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4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4
  • 월인천강지곡 기85~기92(8곡)
  • 월인천강지곡 기85
메뉴닫기 메뉴열기

월인천강지곡 기85


월인석보 4:49ㄴ

其 八十五
成道 주001)
성도(成道):
깨달음을 여는 것. 부처님이 되는 것.
二七日 주002)
이칠일(二七日):
열나흘. 14일.
他化自在天 주003)
타화자재천(他化自在天):
Paranirmitava-śavarti deva. 파라유마바사(波羅維摩婆奢)라 음역. 타화천(他化天)·제6천이라고도 함. 6욕천(欲天)의 하나. 욕계의 가장 높은 데에 있는 하늘. 욕계천의 임금인 마왕이 있는 곳. 이 하늘은 남이 변해 나타내는 낙사(樂事)를 자유롭게 자기의 쾌락으로 삼는 까닭에 타화자재천이라 함. 이 하늘의 남녀는 서로 마주 보는 것만으로 음행이 만족하고, 아들을 낳으려는 생각을 일으키기만 해도 아들이 무릎 위에 나타난다고 함. 또 이 하늘 사람의 키는 3리(里), 수명은 1만 6천세. 이 하늘의 1일은 인간의 1천 6백 년에 해당.
에 가샤 十地經 주004)
십지경(十地經):
「화엄경」의 십지품(十地品)의 다른 번역. 권1은 십지 중 제1의 환희지(歡喜地)와 제2의 이구지(離垢地), 권2는 제3~제5의 발광지(發光地), 염혜지(焰慧地) 및 난승지(難勝地), 권3은 제6의 현전지(現前地)와 제7의 원행지(遠行地)와 제8의 부동지(不動地), 권4는 제9의 선혜지(善慧地)와 제10의 법운지(法雲地)를 각각 주제로 삼고 있음.
을 니시니
成道 後 四十九日에 差梨尼迦 주005)
차리니가(差梨尼迦):
부처가 성도한 후에 앉아 있었다는 숲 이름.
애 가샤 加趺坐 주006)
가부좌(加趺坐):
발바닥이 모두 위로 올라오도록 책상다리를 하고 앉는 법.
안시니 주007)
안시니:
앉으시니. 앉-[坐]+(/으)시+니(종결어미).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기 팔십오
성도 후 이칠일에타화자재천에 가시어 십지경을 이르시니.
성도 후 사십구일에 차리니가에 가시어 가부좌를 앉으시니.
Ⓒ 역자 | 김영배 / 2010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성도(成道):깨달음을 여는 것. 부처님이 되는 것.
주002)
이칠일(二七日):열나흘. 14일.
주003)
타화자재천(他化自在天): Paranirmitava-śavarti deva. 파라유마바사(波羅維摩婆奢)라 음역. 타화천(他化天)·제6천이라고도 함. 6욕천(欲天)의 하나. 욕계의 가장 높은 데에 있는 하늘. 욕계천의 임금인 마왕이 있는 곳. 이 하늘은 남이 변해 나타내는 낙사(樂事)를 자유롭게 자기의 쾌락으로 삼는 까닭에 타화자재천이라 함. 이 하늘의 남녀는 서로 마주 보는 것만으로 음행이 만족하고, 아들을 낳으려는 생각을 일으키기만 해도 아들이 무릎 위에 나타난다고 함. 또 이 하늘 사람의 키는 3리(里), 수명은 1만 6천세. 이 하늘의 1일은 인간의 1천 6백 년에 해당.
주004)
십지경(十地經):「화엄경」의 십지품(十地品)의 다른 번역. 권1은 십지 중 제1의 환희지(歡喜地)와 제2의 이구지(離垢地), 권2는 제3~제5의 발광지(發光地), 염혜지(焰慧地) 및 난승지(難勝地), 권3은 제6의 현전지(現前地)와 제7의 원행지(遠行地)와 제8의 부동지(不動地), 권4는 제9의 선혜지(善慧地)와 제10의 법운지(法雲地)를 각각 주제로 삼고 있음.
주005)
차리니가(差梨尼迦):부처가 성도한 후에 앉아 있었다는 숲 이름.
주006)
가부좌(加趺坐):발바닥이 모두 위로 올라오도록 책상다리를 하고 앉는 법.
주007)
안시니:앉으시니. 앉-[坐]+(/으)시+니(종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