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4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4
  • 수하항마
  • 수하항마 3
메뉴닫기 메뉴열기

수하항마 3


[수하항마 3]
히 주001)
히:
딸들이. +(복수접미사, ㅎ종성체언)+이/ㅣ/∅(주격조사).
제 모 주002)
제 모:
제 몸을.
보니 더러 주003)
더러:
더러운. 더럽-[染](ㅂ불규칙)+(/으)ㄴ.
히 주004)
히:
땅이. 자리가. [地](ㅎ종성체언)+이/ㅣ/∅(주격조사).
린 주005)
린:
가린. 리-[蔽]+(/으)ㄴ.
거시 업고 한 벌에 주006)
벌에:
벌레가. 벌에[蟲]+이/ㅣ/∅(주격조사). ‘ㅣ’모음 뒤에서 주격조사가 ‘∅’로 실현된 것임.
五臟 주007)
오장(五臟):
오장을. 오장은 폐장, 심장, 비장, 간장, 신장이나, 여기 훼손된 부분은 심장과 비장인데, 이를 재구하면 다음과 같다. ‘五臟 *(과) 肝과 *(만하와) 부하와 기라’ ¶  고   내야 鬼神 이바며〈월석 23:73ㄴ〉. 만하 비:脾〈왜해 상:18ㄴ〉.
오 주008)
오:
빨고. -[咂]+고. ‘ㄹ’ 뒤에서 ‘ㄱ’이 약화하여 [ɦ]로 실현된 것임.
【五臟〔 〕과 肝〔과 만하와〕

월인석보 4:7ㄴ

부하와 주009)
부하와:
허파와. 부하[肺]+와(접속조사). ¶ 부하: 肺子〈역해 상:35ㄱ〉.
기라 주010)
기라:
콩팥이다. 콩ㄱ[腎]+이(서술격조사)+다/라. 김동소(1997)에서 ‘콩’이 ‘’과 마찬가지로 ‘ㄱ’ 곡용을 하기도 했음을 보여주는 자료로 제시하였다. 여기서와 같이 둘 이상의 체언이 연결될 때, 끝 체언 다음에도 ‘-와(공동격)’를 쓴 다음에 격조사를 썼으므로 현대어로 옮길 때 끝의 접속조사는 줄임. 이른바 집단곡용(集團曲用)이라 함. 접속조사 연결을 고려할 때 ‘콩괘라’가 중세국어의 일반적인 표현임. 여기서는 공동격조사가 마지막 명사에는 나타나지 않은 예임. → 10쪽 ‘2) ’.
骨髓마다 주011)
골수(骨髓)마다:
골수마다. 骨髓+마다(보조사).
효〔〕□□□히 나거늘 주012)
나거늘:
생기거늘. 나-[生]+거늘(설명형 연결어미).
그 히즉자히 주013)
즉자히:
즉시. 즉자히[卽]. ‘즉재’로도 나타남. ¶ 비록 無上覺路 즉재 기디 몯나(雖未卽明無上覺路)〈능엄 6:104ㄴ〉.
〔욕〕□□〔〕고 제 모 〔다〕시 보니 왼 녀긘 주014)
왼녀긘:
왼쪽에는. 왼[左]#녁[方面]+의(특이 처소의 부사격조사)+ㄴ(보조사).
야 주015)
야:
뱀의. 얌[蛇]+(관형격조사).
머리 외오 주016)
외오:
되고. 외-[爲]+고. ‘ㅣ[y]’ 모음 뒤에서 ‘ㄱ’이 약화된 표기 [ɦ]로 쓰임.
올 녀긘 엿의 주017)
엿의:
여우의. 여[狐]+의(관형격조사).
머리 외오 가온 가 주018)
가:
개의. 가히[犬]+(관형격조사). 체언 끝음절이 ‘이’인 경우, 관형격조사 ‘/의’가 통합되면 ‘이’는 탈락됨.
머리 외오 드ᅌᅴᆫ 주019)
드읜:
등에는. [背]+의(특이 처소의 부사격조사)+ㄴ(보조사).
할미 주020)
할미:
할머니. 할미[嫗](거-거). ¶ 셴 할미 하히 보내시니〈용가 19〉.
업고 주021)
업고:
업고. 업-[負]+고. ¶ 一切 有情을 어버 녀〈월석 9:61ㄴ〉.
알 주022)
알:
앞에는. 앒[前]+(특이 처소의 부사격조사)+ㄴ(보조사).
주근 아기 아냇더니 주023)
아냇더니:
안았더니. 안-[抱]+아#잇/이시+더+니. 15세기에는 ‘-아/어 잇/이시-’가 ‘-앳/엣-’, ‘-애시/에시-’, ‘-앗/엇-’, ‘-아시/어시-’ 등으로 나타난다. 15세기의 ‘-어 잇-’ 구성은 ‘-고 있-’(진행상), ‘-어 있-’(완결상), ‘-었-’(과거시제) 등으로 다양하게 해석됨.
그 히두리여 주024)
두리여:
두려워하여. 두리-[懼]+아/어. ‘ㅣ’ 모음 뒤에서 ‘여’로 나타난 것임.
우르고 주025)
우르고:
소리치고. 우르-[嘷]+고.
믈리 거러가며 주026)
믈리거러 가며:
뒷걸음쳐 가며. 믈리걷-[逡](ㄷ불규칙)+아/어#가-[去]+며.
제 아래

월인석보 4:8ㄱ

구버 보니 주027)
구버보니:
굽어보니. 구버보-[瞰]+니.
벌에 주028)
벌에:
벌레. 벌에[蟲](평-거). ¶ 혈맛 벌에 비늘을 라녀〈월인 상:11ㄱ〉.
얼의예셔 주029)
얼의예셔:
엉기어서. 엉기어 있어. 얼의-[凝](펑-거, 동사)+아/어#이시-[有]+아/어(보조적 연결어미). ‘얼의-’의 ‘ㅣ’ 모음의 영향으로 ‘얼의여’에 ‘이시-’의 ‘이’ 모음이 결합된 표기 ‘얼의예’가 됨.
어늘 주030)
어늘:
빨아먹거늘. -[吸]+거늘.
히 주031)
히:
딸들이. +(복수접미사, ㅎ종성체언)+이/ㅣ/∅(주격조사).
업드러 주032)
업드러:
엎드려. 업듣-[顚, ㄷ불규칙〕+아/어. ¶ 오래 업드러 니놋다〈두언 8:59〉.
니거늘 주033)
니거늘:
가거늘. 가니. 니-[行]+거늘. 같은 뜻의 동사로 ‘녀-[行]’가 훈민정음 제정 초기 문헌에 두루 쓰였음. ¶ 東 니거시든〈용가 38〉.
魔王이 더 怒야 주034)
노(怒)야:
노하여. 怒-+아/어.
十八億 兵馬 모도니 주035)
모도니:
모으니. 모도-[會]+니. ¶ 나랏 어비 내 모도아 니샤〈석상 6:9ㄴ〉. 蘊은 모돌씨오〈월석 1:35ㄴ〉.
變야 獅子ㅣ며 주036)
사자(獅子)ㅣ며:
사자며. 獅子+ㅣ(서술격조사)+며(접속조사).
고미며 주037)
고미며:
곰이며. 곰[熊]+이(서술격조사)+며(접속조사).
나비며 주038)
나비며:
원숭이이며. 납[猿]+이(서술격조사)+며(접속조사).
야미며 주039)
야미며:
뱀이며. 얌[蛇]+이(서술격조사)+며(접속조사).
온가짓 주040)
온가짓:
온 종류의. 온갖. 온#가지[種類]+ㅅ(관형격조사).
 주041)
:
모양이. 모습이. (樣子)+ㅣ(주격조사).
외며 주042)
외며:
되며. 외-[爲]+며.
블도 주043)
블도:
불도. 블[火]+도. ¶ 네 차힌 브레 여 橫死 씨오〈석상 9:37ㄱ〉.
吐며 주044)
토(吐)며:
토하며. 吐-+며.
뫼토 주045)
뫼토:
산도. 묗[山](ㅎ종성체언)+도.
메며 주046)
메며:
짊어지며. 메-[擔](상성, 동사)+며. 이는 명사에서 ‘메-[擔]+다’로 파생된 것으로 봄.
울에 주047)
울에:
우레. 천둥. 울에[雷](거-거). ¶ 울에 번게 니 사미 다 놀다더니〈석상 6:32ㄱ〉.
번〕게 주048)
번게:
번개. 번게[電](거-거). ¶ 업던 번게를 하히 기시니〈용가 30〉.
며 잠개 주049)
잠개:
날이 있는 무기. → 20쪽 희귀어(21).
가져 주050)
가져:
가지고서. 가지-[持]+아/어.
菩薩 □□□

월인석보 4:8ㄴ

菩薩이 慈心로 주051)
자심(慈心)로:
자비로운 마음으로. 慈心+(/으)로(도구격조사).
〔터럭〕□ 주052)
 터럭도:
터럭 하나도.
무우디 주053)
무우디:
움직이지. 움직이게 하지. 무-[動]+우(사동접미사)+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코 주054)
아니코:
아니하고. 않고. 아니-+고. ‘-코’는 ‘고’가 축약된 것임.
겨시니 주055)
겨시니:
계시니. 있으시니. 계시-+니.
빗난 주056)
빗난:
빛난. 빗나-[發光]+(/으)ㄴ(관형사형 어미). ‘빗’은 ‘빛’의 8종성 표기임.
 주057)
:
모양이. 모습이. (樣子)+ㅣ(주격조사).
〔더욱〕 됴터시니 주058)
됴터시니:
좋아지시더니. 둏-[好, 동사〕+더+시+니. ‘둏-’가 형용사가 아닌 동사 ‘좋아지다’로 쓰인 것임.
鬼兵이 갓가 주059)
갓가:
가까이. 갓가[近](평-평-거, 부사). ‘갓갑-’에 부사 파생접미사 ‘이’가 결합된 파생부사임.
나 주060)
나:
나아가. 낫-[進](ㅅ불규칙)+아/어.
드더라 주061)
드더라:
들더라. 들어갔다. 들-[入]+(객체높임 선어말어미)+더(과거시상 선어말어미)+다/라(설명법 종결어미). 동사의 어간말음 ‘ㄹ’은 어미의 첫소리 ‘ㄴ, ㄷ, ㅿ’ 앞에서 탈락됨.
【鬼兵은 귓것 주062)
귓것:
귀신. 귓것[鬼神]. 이는 ‘귀[鬼]+ㅅ#것(의존명사)’의 합성어임.
兵馬ㅣ라 주063)
병마(兵馬)ㅣ라:
병마이다. 兵馬+ㅣ(서술격조사)+라(설명법 종결어미). ‘병마’는 병사와 군마의 뜻.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석가보 석가강생석종성불연보 제4의3]
(瑞應本起云) 魔王益忿更召諸鬼神王 合一億八千萬衆 皆使變爲師子熊羆 兕虎象龍 牛馬犬豕 猴猨之形 不可稱言 蟲頭人軀 蚖蛇之身 黿龜之首 而有六目 或一頸而多頭 齒牙爪距擔山吐火 雷電四繞擭持戈矛 菩薩慈心不驚不怖 一毛不動光顏益好 鬼兵不能得近 >(석가보 석가강생석종성불연보 제4의3) 〈대정신수대장경 제50, 34쪽 상〉

[수하항마 3]
그 딸들이 제 몸을 보니 더러운 자리가 다 가린 것이 없고, 많은 벌레가 오장을 빨고【‘오장’은 심장과 간과 지라와 허파와 콩팥이다.】 골수마다 작〈은〉 □□히 나거늘 그 딸들이 즉시 토하고 제 몸을 다시 보니, 왼쪽에는 뱀의 머리가 되고, 오른쪽에는 여우의 머리가 되고, 가운데는 개의 머리가 되고, 등에는 할미를 업고, 앞에는 죽은 아기를 안고 있더니, 그 딸들이 두려워하여 소리치며 뒷걸음쳐 가며 제 아래를 굽어보니, 많은 벌레가 엉기어서 빨아먹고 있거늘, 그 딸들이 엎드러져 가거늘 마왕이 더 노하여 18억 병마를 모으니, 그것들이 변하여 사자며 곰이며 원숭이며 뱀이며 온갖 모양이 되며, 불도 토하고 산도 둘러메며 우레 번개를 치며 무기를 가지고 보살 □□□ 보살이 자비로운 마음〔慈心〕으로 한 터럭〈도〉 움직이지 않고 계시니 빛나는 모습이 〈더욱〉 좋아지시니, 귀신 병사가 가까이 나아가 들어가지 못했다.【‘귀병’은 귀신의 병마이다.】
Ⓒ 역자 | 김영배 / 2010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히:딸들이. +(복수접미사, ㅎ종성체언)+이/ㅣ/∅(주격조사).
주002)
제 모:제 몸을.
주003)
더러:더러운. 더럽-[染](ㅂ불규칙)+(/으)ㄴ.
주004)
히:땅이. 자리가. [地](ㅎ종성체언)+이/ㅣ/∅(주격조사).
주005)
린:가린. 리-[蔽]+(/으)ㄴ.
주006)
벌에:벌레가. 벌에[蟲]+이/ㅣ/∅(주격조사). ‘ㅣ’모음 뒤에서 주격조사가 ‘∅’로 실현된 것임.
주007)
오장(五臟):오장을. 오장은 폐장, 심장, 비장, 간장, 신장이나, 여기 훼손된 부분은 심장과 비장인데, 이를 재구하면 다음과 같다. ‘五臟 *(과) 肝과 *(만하와) 부하와 기라’ ¶  고   내야 鬼神 이바며〈월석 23:73ㄴ〉. 만하 비:脾〈왜해 상:18ㄴ〉.
주008)
오:빨고. -[咂]+고. ‘ㄹ’ 뒤에서 ‘ㄱ’이 약화하여 [ɦ]로 실현된 것임.
주009)
부하와:허파와. 부하[肺]+와(접속조사). ¶ 부하: 肺子〈역해 상:35ㄱ〉.
주010)
기라:콩팥이다. 콩ㄱ[腎]+이(서술격조사)+다/라. 김동소(1997)에서 ‘콩’이 ‘’과 마찬가지로 ‘ㄱ’ 곡용을 하기도 했음을 보여주는 자료로 제시하였다. 여기서와 같이 둘 이상의 체언이 연결될 때, 끝 체언 다음에도 ‘-와(공동격)’를 쓴 다음에 격조사를 썼으므로 현대어로 옮길 때 끝의 접속조사는 줄임. 이른바 집단곡용(集團曲用)이라 함. 접속조사 연결을 고려할 때 ‘콩괘라’가 중세국어의 일반적인 표현임. 여기서는 공동격조사가 마지막 명사에는 나타나지 않은 예임. → 10쪽 ‘2) ’.
주011)
골수(骨髓)마다:골수마다. 骨髓+마다(보조사).
주012)
나거늘:생기거늘. 나-[生]+거늘(설명형 연결어미).
주013)
즉자히:즉시. 즉자히[卽]. ‘즉재’로도 나타남. ¶ 비록 無上覺路 즉재 기디 몯나(雖未卽明無上覺路)〈능엄 6:104ㄴ〉.
주014)
왼녀긘:왼쪽에는. 왼[左]#녁[方面]+의(특이 처소의 부사격조사)+ㄴ(보조사).
주015)
야:뱀의. 얌[蛇]+(관형격조사).
주016)
외오:되고. 외-[爲]+고. ‘ㅣ[y]’ 모음 뒤에서 ‘ㄱ’이 약화된 표기 [ɦ]로 쓰임.
주017)
엿의:여우의. 여[狐]+의(관형격조사).
주018)
가:개의. 가히[犬]+(관형격조사). 체언 끝음절이 ‘이’인 경우, 관형격조사 ‘/의’가 통합되면 ‘이’는 탈락됨.
주019)
드읜:등에는. [背]+의(특이 처소의 부사격조사)+ㄴ(보조사).
주020)
할미:할머니. 할미[嫗](거-거). ¶ 셴 할미 하히 보내시니〈용가 19〉.
주021)
업고:업고. 업-[負]+고. ¶ 一切 有情을 어버 녀〈월석 9:61ㄴ〉.
주022)
알:앞에는. 앒[前]+(특이 처소의 부사격조사)+ㄴ(보조사).
주023)
아냇더니:안았더니. 안-[抱]+아#잇/이시+더+니. 15세기에는 ‘-아/어 잇/이시-’가 ‘-앳/엣-’, ‘-애시/에시-’, ‘-앗/엇-’, ‘-아시/어시-’ 등으로 나타난다. 15세기의 ‘-어 잇-’ 구성은 ‘-고 있-’(진행상), ‘-어 있-’(완결상), ‘-었-’(과거시제) 등으로 다양하게 해석됨.
주024)
두리여:두려워하여. 두리-[懼]+아/어. ‘ㅣ’ 모음 뒤에서 ‘여’로 나타난 것임.
주025)
우르고:소리치고. 우르-[嘷]+고.
주026)
믈리거러 가며:뒷걸음쳐 가며. 믈리걷-[逡](ㄷ불규칙)+아/어#가-[去]+며.
주027)
구버보니:굽어보니. 구버보-[瞰]+니.
주028)
벌에:벌레. 벌에[蟲](평-거). ¶ 혈맛 벌에 비늘을 라녀〈월인 상:11ㄱ〉.
주029)
얼의예셔:엉기어서. 엉기어 있어. 얼의-[凝](펑-거, 동사)+아/어#이시-[有]+아/어(보조적 연결어미). ‘얼의-’의 ‘ㅣ’ 모음의 영향으로 ‘얼의여’에 ‘이시-’의 ‘이’ 모음이 결합된 표기 ‘얼의예’가 됨.
주030)
어늘:빨아먹거늘. -[吸]+거늘.
주031)
히:딸들이. +(복수접미사, ㅎ종성체언)+이/ㅣ/∅(주격조사).
주032)
업드러:엎드려. 업듣-[顚, ㄷ불규칙〕+아/어. ¶ 오래 업드러 니놋다〈두언 8:59〉.
주033)
니거늘:가거늘. 가니. 니-[行]+거늘. 같은 뜻의 동사로 ‘녀-[行]’가 훈민정음 제정 초기 문헌에 두루 쓰였음. ¶ 東 니거시든〈용가 38〉.
주034)
노(怒)야:노하여. 怒-+아/어.
주035)
모도니:모으니. 모도-[會]+니. ¶ 나랏 어비 내 모도아 니샤〈석상 6:9ㄴ〉. 蘊은 모돌씨오〈월석 1:35ㄴ〉.
주036)
사자(獅子)ㅣ며:사자며. 獅子+ㅣ(서술격조사)+며(접속조사).
주037)
고미며:곰이며. 곰[熊]+이(서술격조사)+며(접속조사).
주038)
나비며:원숭이이며. 납[猿]+이(서술격조사)+며(접속조사).
주039)
야미며:뱀이며. 얌[蛇]+이(서술격조사)+며(접속조사).
주040)
온가짓:온 종류의. 온갖. 온#가지[種類]+ㅅ(관형격조사).
주041)
:모양이. 모습이. (樣子)+ㅣ(주격조사).
주042)
외며:되며. 외-[爲]+며.
주043)
블도:불도. 블[火]+도. ¶ 네 차힌 브레 여 橫死 씨오〈석상 9:37ㄱ〉.
주044)
토(吐)며:토하며. 吐-+며.
주045)
뫼토:산도. 묗[山](ㅎ종성체언)+도.
주046)
메며:짊어지며. 메-[擔](상성, 동사)+며. 이는 명사에서 ‘메-[擔]+다’로 파생된 것으로 봄.
주047)
울에:우레. 천둥. 울에[雷](거-거). ¶ 울에 번게 니 사미 다 놀다더니〈석상 6:32ㄱ〉.
주048)
번게:번개. 번게[電](거-거). ¶ 업던 번게를 하히 기시니〈용가 30〉.
주049)
잠개:날이 있는 무기. → 20쪽 희귀어(21).
주050)
가져:가지고서. 가지-[持]+아/어.
주051)
자심(慈心)로:자비로운 마음으로. 慈心+(/으)로(도구격조사).
주052)
 터럭도:터럭 하나도.
주053)
무우디:움직이지. 움직이게 하지. 무-[動]+우(사동접미사)+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54)
아니코:아니하고. 않고. 아니-+고. ‘-코’는 ‘고’가 축약된 것임.
주055)
겨시니:계시니. 있으시니. 계시-+니.
주056)
빗난:빛난. 빗나-[發光]+(/으)ㄴ(관형사형 어미). ‘빗’은 ‘빛’의 8종성 표기임.
주057)
:모양이. 모습이. (樣子)+ㅣ(주격조사).
주058)
됴터시니:좋아지시더니. 둏-[好, 동사〕+더+시+니. ‘둏-’가 형용사가 아닌 동사 ‘좋아지다’로 쓰인 것임.
주059)
갓가:가까이. 갓가[近](평-평-거, 부사). ‘갓갑-’에 부사 파생접미사 ‘이’가 결합된 파생부사임.
주060)
나:나아가. 낫-[進](ㅅ불규칙)+아/어.
주061)
드더라:들더라. 들어갔다. 들-[入]+(객체높임 선어말어미)+더(과거시상 선어말어미)+다/라(설명법 종결어미). 동사의 어간말음 ‘ㄹ’은 어미의 첫소리 ‘ㄴ, ㄷ, ㅿ’ 앞에서 탈락됨.
주062)
귓것:귀신. 귓것[鬼神]. 이는 ‘귀[鬼]+ㅅ#것(의존명사)’의 합성어임.
주063)
병마(兵馬)ㅣ라:병마이다. 兵馬+ㅣ(서술격조사)+라(설명법 종결어미). ‘병마’는 병사와 군마의 뜻.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