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상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상권
  • 제1 오법전의(悟法傳衣)
  • 오법전의 1
메뉴닫기 메뉴열기

오법전의 1


時예 大師ㅣ至寶林커시 韶州韋刺史名은 璩ㅣ러니 與官僚와 入山야 請師於大梵寺講堂와 爲衆開緣샤 說摩訶般若波羅蜜法쇼셔 대 師ㅣ升座次애 刺史官僚三十餘人과 儒宗學士三十餘人이 僧尼道俗一千餘人이 同時作禮고 願聞法要더니

그 주001)
그:
그때에. 육조(六祖)대사가 광주의 법성사(法性寺)에 머무르다가 조계산(曺溪山) 보림사(寶林寺)로 돌아온 때를 이른다.
大師ㅣ 寶林에 니를어시

육조법보단경언해 상:1ㄴ

주002)
니를어시:
이르시거늘. 이르시므로. 니를-[至]+거+시+. ‘-어-’는 /ㄹ/ 다음에서 /ㄱ/ 약화 표기.
韶州ㅣ 韋刺史 일후믄 주003)
일후믄:
이름은. 일훔[名]+은.
璩ㅣ러니 주004)
-ㅣ러니:
-이더니. -ㅣ-+더+니. 중세국어 시기에는 서술격조사 ‘이’ 다음에서 ‘-더-’는 ‘-러-’로 표기되었다.
【刺史 員이라】 官僚와 山 주005)
산(山):
산에. ‘’는 처소부사격조사.
드러 師 大梵寺 주006)
대범사(大梵寺):
소주(韶州)의 성중에 있던 절.
講堂애 請와 주007)
-와:
-하여. --++아.
衆을 爲야 주008)
연(緣):
인연(因緣). 서로 맺어지는 관계.
여르샤 주009)
여르샤:
여시어. 열-[開]+으샤+아.
摩訶般若波羅蜜法 주010)
마하반야바라밀법(摩訶般若波羅蜜法):
‘큰 지혜로 피안에 이른다.’는 가르침.
니쇼셔 주011)
니쇼셔:
이르십시오. 말씀하십시오. 니-[說]+쇼셔+(‘쇼셔체’의 명령형어미).
대 주012)
대:
하니. 한즉. 하니까. -+ㄴ대.
師ㅣ 座애 주013)
좌(座)애:
법좌(法座)에. ‘법좌(法座)’는 설법할 때 쓰는 높은 상좌(牀座)를 이른다.
오실 주014)
오실:
오르실. 오-[升]+시+ㄹ.
주015)
제:
때에. 제. 제[次]+∅.
刺史 官僚 三十餘人과 儒宗學士 三十

육조법보단경언해 상:2ㄱ

餘人과 僧尼 주016)
승니(僧尼):
비구(比丘). 비구니(比丘尼).
道俗 주017)
도속(道俗):
도(道)는 출가한 사람. 속(俗)은 집에 있는 사람. 곧, 승려와 세속인을 아울러 일컫는 말.
一千餘人 주018)
-괘:
-이. -과+ㅣ(주격조사). ‘과’는 마지막 체언 뒤에 붙은 접속조사.
 주019)
:
함께. 동시에. ‘’는 ‘[一]’과 ‘[時]+의(처소부사격조사)’의 통합형이 어휘화한 것이다.
저고 주020)
저고:
절하고. 저-[作禮]+고.
法要 주021)
법요(法要):
교법 가운데 주요한 점.
듣와지다 주022)
듣와지다:
듣고 싶습니다. 듣고 싶나이다. 듣-[聞]++아+지다. ‘-지다’는 ‘쇼셔체’의 명령형어미(청원).
願더니

그때에 대사께서 보림(寶林)에 이르시니, 소주(韶州)의 위(韋) 자사(刺史) 이름은 거(璩)였는데【자사는 관원(官員)이다.】 , (위자사가) 관료(官僚)들과 산에 들어 대사를 대범사(大梵寺)의 강당(講堂)에 청하여 대중을 위해 (진리의) 인연(因緣)을 열었다. (그리하고는) “마하반야바라밀법을 말씀해 주십시오.”(라고) 한즉, 대사께서 법좌(法座)에 오르실 때 자사와 관료 삼십여 인과 유가(儒家)의 학사(學士) 삼십여 인과 승니(僧尼)와 도속(道俗) 일천여 인이 함께 절하고 “법요(法要)를 듣고 싶습니다.”(라고) 원하였다.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그:그때에. 육조(六祖)대사가 광주의 법성사(法性寺)에 머무르다가 조계산(曺溪山) 보림사(寶林寺)로 돌아온 때를 이른다.
주002)
니를어시:이르시거늘. 이르시므로. 니를-[至]+거+시+. ‘-어-’는 /ㄹ/ 다음에서 /ㄱ/ 약화 표기.
주003)
일후믄:이름은. 일훔[名]+은.
주004)
-ㅣ러니:-이더니. -ㅣ-+더+니. 중세국어 시기에는 서술격조사 ‘이’ 다음에서 ‘-더-’는 ‘-러-’로 표기되었다.
주005)
산(山):산에. ‘’는 처소부사격조사.
주006)
대범사(大梵寺):소주(韶州)의 성중에 있던 절.
주007)
-와:-하여. --++아.
주008)
연(緣):인연(因緣). 서로 맺어지는 관계.
주009)
여르샤:여시어. 열-[開]+으샤+아.
주010)
마하반야바라밀법(摩訶般若波羅蜜法):‘큰 지혜로 피안에 이른다.’는 가르침.
주011)
니쇼셔:이르십시오. 말씀하십시오. 니-[說]+쇼셔+(‘쇼셔체’의 명령형어미).
주012)
대:하니. 한즉. 하니까. -+ㄴ대.
주013)
좌(座)애:법좌(法座)에. ‘법좌(法座)’는 설법할 때 쓰는 높은 상좌(牀座)를 이른다.
주014)
오실:오르실. 오-[升]+시+ㄹ.
주015)
제:때에. 제. 제[次]+∅.
주016)
승니(僧尼):비구(比丘). 비구니(比丘尼).
주017)
도속(道俗):도(道)는 출가한 사람. 속(俗)은 집에 있는 사람. 곧, 승려와 세속인을 아울러 일컫는 말.
주018)
-괘:-이. -과+ㅣ(주격조사). ‘과’는 마지막 체언 뒤에 붙은 접속조사.
주019)
:함께. 동시에. ‘’는 ‘[一]’과 ‘[時]+의(처소부사격조사)’의 통합형이 어휘화한 것이다.
주020)
저고:절하고. 저-[作禮]+고.
주021)
법요(法要):교법 가운데 주요한 점.
주022)
듣와지다:듣고 싶습니다. 듣고 싶나이다. 듣-[聞]++아+지다. ‘-지다’는 ‘쇼셔체’의 명령형어미(청원).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