歸依 세 고대 주026)
고대:
곳에. 곧[處](거성, 명사).
歸依 씨니 歸依佛 주027)
귀의불(歸依佛):
삼귀의의 하나. 부처님께 돌아가 의지함.
歸依法 주028)
귀의법(歸依法):
삼귀의의 하나. 삿된 법을 버리고 부처님 법에 돌아가 의지함(정법을 닦음).
歸依僧 주029)
귀의승(歸依僧):
삼귀의의 하나. 스님들께 돌아가 의지함.
이라 受는 받다 논 마리니 홀 씨라】
깃 주030)
깃:
기뻐하여. -[悅]+(객체높임 선어말어미)+아/어(보조적 연결어미).
 주031)
:
사뢰되. 여쭈되. -[白](상성, ㅂ불규칙)+오/우(양보의 연결어미).
世尊 주032)
세존(世尊)하:
세존이시여. 世尊+하(존칭의 호격조사).
우리 爲샤 주033)
위(爲)샤:
위하시어. 爲-+시+아/어(보조적 연결어미).
吉祥願 주034)
길상원(吉祥願):
운수가 좋아질 것을 기원함.
을 샤【吉祥願은 됴 願이라】 길헤 주035)
길헤:
길에. 긿[路](ㅎ종성체언)+애/에(처소의 부사격조사).
마 껏 주036)
마껏:
막을 것. 막-[碍]+(/으)ㅭ(관형사형 어미)#것.
업시 리 주037)
리:
빨리. 리[速](평-거, 부사). ‘-’에서 파생된 부사임.
나라해 도라가

월인석보 4:59ㄴ

주038)
도라가게:
돌아가게. 도라가-[歸]+게(보조적 연결어미).
쇼셔 주039)
쇼셔:
해주십시오. -+쇼셔(명령법 종결어미).
世尊이 吉祥願샤 偈 지 주040)
지:
지어. 짓-[作](ㅅ불규칙)+아/어(보조적 연결어미).
니샤 주041)
원(願):
원컨대. 願(거-평-거, 부사). 본래는 ‘願-(동사)+(/으)ㄴ(관형사형 어미)#(의존명사)+(/으)ㄴ(대조의 보조사)’와 같은 구성으로 ‘원하는 바는’으로 쓰이다가 부사로 재구조화된 것임.
  사도 便安며 쇼도 주042)
쇼도:
마소도. [馬]#쇼[牛]+도(보조사). ‘쇼’는 ‘+쇼’에서 ‘ㄹ’이 탈락한 것임.
便安야 녀는 주043)
녀는:
가는. 녀-[行]+(현재시상 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 어미).
길헤 거틸 꺼시 주044)
거틸 꺼시:
넘어질 것이. 거꾸러질 것이. 걸려 넘어질 것이. 거티-[蹶]+ㅭ(관형사형 어미)#것+이(주격조사).
업고라 주045)
업고라:
없으라. (없어지라.) 없-[無]+고라(명령의 종결어미). 청원의 뜻을 가진 명령법에는 ‘-고려, -고라’와 ‘-지라(라체), -지다(하쇼셔체)’가 존재함. ‘-지라, -지다’는 화자 자신의 일이 이루어지게 해달라는 표현이며 항상 선어말어미 ‘-거/어-’나 ‘-아/어-’가 선행함.
바지히   世尊하 우리  거슬 주046)
 거슬:
한 물건을. [一](평성, 관형사)#것+을(목적격조사).
주어시 주047)
주어시:
주시면. 주-[授]+거/어/나+시+. 조건의 연결어미 ‘-거/어/나’ 가운데 연결되고 여기에 선어말어미 ‘-시-’가 결합할 때 ‘시아’으로 되지 않고 한 형태소 사이에 ‘-시-’가 삽입되는데, 이런 형태를 불연속형태소라고 함. 이미 일어난 사실을 주관적으로 확신하여 강조하는 선어말어미 ‘-거-’는 어말 말음이 ‘ㅣ’나 ‘ㄹ’, 계사 뒤에서 ‘-어-’(반드시 분철)로 나타남. 이런 음운론적인 교체 외에도 형태론적 교체를 보이기도 하는데 ‘-거/어-’는 자동사와 결합하고 ‘-아/어-’는 타동사와 결합하며 자동사 ‘오-[來]’ 뒤에서는 ‘-나-’로 교체됨.
本鄕 주048)
본향(本鄕):
본 고향. 원래의 고향.
애 가아【本鄕 本來 제 사 올히라 주049)
올히라:
고을이다. 옳[鄕](ㅎ종성체언)+이(서술격조사)+다/라(설명법 종결어미).
일어 주050)
일어:
만들어. 이르-/일-[造]+아/어(보조적 연결어미).
죽록 주051)
죽록:
죽도록. 죽-[死]+록(도급의 연결어미).

월인석보 4:60ㄱ

供養지다 주052)
공양(供養)지다:
공양하고 싶습니다. 供養-+아/어(선어말어미)+지다(청원의 종결어미).
世尊마리 터럭과 손톱과 주053)
마리터럭과 손톱과:
머리털과 손톱을. 마리[頭]#터럭[毛]+과(접속조사)#손톱[爪]+과(접속조사)+(목적격조사). → 115쪽 ‘무루왜라’.
주시고 니샤 너희 이거슬 날와 주054)
날와:
나와. 나+와(접속조사). ‘날와’와 ‘눌와’처럼 접속조사 ‘와’가 결합할 때 ‘ㄹ’이 첨가되는 현상이 나타나기도 함.
달이 주055)
달이:
달리. 다르게. 달이(평-거, 부사). ‘다-[異]’에 부사 파생접미사 ‘이’가 결합한 것임.
너기디 주056)
너기디:
여기지. 너기-[念]+디(부정 대상의 보조적 연결어미).
말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저경〕 爾時世尊 於新淨潔天施鉢內 (從彼北天帝梨富娑并跋梨迦 二商主邊) 受於麨酪蜜和之搏 (慈愍故受 如法而食) 食已即告彼二商主及諸人言 汝商主等 來從我受歸依佛歸依法歸依僧 復受五戒 當令汝等長夜安樂獲大善利) 其二商主 及諸眷屬 (聞佛語已 即共白言 如佛聖教 我等不違) 即便共受三自歸依 (彼二商主 於人世間 最初而得三歸五戒優婆塞名 所謂帝梨富娑二商主等 爾時世尊以)二商主生隨喜(故 而說偈言)…(중략)…(爾時帝梨富娑二商主等 及諸商人) 共白言 世尊 我等諸人 今在道路 唯願世尊 爲我等故 作吉祥願 當令我等無有障礙速疾而至自所居國 爾時世尊 爲二商主及諸商人 作吉祥願 而說偈言 願令二足大吉利 一切四足亦大安 (行路至處多吉祥 所向諸方悉如意 晝夜行坐皆慶適 日中所在亦多宜 於一切處願從心 商主商人並康健 希望子故種田作 散子既竟望收多 一切商人求利行 入海艱難採珍寶 汝等承望故行路 願所規獲利速成 我今得道快喜歡 汝隨至方皆願吉 心所欲取一切利 如汝等願速稱心) 行向經歷所至方 悉願無有諸障礙 爾時商主 同白言 世尊 願乞我等一物作念 若到本鄉 不見世尊 當以彼物作塔 禮拜以表憶念大聖世尊 我等諸人 供養尊重 盡今形壽 爾時世尊 即與諸商佛身髮爪以用作念 而告之言 汝等商主 此之髮爪 今持與汝 令汝作念 若見此物 與我無異 (於後當更別有一石從空而下 至汝等處 汝等若見 當還起塔供養尊重 >(불본행집경 권32 이상봉식품 하, 〈대정신수대장경 제3, 801쪽 상~803쪽 중〉)

[상인 교화 5]
세존이 그 바리때로 초락밀단을 받아 잡수시고 상인에게 이르되, “너희들이 나에게 불법승에 귀의함과 다섯 가지 경계를 배우면【다섯 가지의 경계는 생명이 있는 것 죽이지 말며, 도둑질 말며, 음란한 일 말며, 거짓말 말며, 술 고기 먹지 않는 것이다. ‘란’은 어지러운 것이다.】 장야에 편안하고 즐거워【‘장야’는 긴 밤이다.】 큰 좋은 일을 얻을 것이다.” 상인들이 삼귀의를 받고【‘삼귀의’는 세 곳에 귀의하는 것이니, 귀의불·귀의법·귀의승이다. ‘수’는 ‘받다’는 말이니 배우는 것이다.】 기뻐하여 또 사뢰되, “세존이시여. 우리 위하여 길상원을 내시어【‘길상원’은 좋은 원이다.】 〈가는〉 길에 막을(막힐) 것 없이 빨리 나라에 돌아가게 해 주십시오.” 세존이 길상원을 내시어 게 지어 이르시되, “원컨대 사람도 편안하며 마소도 편안하여 가는 길에 거칠 것이 없으라.” 상인들이 또 사뢰되, “세존이시여. 우리에게 한 것(한 가지 물건)을 주시면 본향에 가서【‘본향’은 본래 스스로가 사는 고을이다.】 탑을 이루어 죽도록 공양하고 싶습니다.” 했다. 세존이 머리털과 손톱을 주시고 이르시되, “너희는 이것을 나와 달리 여기지 말라.”
Ⓒ 역자 | 김영배 / 2010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5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초락밀단(麨酪蜜摶):→ 147쪽 ‘초락밀단’.
주002)
좌시고:잡수시고, 자시고, 드시고. 좌시-[食]+고(나열의 연결어미).
주003)
바지려:상인에게. 바지[商人]+려(부사격조사). ‘려(평거)’는 현대국어 ‘더러’로 연결되는 조사로 기원적으로는 ‘리-[率](평-거)’의 부사형이 문법화된 형태. ‘려’는 항상 ‘니-[謂]’, ‘묻-[問]’의 지배를 받음.
주004)
니샤:이르시되. 니-[謂]+시+오/우(양보의 연결어미).
주005)
너희히:너희들이. 너희[汝]+(복수접미사, ㅎ종성체언)+이(주격조사).
주006)
내손:내게. 나+손(여격조사). 여격조사는 일반적으로 관형격조사 ‘/의, ㅅ’과 ‘그, 거긔’ 및 ‘손’와의 결합으로 이루어짐. 원칙적으로 ‘손/의손’로 나타나야 하지만 ‘王손’처럼 ‘손’만으로도 여격을 나타내기도 함. 다음과 같이, ‘阿闍世王ㄱ손 가니〈석상 24:6ㄱ〉’ ‘-ㄱ손’로 쓰인 것도 있음.
주007)
불법승(佛法僧)에:불법승[三寶, 불보, 법보, 승보]에.
주008)
귀의(歸依)홈과:귀의함과. 歸依-+옴/움(명사형 어미)+과(접속조사).
주009)
다 가짓:다섯 가지의. 다[五]#가지+ㅅ(관형격조사).
주010)
경계(警戒):계율. 다섯 가지의 경계는 오계(五戒)를 말함. ‘경계(警戒)’를 한한사전에서는 ‘타일러 주의시킴’으로 풀이하고 있으나, 여기서는 문맥에 따라 ‘계율’의 뜻으로 봄.
주011)
호면:배우면. 호-[學]+면(조건의 연결어미).
주012)
숨:숨을 받은. 생명이 있는. 숨-[生](상-거, 동사)+ㄴ(관형사형 어미).
주013)
주기디:죽이지. 주기-[殺]+디(부정 대상의 연결어미).
주014)
도:도둑. 도둑질. 도[盜](평-평, 명사).
주015)
거즛말:거짓말. 거즛말[妄語](상-평-상).
주016)
수을:술. 수을[酒](평-평, 명사). 이 어형은 12세기 초 「계림유사」의 ‘酒曰酥孛’이 참고되며, 이는 ‘*수’ 정도로 추정하여 여기의 ‘수을’과 연결되는 것으로 봄.
주017)
말 씨라:하지 말라는 것이다. 말-[勿]+ㄹ(관형사형 어미)#(의존명사)+이(서술격조사)+다/라(설명법 종결어미).
주018)
어즈러:어지러운. 난잡한. 어즈럽-[亂](ㅂ불규칙)+(/으)ㄹ(관형사형 어미).
주019)
장야(長夜)애:긴 밤에. 長夜+애(시간 처소의 부사격조사).
주020)
편안(便安)코:편안하고. 便安-+고(나열의 연결어미). ‘-+고’가 축약되어 ‘코’가 된 것임.
주021)
즐거:즐거워. 즐겁-[喜](ㅂ불규칙)+아/어(보조적 연결어미).
주022)
됴:좋은. 둏-[好]+(/으)ㄴ(관형사형 어미).
주023)
어드리라:얻을 것이다. 얻-[得]+(/으)리(미래시상 선어말어미)+다/라(설명법 종결어미).
주024)
삼귀의(三歸依):부처님과 법과 스님의 삼보에 귀의하여 받듦.
주025)
수(受)고:받고. 受-+(객체높임 선어말어미)+고(나열의 연결어미).
주026)
고대:곳에. 곧[處](거성, 명사).
주027)
귀의불(歸依佛):삼귀의의 하나. 부처님께 돌아가 의지함.
주028)
귀의법(歸依法):삼귀의의 하나. 삿된 법을 버리고 부처님 법에 돌아가 의지함(정법을 닦음).
주029)
귀의승(歸依僧):삼귀의의 하나. 스님들께 돌아가 의지함.
주030)
깃:기뻐하여. -[悅]+(객체높임 선어말어미)+아/어(보조적 연결어미).
주031)
:사뢰되. 여쭈되. -[白](상성, ㅂ불규칙)+오/우(양보의 연결어미).
주032)
세존(世尊)하:세존이시여. 世尊+하(존칭의 호격조사).
주033)
위(爲)샤:위하시어. 爲-+시+아/어(보조적 연결어미).
주034)
길상원(吉祥願):운수가 좋아질 것을 기원함.
주035)
길헤:길에. 긿[路](ㅎ종성체언)+애/에(처소의 부사격조사).
주036)
마껏:막을 것. 막-[碍]+(/으)ㅭ(관형사형 어미)#것.
주037)
리:빨리. 리[速](평-거, 부사). ‘-’에서 파생된 부사임.
주038)
도라가게:돌아가게. 도라가-[歸]+게(보조적 연결어미).
주039)
쇼셔:해주십시오. -+쇼셔(명령법 종결어미).
주040)
지:지어. 짓-[作](ㅅ불규칙)+아/어(보조적 연결어미).
주041)
원(願):원컨대. 願(거-평-거, 부사). 본래는 ‘願-(동사)+(/으)ㄴ(관형사형 어미)#(의존명사)+(/으)ㄴ(대조의 보조사)’와 같은 구성으로 ‘원하는 바는’으로 쓰이다가 부사로 재구조화된 것임.
주042)
쇼도:마소도. [馬]#쇼[牛]+도(보조사). ‘쇼’는 ‘+쇼’에서 ‘ㄹ’이 탈락한 것임.
주043)
녀는:가는. 녀-[行]+(현재시상 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 어미).
주044)
거틸 꺼시:넘어질 것이. 거꾸러질 것이. 걸려 넘어질 것이. 거티-[蹶]+ㅭ(관형사형 어미)#것+이(주격조사).
주045)
업고라:없으라. (없어지라.) 없-[無]+고라(명령의 종결어미). 청원의 뜻을 가진 명령법에는 ‘-고려, -고라’와 ‘-지라(라체), -지다(하쇼셔체)’가 존재함. ‘-지라, -지다’는 화자 자신의 일이 이루어지게 해달라는 표현이며 항상 선어말어미 ‘-거/어-’나 ‘-아/어-’가 선행함.
주046)
 거슬:한 물건을. [一](평성, 관형사)#것+을(목적격조사).
주047)
주어시:주시면. 주-[授]+거/어/나+시+. 조건의 연결어미 ‘-거/어/나’ 가운데 연결되고 여기에 선어말어미 ‘-시-’가 결합할 때 ‘시아’으로 되지 않고 한 형태소 사이에 ‘-시-’가 삽입되는데, 이런 형태를 불연속형태소라고 함. 이미 일어난 사실을 주관적으로 확신하여 강조하는 선어말어미 ‘-거-’는 어말 말음이 ‘ㅣ’나 ‘ㄹ’, 계사 뒤에서 ‘-어-’(반드시 분철)로 나타남. 이런 음운론적인 교체 외에도 형태론적 교체를 보이기도 하는데 ‘-거/어-’는 자동사와 결합하고 ‘-아/어-’는 타동사와 결합하며 자동사 ‘오-[來]’ 뒤에서는 ‘-나-’로 교체됨.
주048)
본향(本鄕):본 고향. 원래의 고향.
주049)
올히라:고을이다. 옳[鄕](ㅎ종성체언)+이(서술격조사)+다/라(설명법 종결어미).
주050)
일어:만들어. 이르-/일-[造]+아/어(보조적 연결어미).
주051)
죽록:죽도록. 죽-[死]+록(도급의 연결어미).
주052)
공양(供養)지다:공양하고 싶습니다. 供養-+아/어(선어말어미)+지다(청원의 종결어미).
주053)
마리터럭과 손톱과:머리털과 손톱을. 마리[頭]#터럭[毛]+과(접속조사)#손톱[爪]+과(접속조사)+(목적격조사). → 115쪽 ‘무루왜라’.
주054)
날와:나와. 나+와(접속조사). ‘날와’와 ‘눌와’처럼 접속조사 ‘와’가 결합할 때 ‘ㄹ’이 첨가되는 현상이 나타나기도 함.
주055)
달이:달리. 다르게. 달이(평-거, 부사). ‘다-[異]’에 부사 파생접미사 ‘이’가 결합한 것임.
주056)
너기디:여기지. 너기-[念]+디(부정 대상의 보조적 연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