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4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4
  • 수하항마
  • 수하항마 5
메뉴닫기 메뉴열기

수하항마 5


[수하항마 5]
魔王이 귓것려 주001)
귓것려:
귀신에게. 귓것+려(보조사). ‘려(평-거)’는 현대국어 ‘더러’로 연결되는 조사로 기원적으로는 ‘리-[率](평-거)’의 연결형이 문법화된 형태. ‘려’는 항상 ‘니-[謂]’, ‘묻-[問]’의 지배를 받음.
닐오 주002)
닐오:
말하되. 이르기를. 니-[謂]+오/우.
瞿曇이 어딘 주003)
어딘:
어진. 현명한. 어딜-[善/賢]+(/으)ㄴ(관형사형 어미).
사미라 呪를 잘 주004)
잘:
잘할. 잘-[能]+오/우(의도법 선어말어미)+ㅭ(관형사형 어미).
法이 잇니라 주005)
잇니라:
있는 것이다. 이시-/잇-[有]+(현재시상 선어말어미)+니(확인의 선어말어미)+다/라(설명법 종결어미).
고西天 마래 주006)
서천(西天) 마래:
서천 말에. 서천은 ‘인도’를 가리키는 말로 중국의 서쪽에 있으므로 이렇게 부름.
陁羅尼모도잡다 주007)
모도잡다:
모아 가지다. 거느리다. 모도잡-[攝]+다(설명법 종결어미).
혼 디니 주008)
혼 디니:
하는 뜻이니. +오/우+ㄴ#+이+니.
諸佛ㅅ 秘密 주009)
비밀(秘密):
비밀한. 비밀스러운. 秘密-+(/으)ㄴ(관형사형 어미).
말 神智 妙用이시니 주010)
묘용(妙用)이시니:
신묘한 효용이시니. 妙用+이(서술격조사)+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니.

월인석보 4:10ㄱ

字도 이시며 여러 字도 이시며 字 업스니도 주011)
업스니도:
없는 것도. 없-+(/으)ㄴ(관형사형 어미)#이(의존명사)+도(보조사).
잇니  字로도 그지업슨 주012)
그지업슨:
그지없는. 한없는. 그지[限]#없-[無]+(/으)ㄴ(관형사형 어미).
法을 모도자바 주013)
모도자바:
모아 가져. 거느려. 모도잡-[攝]+아/어(보조적 연결어미).
邪曲 주014)
사곡(邪曲):
요사스럽고 교활함을.
야리고 주015)
야리고:
헐어 버리고. 야리-[破](거-평-평-거)+고(나열의 연결어미).
正을 셰며 주016)
셰며:
세우며. 셔-[立]+이(사동접미사)+며(나열의 연결어미).
모딘 이 업게 주017)
업게:
없게. 없어지게. 없-[無]+게(보조적 연결어미). 이는 형용사와 동사에 두루 쓰임.
고 됴 이 낼 씨라 주018)
낼 씨라:
내는 것이다. 내-[出](상성)+ㅭ(관형사형 어미)#(의존명사, 평성)+이/ㅣ(서술격조사)+다/라. 이 ‘’의 활용형은 ‘시(주격/서술격, 것이, 것이니), (것은) (것을)’와 같이 씌었으나, 선행하는 관형사형 ‘-ㅭ’의 ‘ㆆ’의 영향으로 ‘-ㄹ 씨’처럼 두음이 각자병서 ‘ㅆ’으로 표기되었음. 또한 ‘’는 항상 ‘-ㅭ’ 관형사형 다음에만 나타나고 ‘-ㄴ’ 관형사형 다음에 나타나는 일이 없음.
呪는  願 씨니 이 法으로 願야 願다히 주019)
원(願)다히:
원대로. 願+다히(보조사).
외에 주020)
외에:
되게. 외-[爲]+게(보조적 연결어미). ‘-게’는 모음 ‘ㅣ’ 뒤에 ‘ㄱ’이 약화된 표기 ‘-에’로 쓰임.
니 諸佛 맷 妙用이샤 주021)
묘용(妙用)이샤:
신묘한 작용이시어서. 妙用+이(서술격조사)+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아/어(보조적 연결어미).
몯내 아리라 주022)
몯내 아리라:
이루 다 알지 못할 것이다. 몯내(상-상, 부사). 알-[知](상성)+(객체높임 선어말어미)+(/으)리+라(설명법 종결어미). 여기서는 어간 ‘알-’에 방점이 찍히지 않았음. ‘몯내’는 본시 ‘상성-상성’의 성조로 쓰였는데, 여기서 ‘상성-평성’으로 된바, 오자로 봄. ¶ 無量 몯내 혤 씨라〈석상 서:1ㄴ〉.
鬼神王 일후미니 주023)
귀신왕(鬼神王) 일후미니:
귀신왕의 이름이니. 鬼神王+(관형격조사).
王ㅅ 일후믈 니르면 주024)
니르면:
이르면. 말하면. 니르-[謂]+면(조건의 연결어미). 이 ‘니르-’는 〈용비어천가〉부터 ‘니-’와 같이 쓰였음. ¶ 聖經을 니르시니(聖經是說)〈용가 92〉. 後聖이 니시니(後聖以矢)〈용가 5〉.
귓거시 두리여 주025)
두리여:
두려워하여. 두리-[懼]+아/어.
숨니 주026)
숨니:
숨으니. 숨-[匿]+(현재시상 선어말어미)+니.
眞言 주027)
진언(眞言):
mantra, 만달라(漫怛羅)의 번역. 불·보살들의 작용을 나타내는 비밀스런 말.
이라도
주028)
진언(眞言)이라도:
진언이라고도. 眞言+이(서술격조사)+다/라(설명법 종결어미)+도(보조사).
니라】
 제 구슬로 四兵 주029)
사병(四兵):
고대 인도의 네 종류의 군대. 상병(象兵), 마병(馬兵), 거병(車兵), 보병(步兵)을 이름.
라 주030)
라:
만들어. -[作]+아/어.
虛空로셔 주031)
허공(虛空)로셔:
허공에서. 허공으로부터 虛空+(/으)로(도구의 부사격조사)+셔(출발점의 부사격조사). 현대국어의 ‘서’에 해당하는 ‘셔’는 기원적으로 ‘이시-[有]’의 부사형이 화석화한 것으로, 이것이 체언에 직접 연결될 예는 매우 드물고 대개 ‘-에셔, -(/의)그셔, (/으)로셔, -셔’처럼 처소의 부사격조사에 연결됨.
려오니라 주032)
려오니라:
내려오느니라. 리-[下]+아/어#오-[來]+니(확인법 선어말어미)+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魔告諸鬼 瞿曇善人或能知呪 當興四兵 化作四兵 列狀如林甚可怖畏 直從空下至道樹邊 >(석가보 석가강생석종성불연보 제4의 3 〈대정신수대장경 제50, 32쪽 상〉), (일부 미상)

[수하항마 5]
마왕이 귀신에게 이르되, “구담이는 현명한 사람이라 주문을 잘 할 수(법)가 있느니라.” 하고,【‘’는 인도 말에 ‘다라니’니, 모아 가진다는 뜻이니, 모든 부처님의 비밀한 말씀의 신비한 지혜와 신묘한 효용이시니, 한 글자도 있고, 여러 글자도 있으며, 글자가 없는 것도 있으니, 한 글자로도 끝이 없는 법을 모아 가져 사곡함을 헐어버리고 올바름을 세우며, 악한 것을 없어지게 하고 좋은 것을 생기게 하는 것이다. ‘주’는 또 원하는(소원을 발하는) 것이니, 이 법으로 원하여(소원을 발하여) 원대로 되게 하니, 모든 부처님 마음의 신묘한 효용이셔서 끝까지 다 알지 못할 것이다. 또 귀신왕의 이름이니, 왕 이름을 말하면 귀신이 두려워하여 숨으니 ‘진언’이라고도 하는 것이다.】 또, 자기의 구슬로 사병을 만들어 허공에서 내려오느니라.
Ⓒ 역자 | 김영배 / 2010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귓것려:귀신에게. 귓것+려(보조사). ‘려(평-거)’는 현대국어 ‘더러’로 연결되는 조사로 기원적으로는 ‘리-[率](평-거)’의 연결형이 문법화된 형태. ‘려’는 항상 ‘니-[謂]’, ‘묻-[問]’의 지배를 받음.
주002)
닐오:말하되. 이르기를. 니-[謂]+오/우.
주003)
어딘:어진. 현명한. 어딜-[善/賢]+(/으)ㄴ(관형사형 어미).
주004)
잘:잘할. 잘-[能]+오/우(의도법 선어말어미)+ㅭ(관형사형 어미).
주005)
잇니라:있는 것이다. 이시-/잇-[有]+(현재시상 선어말어미)+니(확인의 선어말어미)+다/라(설명법 종결어미).
주006)
서천(西天) 마래:서천 말에. 서천은 ‘인도’를 가리키는 말로 중국의 서쪽에 있으므로 이렇게 부름.
주007)
모도잡다:모아 가지다. 거느리다. 모도잡-[攝]+다(설명법 종결어미).
주008)
혼 디니:하는 뜻이니. +오/우+ㄴ#+이+니.
주009)
비밀(秘密):비밀한. 비밀스러운. 秘密-+(/으)ㄴ(관형사형 어미).
주010)
묘용(妙用)이시니:신묘한 효용이시니. 妙用+이(서술격조사)+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니.
주011)
업스니도:없는 것도. 없-+(/으)ㄴ(관형사형 어미)#이(의존명사)+도(보조사).
주012)
그지업슨:그지없는. 한없는. 그지[限]#없-[無]+(/으)ㄴ(관형사형 어미).
주013)
모도자바:모아 가져. 거느려. 모도잡-[攝]+아/어(보조적 연결어미).
주014)
사곡(邪曲):요사스럽고 교활함을.
주015)
야리고:헐어 버리고. 야리-[破](거-평-평-거)+고(나열의 연결어미).
주016)
셰며:세우며. 셔-[立]+이(사동접미사)+며(나열의 연결어미).
주017)
업게:없게. 없어지게. 없-[無]+게(보조적 연결어미). 이는 형용사와 동사에 두루 쓰임.
주018)
낼 씨라:내는 것이다. 내-[出](상성)+ㅭ(관형사형 어미)#(의존명사, 평성)+이/ㅣ(서술격조사)+다/라. 이 ‘’의 활용형은 ‘시(주격/서술격, 것이, 것이니), (것은) (것을)’와 같이 씌었으나, 선행하는 관형사형 ‘-ㅭ’의 ‘ㆆ’의 영향으로 ‘-ㄹ 씨’처럼 두음이 각자병서 ‘ㅆ’으로 표기되었음. 또한 ‘’는 항상 ‘-ㅭ’ 관형사형 다음에만 나타나고 ‘-ㄴ’ 관형사형 다음에 나타나는 일이 없음.
주019)
원(願)다히:원대로. 願+다히(보조사).
주020)
외에:되게. 외-[爲]+게(보조적 연결어미). ‘-게’는 모음 ‘ㅣ’ 뒤에 ‘ㄱ’이 약화된 표기 ‘-에’로 쓰임.
주021)
묘용(妙用)이샤:신묘한 작용이시어서. 妙用+이(서술격조사)+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아/어(보조적 연결어미).
주022)
몯내 아리라:이루 다 알지 못할 것이다. 몯내(상-상, 부사). 알-[知](상성)+(객체높임 선어말어미)+(/으)리+라(설명법 종결어미). 여기서는 어간 ‘알-’에 방점이 찍히지 않았음. ‘몯내’는 본시 ‘상성-상성’의 성조로 쓰였는데, 여기서 ‘상성-평성’으로 된바, 오자로 봄. ¶ 無量 몯내 혤 씨라〈석상 서:1ㄴ〉.
주023)
귀신왕(鬼神王) 일후미니:귀신왕의 이름이니. 鬼神王+(관형격조사).
주024)
니르면:이르면. 말하면. 니르-[謂]+면(조건의 연결어미). 이 ‘니르-’는 〈용비어천가〉부터 ‘니-’와 같이 쓰였음. ¶ 聖經을 니르시니(聖經是說)〈용가 92〉. 後聖이 니시니(後聖以矢)〈용가 5〉.
주025)
두리여:두려워하여. 두리-[懼]+아/어.
주026)
숨니:숨으니. 숨-[匿]+(현재시상 선어말어미)+니.
주027)
진언(眞言):mantra, 만달라(漫怛羅)의 번역. 불·보살들의 작용을 나타내는 비밀스런 말.
주028)
진언(眞言)이라도:진언이라고도. 眞言+이(서술격조사)+다/라(설명법 종결어미)+도(보조사).
주029)
사병(四兵):고대 인도의 네 종류의 군대. 상병(象兵), 마병(馬兵), 거병(車兵), 보병(步兵)을 이름.
주030)
라:만들어. -[作]+아/어.
주031)
허공(虛空)로셔:허공에서. 허공으로부터 虛空+(/으)로(도구의 부사격조사)+셔(출발점의 부사격조사). 현대국어의 ‘서’에 해당하는 ‘셔’는 기원적으로 ‘이시-[有]’의 부사형이 화석화한 것으로, 이것이 체언에 직접 연결될 예는 매우 드물고 대개 ‘-에셔, -(/의)그셔, (/으)로셔, -셔’처럼 처소의 부사격조사에 연결됨.
주032)
려오니라:내려오느니라. 리-[下]+아/어#오-[來]+니(확인법 선어말어미)+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