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상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상권
  • 제2 석공덕정토(釋功德淨土)
  • 석공덕정토 9
메뉴닫기 메뉴열기

석공덕정토 9


心平면 何勞持戒며 行直면 何用修禪이리오 恩則親養父母ㅣ오 義則上下ㅣ 相憐이오 讓則

육조법보단경언해 상:101ㄱ

尊卑和睦이오 忍則衆惡이 無喧리라 若能鑽木야 出火면 淤泥예 定生紅蓮리라 苦口 的是良藥이오 逆耳 必是忠言이니 改過면 必生智慧오 護短면 心內非賢이니라 日用애 常行饒益면 成道ㅣ 非由施錢이니라 菩提 只向心覓이언뎡 何勞向外야 求玄이리오 聽說코 依此修行면 天堂이 只在目前이니라

미 平면 엇뎨 잇비 주001)
잇비:
가쁘게. 수고롭게. 잇브-[勞]+이(부사파생접미사).
戒 디니

육조법보단경언해 상:101ㄴ

주002)
디니며:
지니며. 디니-[持]+며.
行이 고면 주003)
고면:
곧으면. 곧-[直]+면.
엇뎨 禪定 주004)
선정(禪定):
속정(俗情)을 끊고 마음을 가라앉혀 삼매경(三昧境)에 이르는 일.
닷고 리오 주005)
리오:
쓰리오. 쓰겠느냐.
恩면 父母 親히 養고 義면 上下ㅣ 서르 주006)
서르:
서로.
고 주007)
고:
사랑하고. -[憐]+고.
辭讓면 尊卑 和睦고 면 주008)
면:
참으면. -[忍]+면.
모 惡이 들에욤 주009)
들에욤:
들렘. 야단스러움. 들에-[喧]+욤.
업스리라 다가 能히 남 주010)
남:
나무를. [木]+.
비븨여 주011)
비븨여:
비비여. 비븨-[鑽]+여.
주012)
블:
불을.
내면 즌 주013)
즌흘:
진흙에서. 즌흙[淤泥]+.
一定히 紅蓮이 나리라 이베 닌 주014)
닌:
쓴 것은. -[苦]+ㄴ(어미)+이(의존명사)+ㄴ(보조사).
마치 이 됴 藥이오 귀예 거스닌 주015)
거스닌:
거슬리는 것은. 거슬-[逆]+ㄴ(어미)+이+ㄴ(보조사).

육조법보단경언해 상:102ㄱ

기 이 忠言이니 허므 주016)
허므:
허물을. 허믈[過]+.
고티면 주017)
고티면:
고치면. 고티-[改]+면.
반기 智慧 나고 주018)
나고:
나오면. 나고.
뎔오 주019)
뎔오:
모자람을. 뎌르-[短]+옴+.
護持 주020)
호지(護持):
보호하여 부지함.
면  안히 주021)
안히:
안이. 안ㅎ[內]+이.
賢티 몯리라 日用애 녜 饒益 주022)
요익(饒益):
넉넉한 베풂으로 다른 사람에게 이익이 되게 함.
을 行면 道 일우미 주023)
일우미:
이룸이.
주매 주024)
주매:
줌에. 주-[施]+움+애. 명사형 ‘:줌’은 상성으로 성조의 변동이 수반되었음.
븓디 주025)
븓디:
말미암지. 붙지. 븥-[由]+디.
아니니라 菩提 주026)
보리(菩提):
세속적인 번뇌를 끊고 얻는 깨달음의 경지(境地), 또는 불교 최고의 이상인 불타 정각(正覺)의 지혜를 얻기 위하여 닦는 도(道).
 오직 을 向야 어둘디언 주027)
어둘디언:
찾을지언정. 얻-[覓]+을디언.
엇뎨 잇비 밧 向야 玄을 求리오 닐오 듣고 이 브터 주028)
브터:
의지하여. 븥-[依]+어.
行을 닷면 주029)
닷면:
닦으면.

육조법보단경언해 상:102ㄴ

堂이 오직 눈 알 주030)
알:
앞에.
잇니라

“마음이 평등하면 어찌 힘들게 계(戒)를 지니며, 행(行)이 곧으면 어찌 선정(禪定) 닦음을 쓰리오. 은혜를 알면 부모를 친히 공양(供養)하고, 의리(義理)를 다하면 상하(上下)가 서로 사랑하고, 겸양하면 높고 낮음에 화목(和睦)하고, 참으면 모든 악의 시끄러움이 없으리라. 만약 능히 나무를 비비어 불을 내면 진흙에서 일정(一定)히 붉은 연꽃 피어나리. 입에 쓴 것은 마치 이것이 좋은 약이고, 귀에 그슬리는 것은 반드시 이것이 충언(忠言)이니, 허물을 고치면 반드시 지혜가 나오고 모자람을 호지(護持)하면 마음 안이 현명하지 못하리라. 나날이 씀[日用]에 언제나 요익(饒益)을 행하면 도(道)를 이룸이 돈을 줌에 있지 아니하니라. 보리(菩提)를 오직 마음을 향하여 찾을지언정 어찌 힘겹게 밖을 향해 현묘(玄妙)한 법을 구하리오? (내가) 이르는 것을 듣고 이를 의지하여 행을 닦으면 천당(天堂)이 오직 눈 앞에 있느니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5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잇비:가쁘게. 수고롭게. 잇브-[勞]+이(부사파생접미사).
주002)
디니며:지니며. 디니-[持]+며.
주003)
고면:곧으면. 곧-[直]+면.
주004)
선정(禪定):속정(俗情)을 끊고 마음을 가라앉혀 삼매경(三昧境)에 이르는 일.
주005)
리오:쓰리오. 쓰겠느냐.
주006)
서르:서로.
주007)
고:사랑하고. -[憐]+고.
주008)
면:참으면. -[忍]+면.
주009)
들에욤:들렘. 야단스러움. 들에-[喧]+욤.
주010)
남:나무를. [木]+.
주011)
비븨여:비비여. 비븨-[鑽]+여.
주012)
블:불을.
주013)
즌흘:진흙에서. 즌흙[淤泥]+.
주014)
닌:쓴 것은. -[苦]+ㄴ(어미)+이(의존명사)+ㄴ(보조사).
주015)
거스닌:거슬리는 것은. 거슬-[逆]+ㄴ(어미)+이+ㄴ(보조사).
주016)
허므:허물을. 허믈[過]+.
주017)
고티면:고치면. 고티-[改]+면.
주018)
나고:나오면. 나고.
주019)
뎔오:모자람을. 뎌르-[短]+옴+.
주020)
호지(護持):보호하여 부지함.
주021)
안히:안이. 안ㅎ[內]+이.
주022)
요익(饒益):넉넉한 베풂으로 다른 사람에게 이익이 되게 함.
주023)
일우미:이룸이.
주024)
주매:줌에. 주-[施]+움+애. 명사형 ‘:줌’은 상성으로 성조의 변동이 수반되었음.
주025)
븓디:말미암지. 붙지. 븥-[由]+디.
주026)
보리(菩提):세속적인 번뇌를 끊고 얻는 깨달음의 경지(境地), 또는 불교 최고의 이상인 불타 정각(正覺)의 지혜를 얻기 위하여 닦는 도(道).
주027)
어둘디언:찾을지언정. 얻-[覓]+을디언.
주028)
브터:의지하여. 븥-[依]+어.
주029)
닷면:닦으면.
주030)
알:앞에.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