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4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4
  • 월인천강지곡 기85~기92(8곡)
  • 월인천강지곡 기87
메뉴닫기 메뉴열기

월인천강지곡 기87


其 八十七
세 가짓 供養 주001)
공양(供養):
부처님 앞에 음식을 이바지함. 스님이 음식을 먹는 것.
이 그르시 업슬 주002)
업슬:
없으므로. 없-[無]+(/으)ㄹ(이유·원인의 연결어미).

월인석보 4:50ㄴ

前世佛 주003)
전생불(前世佛):
이전 세상의 부처.
터시니 주004)
터시니:
생각하시더니. -[思]+더+시+니. ‘-’와 ‘더’가 줄어 ‘터’로 변동됨.
七寶 주005)
칠보(七寶):
sapta-ratna. 일곱 가지 보옥(寶玉). 1) 금(金), 2) 은(銀), 3) 유리(琉璃, 검푸른 보옥), 4) 파려(玻瓈, 수정), 5) 자거(硨磲, 백산호), 6) 적주(赤珠, 적진주), 7) 마노(碼碯, 짙은 녹색의 보옥). 이것은 『아마타경』에 나옴. 「법화경」 보탑품(寶塔品)에는 ‘파려’ 대신에 ‘매괴(玫瑰)’가 들었음.
바리예 주006)
바리예:
바리때에. 바리[鉢]+예(처소의 부사격조사). ‘애/에’는 ‘ㅣ’ 모음 뒤에서 ‘얘/예’로 변동됨.
供養 담샤미 주007)
담샤미:
담으심이. 담으시는 것이. 담-[盛]+(/으)시+옴/움(명사형 어미). ‘시+옴/움’은 ‘샴’으로 변동됨.
四天王 주008)
사천왕(四天王):
사천왕의. 四天王+(관형격조사).
請이니 주009)
청(請)이니:
청이오니. 청이니. 請+이(서술격조사)+(객체높임 선어말어미)+(/으)니(종결어미).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기 팔십칠
〈세존께 바치는〉 세 가지의 공양이 그릇이 없으므로 전세불을 생각하시더니.
칠보〈로 된〉 바리때에 공양을 담으심이 사천왕의 청이니.
Ⓒ 역자 | 김영배 / 2010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공양(供養):부처님 앞에 음식을 이바지함. 스님이 음식을 먹는 것.
주002)
업슬:없으므로. 없-[無]+(/으)ㄹ(이유·원인의 연결어미).
주003)
전생불(前世佛):이전 세상의 부처.
주004)
터시니:생각하시더니. -[思]+더+시+니. ‘-’와 ‘더’가 줄어 ‘터’로 변동됨.
주005)
칠보(七寶):sapta-ratna. 일곱 가지 보옥(寶玉). 1) 금(金), 2) 은(銀), 3) 유리(琉璃, 검푸른 보옥), 4) 파려(玻瓈, 수정), 5) 자거(硨磲, 백산호), 6) 적주(赤珠, 적진주), 7) 마노(碼碯, 짙은 녹색의 보옥). 이것은 『아마타경』에 나옴. 「법화경」 보탑품(寶塔品)에는 ‘파려’ 대신에 ‘매괴(玫瑰)’가 들었음.
주006)
바리예:바리때에. 바리[鉢]+예(처소의 부사격조사). ‘애/에’는 ‘ㅣ’ 모음 뒤에서 ‘얘/예’로 변동됨.
주007)
담샤미:담으심이. 담으시는 것이. 담-[盛]+(/으)시+옴/움(명사형 어미). ‘시+옴/움’은 ‘샴’으로 변동됨.
주008)
사천왕(四天王):사천왕의. 四天王+(관형격조사).
주009)
청(請)이니:청이오니. 청이니. 請+이(서술격조사)+(객체높임 선어말어미)+(/으)니(종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