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4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4
  • 월인천강지곡 기85~기92(8곡)
  • 월인천강지곡 기92
메뉴닫기 메뉴열기

월인천강지곡 기92


월인석보 4:52ㄴ

其 九十二
貪欲心 주001)
탐욕심(貪欲心):
탐심과 욕심.
겨시건마 주002)
겨시건마:
계시건마는. 겨시-[在]+거+ㄴ마(양보의 연결어미).
낱 주003)
낱:
한낱. 한 개.
터럭 늘 주004)
터럭늘:
터럭만을. 터럭+(접미사)+을(목적격조사).
供養 功德에 涅槃 得야니 주005)
득(得)야니:
얻으니. 得-+아/어/야(강세의 선어말어미)+니(종결어미).
三藐三佛陁 주006)
삼먁삼불타(三藐三佛陁):
samyaksaṃbuddha. 부처님 10호(號)의 하나. 삼야삼불(三耶三佛), 또는 삼야삼불단(三耶三佛檀)이라 음역. 정변지(正遍知)·등정각(等正覺)·정등각(正等覺)이라 번역. 『법화현찬』 제2에 외도·아라한·보살의 깨달음이 각각 사각(邪覺)·정각(正覺)·등각(等覺)임에 대하여, 부처님의 깨달음을 정등각이라 함.
ㅣ어시니
주007)
삼먁삼불타(三藐三佛陁)ㅣ어시니:
삼먁삼불타이시거니. 三藐三佛陁+ㅣ(서술격조사)+거/어+시+니(종결어미).
 터럭  토빈 주008)
토빈:
손톱인들. 톱[爪]+이(서술격조사)+ㄴ(양보의 연결어미).
供養 功德이 어느 주009)
어느:
어찌. 어느(평-거, 부사). ‘어느’, 대명사, 관형사, 부사로 두루 쓰임.
주010)
:
가. 가장자리. /[邊/限](상성). ¶그지 업스며  업스니〈석상 19:4ㄱ〉. ¶ 岸은 라〈월석 서:26ㄱ〉.
이시리 주011)
이시리:
있으리? 이시-[有]+리(의문법 종결어미). 추측을 나타내는 선어말어미 ‘-리-’가 그대로 의문형 종결어미로 쓰임.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기 구십이
탐욕심이 있으셨건마는 한낱 터럭만을 공양한 공덕에 열반을 얻었으니.
세존은〉 삼먁삼불타이시거니(깨달은 부처님이시니), 한 터럭과 한 손톱인들 공양한 공덕이 어찌 한이 있으리?
Ⓒ 역자 | 김영배 / 2010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탐욕심(貪欲心):탐심과 욕심.
주002)
겨시건마:계시건마는. 겨시-[在]+거+ㄴ마(양보의 연결어미).
주003)
낱:한낱. 한 개.
주004)
터럭늘:터럭만을. 터럭+(접미사)+을(목적격조사).
주005)
득(得)야니:얻으니. 得-+아/어/야(강세의 선어말어미)+니(종결어미).
주006)
삼먁삼불타(三藐三佛陁):samyaksaṃbuddha. 부처님 10호(號)의 하나. 삼야삼불(三耶三佛), 또는 삼야삼불단(三耶三佛檀)이라 음역. 정변지(正遍知)·등정각(等正覺)·정등각(正等覺)이라 번역. 『법화현찬』 제2에 외도·아라한·보살의 깨달음이 각각 사각(邪覺)·정각(正覺)·등각(等覺)임에 대하여, 부처님의 깨달음을 정등각이라 함.
주007)
삼먁삼불타(三藐三佛陁)ㅣ어시니:삼먁삼불타이시거니. 三藐三佛陁+ㅣ(서술격조사)+거/어+시+니(종결어미).
주008)
토빈:손톱인들. 톱[爪]+이(서술격조사)+ㄴ(양보의 연결어미).
주009)
어느:어찌. 어느(평-거, 부사). ‘어느’, 대명사, 관형사, 부사로 두루 쓰임.
주010)
:가. 가장자리. /[邊/限](상성). ¶그지 업스며  업스니〈석상 19:4ㄱ〉. ¶ 岸은 라〈월석 서:26ㄱ〉.
주011)
이시리:있으리? 이시-[有]+리(의문법 종결어미). 추측을 나타내는 선어말어미 ‘-리-’가 그대로 의문형 종결어미로 쓰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