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4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4
  • 우바국다존자의 항마
  • 우바국다존자의 항마 5
메뉴닫기 메뉴열기

우바국다존자의 항마 5


[우바국다존자의 항마 5]
魔王이 닐오 너옷 주001)
너옷:
너뿐. 너만. 너[汝]+곳/옷(강세보조사).
그르면 주002)
그르면:
끄르면. 풀면. 그르-[解]+면(조건의 연결어미).
뉘그 주003)
뉘그:
누구에게. 누[誰]+그/의그/ㅣ그(낙차점 처소의 부사격조사). ‘누’는 ‘뉘’ 주격형, ‘눌’ 목적격형, ‘누고’는 의문형으로 쓰였으나, 이 중의 ‘누고’는 15세기 중엽에 ‘누구’〈몽산(1467) 20ㄴ〉로 쓰이기 시작하여 16세기 초에는 대명사로 굳어지게 된 것으로 봄. 현대어 ‘누/누구’에 해당함. ¶ 누구 어믜 오라븨게 난 식〈번역노 상:16ㄱ〉.
가료 주004)
가료:
가리오? 가겠는가? 가-+리+오(설명의 의문법 종결어미).
梵王 주005)
범왕(梵王):
법천왕. Brahma. 대범천왕이라고도 함.
이 닐오 주006)
네:
네가. 네(상성, 주격).
어셔 優波毱多ㅅ긔 주007)
우바국다(優波毱多)ㅅ긔:
우바국다께. 優波毱多+ㅅ긔(낙차점·처소의 부사격조사).
가아

월인석보 4:24ㄴ

歸依야 주008)
귀의(歸依)야:
귀의하여야. 歸依-+아/어/야+(강세보조사).
버서 나리니 주009)
버서나리니:
벗어날 것이니. 버서나-[脫出]+ㄹ(관형사형 어미)#이(형식명사)+∅(서술격조사)+니(조건의 연결어미).
네 降服 아니면 네의 주010)
네의:
너의. 네. 네[汝]+의(관형격조사).
天上 주011)
천상(天上):
욕계(欲界)·색계(色界)·무색계(無色界)의 여러 하늘. 천계, 천상계와 같음.
快樂 헐며 주012)
헐며:
무너뜨리며. 헐-[壞]+며(나열의 연결어미).
【快樂 훤히 주013)
훤히:
훤히. 크게. 훤히(평-평, 부사). 훤-[曠]+이(파생접미사).
즐거 씨라 주014)
즐거 씨라:
즐거운 것이다. 즐겁-[樂](ㅂ불규칙)+(/으)ㄹ(관형사형 어미)#(의존명사)+이(서술격조사)+다/라(설명법 종결어미).
네의 尊코 주015)
존(尊)코:
높고. 尊-+고(나열의 연결어미).
貴 주016)
귀(貴):
귀한. 貴-+ㄴ(관형사형 어미).
일후믈 헐리라 주017)
헐리라:
무너뜨릴 것이다. 헐-[壞]+리(미래시상 선어말어미)+다/라(설명법 종결어미).
魔王이 너교 如來 주018)
여래(如來)ㅅ 제자(弟子):
여래의 제자의.
ㅅ 弟子 勢力을 大梵天王 주019)
대범천왕(大梵天王):
대범왕·범왕. 색계 초선천 중의 고루(高樓) 거각(巨閣)에 있으면서 사바세계를 차지한 천왕을 이름.
도 이리 恭敬니 주020)
공경(恭敬)니:
공경하니. 恭敬-+(현재시상 선어말어미)+니(이유 설명의 연결어미).
【勢力은 威

월인석보 4:25ㄱ

嚴엣 히미라   마리라 恭 버릇업디 주021)
버릇업디:
버릇없지. 버릇+없-+디. ‘업’은 ‘없’의 8종성 표기임.
아니 씨오 敬은 고마 주022)
고마:
공경하여. 고마-[恭敬]++아/어.
초〔 주023)
초(조)심 씨라:
조심하는 것이다. 조심(操心)-+ㅭ(관형사형 어미)#(의존명사)+이(서술격조사)+라(설명법 종결어미). ‘초심’의 ‘초’는 ‘조’의 오각으로 보임.
〕심 씨라】
부텻 勢力이 주024)
세력(勢力)이:
세력이야. 勢力+이+(강세의 보조사).
어드리 주025)
어드리:
어떻게. 어찌. 어드리(평-거-거, 부사).
그지료 주026)
그지료:
한정하리오? 한정하겠는가? 그지-[限]+리+오(설명의 의문법 종결어미).
나 소교려 주027)
소교려:
속이려. 소기-[欺]+오/우+려(의도의 연결어미).
샬뗴 주028)
샬 뗴:
하실 바에야. -+시+오/우+(/으)ㄹ뎨(가정의 연결어미)+. ‘-ㅭ뎬’의 ‘ㄴ’의 자리에 강세의 보조사 ‘’가 온 형태인데, ‘-ㅭ뎬’의 분석가능성을 보여주는 예임. ‘샤’는 ‘시+오/우’가 변동된 것임. → 24쪽 ‘29) (샬떼)’.
므슷 주029)
므슷:
무슨. 므슷[何](평-거, 관형사). ¶ 므슷 이 겻고오려 고〈석상 6:27ㄱ〉.
이 몯시료 마 주030)
몯시료마:
못하시리오마는. 못하시겠는가마는. 몯-+시+리+오(설명의 의문법 종결어미)+마(보조사). 마(평-거, 보조사)은 앞의 사실을 인정하면서도 그에 대한 의문이나 그와 어긋나는 상황 따위를 나타냄.
큰 慈悲心로 나 어엿비 주031)
어엿비:
불쌍히. 어엿브-[憐]+이(부사 파생접미사).
너기샤 주032)
너기샤:
여기시어. 너기-[念]+시+아/어.
내그 주033)
내그:
나에게. 내게. 나[我]+그/의그/ㅣ그(낙차점 처소의 부사격조사).
셜 주034)
셜:
서러운. 괴로운. 셟-[苦](ㅂ불규칙)+(/으)ㄴ(관형사형 어미).
이 아니시닷다 주035)
아니시닷다:
아니 하셨다. 아니-+시+더(과거시상 선어말어미)+옷(감동법 선어말어미)+다. 과거시상의 선어말어미 ‘-더-’는 서술격조사와 미래의 ‘-리-’ 뒤에서는 ‘-러-’로 교체되고 선어말어미 ‘-오/우-’와 결합하면 ‘-다-’로 교체됨. 현대국어에서는 1인칭 주어에 대해서는 ‘-더-’가 사용될 수 없으니 중세국어에서는 인칭에 상관없이 사용될 수 있음. ‘-오/우-’는 선어말어미 ‘-더-, -거/어-’와 연결되면 ‘-다-, -가/아-, -과/와-’가 됨.
오 날 주036)
오날:
오늘날에야. 오+ㅅ#날+(강세보조사).
如來ㅅ 德이 크샨 주037)
크샨:
크신. 크-[大]+시+오/우+ㄴ(관형사형 어미).

월인석보 4:25ㄴ

주038)
주를:
줄을. 줄+을(목적격조사).
아과라 주039)
아과라:
알았노라. 알-[知]++거/아/어(과거시상 선어말어미)+오/우+다/라(설명법 종결어미). 선어말어미 ‘-거/어’는 ‘-오/우-’와 결합하면 ‘-과-’로 바뀐다. 선어말어미 ‘-오/우-’는 모음어간이 ‘아·어·오·우’일 경우 ‘-오/우-’는 나타나지 않고 어간의 성조의 변동만 나타나고, 어간이 ‘/으’이면 그 어간모음이 탈락한다. 어간모음이 단모음 ‘ㅣ’이면 ‘-오/우-’와 합음되어 ‘-요/유-’로 실현되고, 또 선어말어미 ‘-더-, -거/어-’와 연결되면 ‘-다-, -가/아-, -과/와-’가 됨.
나 無明 주040)
무명(無明):
avidyā. 사람의 존재 바탕에 있는 근본적인 무지(無知).
리여 주041)
리여:
가려. 가려서. 리-[蔽]+아/어. 어미 ‘-어’는 어간 ‘ㅣ’모음의 영향으로 ‘여’로 변동된 것임.
간 마다 주042)
간마다:
간 곳마다. 가-[去]+ㄴ(관형사형 어미)#[處]+마다(보조사).
如來외어늘 주043)
외어늘:
침범하거늘. 행악하거늘. 외-[行惡]+거늘(설명·이유·원인의 연결어미).
如來  번도 구짓디 주044)
구짓디:
꾸짖지. 구짖-[責]+디(부정 대상의 연결어미). ‘짓’은 ‘짖’의 8종성 표기임.
아니더시니라 주045)
아니더시니라:
아니하시던 것입니다. 아니하셨습니다. 아니-+더+시+니+다/라. 선어말어미 ‘-더-’와 ‘-시-’의 분포가 이와 같이 ‘-더-’가 앞서는 것이었으나, 당시에도 이 차례가 바뀌어 ‘시+더’로 쓰인 경우가 있었음. ‘깃거시더니’〈월석 25:12ㄱ〉 외에 ‘시더뇨〈석상 23:30ㄱ〉, 오시거나〈석상 24:6ㄴ〉도 있음.
고 즉자히 驕慢 주046)
교만(驕慢):
겸손하지 못하고 잘난 체하여 뽐냄.
  더러 리고 주047)
리고:
버리고. 리-[棄]+고(나열의 연결어미).
【驕慢  되야 주048)
 되야:
뜻이 강하여. 뜻이 굳어. [意]#되-[甚·急·固](상성, 형용사)+아/어. ‘완고하다’의 뜻으로 추정함. → 14쪽 ‘11) 되다’.
주049)
:
남. [他](거성, 명사).
업시울 씨라 주050)
업시울 씨라:
업신여기는 것이다. 업시우-[慠]+ㅭ#+이+다/라.
尊者 가아 해 주051)
해:
땅에. [地](ㅎ종성체언)+애/의(처소의 부사격조사).
업데여 주052)
업데여:
엎디어. 엎드려. 업데-[伏]+아/어.
머리 조 주053)
조:
조아. 조아려. 좃-[稽](ㅅ불규칙)+아/어.
禮數고 주054)
예수(禮數)고:
상대방의 신분에 맞게 예를 드리고.
러 주055)
러:
꿇어. -[跪]+아/어.
合掌 주056)
합장(合掌)야:
합장하여. ‘합장’은 두 손바닥을 합쳐서 공손히 절함을 이름.

월인석보 4:26ㄱ

야  주057)
:
사뢰되. 말하되. -[白](ㅂ불규칙)+오/우.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저경〕 魔語梵王言汝不能解我當歸誰 梵王語言汝疾歸依優波毱多乃可得脫 (如因地而倒還扶地得起) 若不歸依則壞汝天上之樂壞汝名辱尊貴一切諸樂 魔見如來弟子勢力大梵天王猶言語恭敬 佛之勢力何可度量 若欲加惱於我何事不能 大悲憐愍故不加惱於我 今日始知如來具足大悲成就大慈得真解脫 我爲無明所盲處處觸惱 然佛慈悲平等未曾惡語加我 受梵王語已即時破除憍慢之心 往優波毱多所五體投地 長跪合掌白尊者言 大家汝可不知我欲菩提樹下乃至涅槃 於如來所多作惱亂

[우바국다존자의 항마 5]
마왕이 이르되, “네가 끄르지 못하면 내가 누구에게 가리오?” 범왕이 이르되, “네가 어서 우바국다께 가 귀의하여야 벗어날 것이니, 네가 항복하지 아니하면 네 천상의 쾌락을 헐어 버리며【‘쾌락’은 훤하게 즐거운 것이다.】 네 높고 귀한 이름을 헐어 버릴 것이다.” 마왕이 생각하되, ‘여래의 제자의 세력을 대범천왕도 이렇게 공경하니【‘세력’은 위엄의 힘이라 하듯 한 말이다. ‘공’은 버릇없지 아니한 것이고, ‘경’은 공경하여 조심하는 것이다.】 부처님의 세력이야 어찌 한정하리오? 나를 속이려 하실 바에야 무슨 일을 못 하시리오마는, 큰 자비심으로 나를 가엾게 여기셔 내게 괴로운 일을 아니 하셨구나! 오늘날에야 여래의 덕이 크신 줄을 알았도다. 나는 무명이 가려 간 곳마다 여래께 대들었는데, 여래께서는 한 번도 꾸짖지 아니하셨다.’ 하고, 즉시 교만한 마음을 덜어 버리고【‘교만’은 뜻이 굳어(완고하여) 남을 업신여기는 것이다.】 존자께 가 땅에 엎드려 머리 조아려 예수하고 꿇어 합장하여 말하되,
Ⓒ 역자 | 김영배 / 2010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5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너옷:너뿐. 너만. 너[汝]+곳/옷(강세보조사).
주002)
그르면:끄르면. 풀면. 그르-[解]+면(조건의 연결어미).
주003)
뉘그:누구에게. 누[誰]+그/의그/ㅣ그(낙차점 처소의 부사격조사). ‘누’는 ‘뉘’ 주격형, ‘눌’ 목적격형, ‘누고’는 의문형으로 쓰였으나, 이 중의 ‘누고’는 15세기 중엽에 ‘누구’〈몽산(1467) 20ㄴ〉로 쓰이기 시작하여 16세기 초에는 대명사로 굳어지게 된 것으로 봄. 현대어 ‘누/누구’에 해당함. ¶ 누구 어믜 오라븨게 난 식〈번역노 상:16ㄱ〉.
주004)
가료:가리오? 가겠는가? 가-+리+오(설명의 의문법 종결어미).
주005)
범왕(梵王):법천왕. Brahma. 대범천왕이라고도 함.
주006)
네:네가. 네(상성, 주격).
주007)
우바국다(優波毱多)ㅅ긔:우바국다께. 優波毱多+ㅅ긔(낙차점·처소의 부사격조사).
주008)
귀의(歸依)야:귀의하여야. 歸依-+아/어/야+(강세보조사).
주009)
버서나리니:벗어날 것이니. 버서나-[脫出]+ㄹ(관형사형 어미)#이(형식명사)+∅(서술격조사)+니(조건의 연결어미).
주010)
네의:너의. 네. 네[汝]+의(관형격조사).
주011)
천상(天上):욕계(欲界)·색계(色界)·무색계(無色界)의 여러 하늘. 천계, 천상계와 같음.
주012)
헐며:무너뜨리며. 헐-[壞]+며(나열의 연결어미).
주013)
훤히:훤히. 크게. 훤히(평-평, 부사). 훤-[曠]+이(파생접미사).
주014)
즐거 씨라:즐거운 것이다. 즐겁-[樂](ㅂ불규칙)+(/으)ㄹ(관형사형 어미)#(의존명사)+이(서술격조사)+다/라(설명법 종결어미).
주015)
존(尊)코:높고. 尊-+고(나열의 연결어미).
주016)
귀(貴):귀한. 貴-+ㄴ(관형사형 어미).
주017)
헐리라:무너뜨릴 것이다. 헐-[壞]+리(미래시상 선어말어미)+다/라(설명법 종결어미).
주018)
여래(如來)ㅅ 제자(弟子):여래의 제자의.
주019)
대범천왕(大梵天王):대범왕·범왕. 색계 초선천 중의 고루(高樓) 거각(巨閣)에 있으면서 사바세계를 차지한 천왕을 이름.
주020)
공경(恭敬)니:공경하니. 恭敬-+(현재시상 선어말어미)+니(이유 설명의 연결어미).
주021)
버릇업디:버릇없지. 버릇+없-+디. ‘업’은 ‘없’의 8종성 표기임.
주022)
고마:공경하여. 고마-[恭敬]++아/어.
주023)
초(조)심 씨라:조심하는 것이다. 조심(操心)-+ㅭ(관형사형 어미)#(의존명사)+이(서술격조사)+라(설명법 종결어미). ‘초심’의 ‘초’는 ‘조’의 오각으로 보임.
주024)
세력(勢力)이:세력이야. 勢力+이+(강세의 보조사).
주025)
어드리:어떻게. 어찌. 어드리(평-거-거, 부사).
주026)
그지료:한정하리오? 한정하겠는가? 그지-[限]+리+오(설명의 의문법 종결어미).
주027)
소교려:속이려. 소기-[欺]+오/우+려(의도의 연결어미).
주028)
샬 뗴:하실 바에야. -+시+오/우+(/으)ㄹ뎨(가정의 연결어미)+. ‘-ㅭ뎬’의 ‘ㄴ’의 자리에 강세의 보조사 ‘’가 온 형태인데, ‘-ㅭ뎬’의 분석가능성을 보여주는 예임. ‘샤’는 ‘시+오/우’가 변동된 것임. → 24쪽 ‘29) (샬떼)’.
주029)
므슷:무슨. 므슷[何](평-거, 관형사). ¶ 므슷 이 겻고오려 고〈석상 6:27ㄱ〉.
주030)
몯시료마:못하시리오마는. 못하시겠는가마는. 몯-+시+리+오(설명의 의문법 종결어미)+마(보조사). 마(평-거, 보조사)은 앞의 사실을 인정하면서도 그에 대한 의문이나 그와 어긋나는 상황 따위를 나타냄.
주031)
어엿비:불쌍히. 어엿브-[憐]+이(부사 파생접미사).
주032)
너기샤:여기시어. 너기-[念]+시+아/어.
주033)
내그:나에게. 내게. 나[我]+그/의그/ㅣ그(낙차점 처소의 부사격조사).
주034)
셜:서러운. 괴로운. 셟-[苦](ㅂ불규칙)+(/으)ㄴ(관형사형 어미).
주035)
아니시닷다:아니 하셨다. 아니-+시+더(과거시상 선어말어미)+옷(감동법 선어말어미)+다. 과거시상의 선어말어미 ‘-더-’는 서술격조사와 미래의 ‘-리-’ 뒤에서는 ‘-러-’로 교체되고 선어말어미 ‘-오/우-’와 결합하면 ‘-다-’로 교체됨. 현대국어에서는 1인칭 주어에 대해서는 ‘-더-’가 사용될 수 없으니 중세국어에서는 인칭에 상관없이 사용될 수 있음. ‘-오/우-’는 선어말어미 ‘-더-, -거/어-’와 연결되면 ‘-다-, -가/아-, -과/와-’가 됨.
주036)
오날:오늘날에야. 오+ㅅ#날+(강세보조사).
주037)
크샨:크신. 크-[大]+시+오/우+ㄴ(관형사형 어미).
주038)
주를:줄을. 줄+을(목적격조사).
주039)
아과라:알았노라. 알-[知]++거/아/어(과거시상 선어말어미)+오/우+다/라(설명법 종결어미). 선어말어미 ‘-거/어’는 ‘-오/우-’와 결합하면 ‘-과-’로 바뀐다. 선어말어미 ‘-오/우-’는 모음어간이 ‘아·어·오·우’일 경우 ‘-오/우-’는 나타나지 않고 어간의 성조의 변동만 나타나고, 어간이 ‘/으’이면 그 어간모음이 탈락한다. 어간모음이 단모음 ‘ㅣ’이면 ‘-오/우-’와 합음되어 ‘-요/유-’로 실현되고, 또 선어말어미 ‘-더-, -거/어-’와 연결되면 ‘-다-, -가/아-, -과/와-’가 됨.
주040)
무명(無明):avidyā. 사람의 존재 바탕에 있는 근본적인 무지(無知).
주041)
리여:가려. 가려서. 리-[蔽]+아/어. 어미 ‘-어’는 어간 ‘ㅣ’모음의 영향으로 ‘여’로 변동된 것임.
주042)
간마다:간 곳마다. 가-[去]+ㄴ(관형사형 어미)#[處]+마다(보조사).
주043)
외어늘:침범하거늘. 행악하거늘. 외-[行惡]+거늘(설명·이유·원인의 연결어미).
주044)
구짓디:꾸짖지. 구짖-[責]+디(부정 대상의 연결어미). ‘짓’은 ‘짖’의 8종성 표기임.
주045)
아니더시니라:아니하시던 것입니다. 아니하셨습니다. 아니-+더+시+니+다/라. 선어말어미 ‘-더-’와 ‘-시-’의 분포가 이와 같이 ‘-더-’가 앞서는 것이었으나, 당시에도 이 차례가 바뀌어 ‘시+더’로 쓰인 경우가 있었음. ‘깃거시더니’〈월석 25:12ㄱ〉 외에 ‘시더뇨〈석상 23:30ㄱ〉, 오시거나〈석상 24:6ㄴ〉도 있음.
주046)
교만(驕慢):겸손하지 못하고 잘난 체하여 뽐냄.
주047)
리고:버리고. 리-[棄]+고(나열의 연결어미).
주048)
 되야:뜻이 강하여. 뜻이 굳어. [意]#되-[甚·急·固](상성, 형용사)+아/어. ‘완고하다’의 뜻으로 추정함. → 14쪽 ‘11) 되다’.
주049)
:남. [他](거성, 명사).
주050)
업시울 씨라:업신여기는 것이다. 업시우-[慠]+ㅭ#+이+다/라.
주051)
해:땅에. [地](ㅎ종성체언)+애/의(처소의 부사격조사).
주052)
업데여:엎디어. 엎드려. 업데-[伏]+아/어.
주053)
조:조아. 조아려. 좃-[稽](ㅅ불규칙)+아/어.
주054)
예수(禮數)고:상대방의 신분에 맞게 예를 드리고.
주055)
러:꿇어. -[跪]+아/어.
주056)
합장(合掌)야:합장하여. ‘합장’은 두 손바닥을 합쳐서 공손히 절함을 이름.
주057)
:사뢰되. 말하되. -[白](ㅂ불규칙)+오/우.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