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4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4
  • 월인천강지곡 기85~기92(8곡)
  • 월인천강지곡 기89
메뉴닫기 메뉴열기

월인천강지곡 기89


其 八十九
世尊ㅅ 慈悲心에 나 주001)
나:
하나를. 낳[一](ㅎ종성체언)+(목적격조사).
바면 주002)
바면:
받으면. 받-[受]+(/으)면(조건의 연결어미).
네 이 고디 주003)
고디:
고르지. 고-[均]+디(부정 대상의 연결어미).
몯리 주004)
몯리:
못하리. 못할 것이다. 못-+리(종결어미). 추측을 나타내는 선어말어미 ‘-리-’가 그대로 의문형 종결어미로 쓰임.

월인석보 4:51ㄴ

世尊ㅅ 神通力에  주005)
:
한곳. [一](관형사)#(의존명사)+(처소의 부사격조사). 당시 하나로 굳어져 복합어로 쓰인 것으로 보임.
누르시니 네 바리 주006)
바리:
바리때가. 바리[鉢]+∅(주격조사).
브터 주007)
브터:
붙어. 븥-[附]+아/어(보조적 연결어미).
어우니 주008)
어우니:
합해지니. 어울리니. 어울-[合]+니(종결어미).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기 팔십구
세존의 자비심에 하나를(하나만을) 받으면 네 〈사람〉 마음이 고르지 못하리.
세존의 신통력에 한 데 〈겹쳐서〉 누르시니, 네 〈개의〉 바리때가 붙어 어울리니(하나로 합해지니).
Ⓒ 역자 | 김영배 / 2010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나:하나를. 낳[一](ㅎ종성체언)+(목적격조사).
주002)
바면:받으면. 받-[受]+(/으)면(조건의 연결어미).
주003)
고디:고르지. 고-[均]+디(부정 대상의 연결어미).
주004)
몯리:못하리. 못할 것이다. 못-+리(종결어미). 추측을 나타내는 선어말어미 ‘-리-’가 그대로 의문형 종결어미로 쓰임.
주005)
:한곳. [一](관형사)#(의존명사)+(처소의 부사격조사). 당시 하나로 굳어져 복합어로 쓰인 것으로 보임.
주006)
바리:바리때가. 바리[鉢]+∅(주격조사).
주007)
브터:붙어. 븥-[附]+아/어(보조적 연결어미).
주008)
어우니:합해지니. 어울리니. 어울-[合]+니(종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